d라이브러리
"이용"(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 내가? 아니, 뇌가 하는 생각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뇌는 여러 감각(시각, 후각, 청각, 미각, 촉각)을 통해 주변 상황을 받아들이고, 이를 이용해 생각을 일으켜요. 예를 들어 볼게요. 눈으로 들어온 시각 정보는 시신경을 타고 뇌의 외측슬상핵을 지나 후두엽의 시각피질에 도착해요. 그리곤 물체의 ‘색깔’, ‘모양’, ‘선과 경계’, ‘움직임’ 등을 ... ...
- [통합과학 교과서] 왕자님을 집으로 돌려보내 주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라파엘 메젠가 교수팀은 지난 10월, 우유에서 얻은 ‘유청 단백질’과 활성탄을 이용해 만든 필터가 방사성 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답니다.연구팀은 유청 단백질을 사용해 단백질 섬유를 제작했어요. 식물성 섬유로 종이를 만들 듯, 단백질 섬유와 활성탄 알갱이가 섞인 용액을 ... ...
- [특집] 찬란한 태양빛에서 전기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0호
- 제작했어요. 이 게임기는 태양전지로 작동해요. 또한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는 동작을 이용해 추가적으로 전기 에너지를 만들지요. 버튼을 누르고 뗄 때마다 버튼 아래에 설치된 자석이 움직여 유도전류를 만드는 거예요. 이 게임기는 맑은 날 게임을 하며 버튼을 누르면 얼마든지 게임을 즐길 수 ... ...
- [만화뉴스] 코로나19, 생활하수로 예측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0호
- 수 변동보다 6~8일 앞서 비슷한 경향을 보였습니다.1984년 핀란드에서도 생활하수를 이용해 소아마비 감염을 예방한 적이 있어요. 소아마비 바이러스 검사로 소아마비 감염자 변동을 주기적으로 파악한 거죠. 페시아 교수는 “하수 침전물 분석은 코로나19 검사 능력이 부족한 국가에서 일부 도시나 ... ...
- [기획] 금성에서 생명체 흔적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0호
- 천문학자 제인 그리브스는 미국 하와이에 위치한 제임스클러크맥스웰망원경(JCMT)를 이용해 금성 대기에서 뿜어져 나오는 전파 스펙트럼을 관찰했어요. 물질을 이루는 기본 단위인 분자는 항상 운동을 하고 있어요. 고체, 액체, 기체 등 물질의 상태에 따라 운동이 달라지는데, 뱅글뱅글 돌거나(회전),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캔은 어떻게 탄생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0호
- 캔을 이용해 움직이는 로봇을 만들어 보자!이번 스미스의 탐구생활에선 캔을 이용해 로봇을 직접 만들어 볼 거예요. 바로 아래 보이는 로봇으로, 음료수 캔을 몸통으로 하는 ‘깡통 로봇’이랍니다. 깡통 로봇 키트엔 캔을 감싸줄 몸체 고리와 건전지를 넣을 케이스, 그리고 두 개의 노란 바퀴와 ... ...
- [특집] 문질문질 꾹꾹, 움직임 속 전기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0호
- 기계공학과 톰 크루펜킨 교수는 압전 소자가 들어 있는 신발을 만들고, 이를 이용해 LED 손전등을 켜는 영상(왼쪽 사진)을 공개했어요. 크루펜킨 교수는 “이론적으로는 1m2당 10W의 전력을 만들 수 있다”며, “이는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등을 충분히 충전할 수 있는 양”이라고 얘기했답니다. _ ... ...
- [가상인터뷰] 먹으면 안 돼! 유전자로 후손에게 조언하는 예쁜꼬마선충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0호
- 피하고 증손자까지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지. 우리는 이렇게 P11 유전자 조각을 이용하여 후손에게 조언을 해. 머피 교수 연구팀은 “병을 옮기는 세균의 유전자를 감지해 생물이 세균을 피하는 행동을 하고 후손에게도 세균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첫 사례”라고 말했어 ... ...
- [쇼킹사이언스] 상어의 이빨과 피부가 없어졌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0호
- 보일 정도죠. 이 상어는 지난 7월 지중해 중서부에 있는 사르디니아 해역에서 트롤*을 이용해 낚시를 하던 어부들에게 우연히 잡히며 발견됐어요. 이후 이탈리아 칼리아리대학교 생명환경과학과 안토넬로 물라스 박사팀에 전달되어 연구되었지요.연구진이 관찰한 결과, 이번에 발견된 ... ...
- [기획] 열려라! 금성시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0호
- 우주에서부터 오는 방사능 수치도 지구만큼 낮지요.NASA에서 제안한 비행선은 태양열을 이용해 에너지를 얻어요. 50km 상공에서 약 1년간 살 수 있지요. 하지만 아직까지 상상에 불과할 뿐,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이 남아 있어요. 이연주 EU연구원은 “금성의 대기는 구름이 황산 ... ...
이전1681691701711721731741751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