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구"(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 2019 과학기술 10대 뉴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창어 4호에 실린 로버 ‘위투 2’는 달의 뒷면을 돌아다니며 수집한 데이터를 지구로 전송했습니다. 한편 올해 7월 20일은 인류가 최초로 달의 앞면에 착륙한 지 꼭 50년이 되는 날이었습니다. 미국, 러시아, 일본, 유럽 등은 2024년 다시 한 번 인류를 달에 보내는 프로젝트인 ‘아르테미스’를 ... ...
- [프리미엄 리포트] ‘소부장’ 구하러 UST 드림팀이 뜬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환경 기술에도 적용할 수 있다. 쓰레기 매립지에서 쓰레기를 태우면 질소산화물과 지구온난화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메탄가스, 이산화탄소 등이 발생한다. 이 교수는 “열 플라스마를 활용하면 소규모 쓰레기 매립지에서 발생하는 메탄과 이산화탄소를 태울 수 있다”며 “이들을 플라스마로 태운 ... ...
- 지구방위대 모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지구를 위협하는 소행성을 관측하고 충돌을 피하는 방법을 공유하지요. 가상의 소행성이 지구에 떨어진다고 가정해 모의 훈련도 해요. 올해는 4월 29일에서 5월 3일까지 미국 메릴랜드주에서 6번째 학회가 열렸어요.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가상의 소행성 ‘2019 PDC*’가 미국에 추락하는 모의 훈련 ... ...
- 소행성이 우리나라에 떨어진다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우리나라에서도 국제사회와 협력하며 소행성 위협에 대비하는 곳이 있어요. 바로 우주위험감시센터라는 곳이랍니다. 우리나라방위대, ‘우주위험감시센터 ... 용어정리*LD : ‘달’을 뜻하는 ‘Lunar’와 ‘거리’를 뜻하는 ‘Distance’의 약자다. 1LD는 지구와 달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 ...
- [Go!Go!고고학자] 알프스에서 발견된 아이스맨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고고학자들은 외치로부터 무엇을 알아냈을까요? 알프스에서 발견된 냉동인간, 외치!▲지구온난화로 인해 눈이 녹이며 한 시체가 드러났다. 당시 외치가 발견된 모습. 하반신이 아직 녹다 만 빙하 속에 묻혀있다. South Tyrol Museum of Archaeology 제공 1991년 9월, 이탈리아와 오스트리아의 국경 지역인 ... ...
- 2019 네이버 과학판 베스트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최신 전투기 등 과학기술의 최전선에 있는 국방 기술도 많은 호응을 받았습니다. 1. 지구에 구멍을 뚫고 들어가면 무슨 일이 일어날까? 2. 수많은 인류를 살린 투구게의 푸른 피 3. 전 세계 개구리를 멸종시키는 한국개구리 4. 족발에서 종종 보이는 무지개빛의 정체는 5. 총알이 날아올 때 ... ...
- 2020년 전망, 어떤 과학 이슈가 주목 받을까?과학동아 l2019년 12호
- 특히 지난해 10월 인천 송도에서는 기후변화와 관련된 6000여 건의 논문 결과를 토대로 ‘지구온난화 1.5도 특별보고서’를 발표하면서 그 필요성이 극에 달한 상황임을 강조했습니다.현재 세계 각국은 태양광에너지, 풍력에너지 등 신재생에너지의 효율을 개선하거나 새로운 신재생에너지 소재를 ... ...
- 아폴로부터 아르테미스까지, 우주복의 진화과학동아 l2019년 12호
- 회장이 설립한 버진 갤럭틱은 2020년 ‘스페이스십투’로 지상 110km까지 올라갔다가 지구로 귀환하는 여행상품을 준비하고 있다.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미국의 스페이스X도 2023년 달 궤도를 관광하고 돌아오는 ‘디어문 프로젝트’를 준비 중이다. 머스크는 이미 2017년 8월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자체 ... ...
- [특별인터뷰] 한국의 도시 생태를 연구하는, 오통스 세레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3년째 지구사랑탐사대를 함께 한 프랑스인 연구원이 있어요. 바로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의 오통스 세레 연구원이 그 주인공이지요. 어쩌다 한국에 오게 됐는지, 지사탐 활동이 그녀에겐 어떤 의미가 있는지 궁금했던 기자가 모든 것을 직접 물어봤답니다. Q프랑스에서 어떻게 한국에 오게 ... ...
- [충돌 D-DAY] 소행성의 파편이 떨어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하루 빨리 하나라도 더 발견해 감시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어요. NASA는 근지구소행성을 더 많이 찾기 위해 ‘네오캠(NEOCam)’이라는 적외선 우주망원경을 만들 계획이에요. 현재 광학망원경으로 보기 어려운 소행성도 소행성이 가진 열을 감지해 볼 수 있죠. 훈련에 참여한 과학자들은 하루 빨리 ... ...
이전1681691701711721731741751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