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국사람"(으)로 총 5,487건 검색되었습니다.
- 자작곡 어렵지 않아요! 음악 만드는 소프트웨어수학동아 l2015년 12호
- 작곡이 쉬워졌다. 전문 작곡가가 아니더라도 곡을 써서 발표하는 일이 많아진 것이다. 세계 최대 무료 동영상 공유 사이트인 유튜브에 들어가 보면 가요부터 클래식, 기타 연주곡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르의 일반인 자작곡을 만나볼 수 있다. 이처럼 작곡의 문턱이 낮아진 데는 작곡 소프트웨어(SW) ... ...
- 알록달록~! 걸음걸이를 알려 주는 신발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이젠 빨강, 초록, 파랑 3가지 색깔로 걸음걸이를 확인해 볼 수 있게 됐어요.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질량힘센터 김종호 책임연구원 팀이 촉각센서와, 알록달록 색을 낼 수 있는 LED가 달려 있는 스마트 신발을 만들었거든요.사람이 바르게 걸을 땐 발뒤꿈치와 발바닥의 중간 부분, 그리고 앞부분 순서로 ... ...
- 평생 달력 하나로 살 수 있을까?수학동아 l2015년 12호
- 2016년 달력이 곳곳에서 보이기 시작했다. 은행과 우체국을 비롯한 여러 기관에서 손님에게 내년 달력을 나눠주고, 멋진 그림을 더한 새 달력이 판매대를 가득 메운다. 하지만 새 달력 구하기를 차일피일 미룬 사람에겐 새해가 밝아도 여전히 작년 달력뿐이다. 날짜와 요일이 고정돼 있다면 어떨까. ... ...
- WMO 한국 본선 ‘2015 CMDF’수학동아 l2015년 12호
- 지난 10월 25일, 서울대학교 체육관에서 세계수학올림피아드(WMO) 한국본선 ‘2015 CMDF(창의적 수학토론대회)’가 열렸다. 2015 CMDF는 WMO위원회와 소년조선일보가 공동 주최한 대회다. 팀원과 함께 하는 토론과 퍼즐, 수학 게임을 통해 개개인의 수학 실력보다 팀원 간의 의사소통능력과 협동심, 문제해 ... ...
- 핵테러, 실험실에서 원천봉쇄한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2018년, 부산항에서 밀입국하려던 신원미상의 남자를 적발했다. 그의 소지품에서 저농축 우라늄 펠릿(원기둥 모양의 작은 제품) 수십 봉지가 쏟아져 나왔다. 같은 시각, 강원도 삼척의 해수욕장에서는 정체불명의 상자가 발견됐다. 신고를 받고 출동한 과학수사대는 상자에서 방사선이 나오고 있 ... ...
- 눈에 보이는 양자세계,초전도 현상과학동아 l2015년 12호
- SUPERMAN슈퍼도체를 발견하다네덜란드의 물리학자 헤이커 카메를링 오네스는 1908년, 끓는점이 4.2K에 불과한 헬륨을 액체로 만드는 데 성공했다. 어떤 물체를 액화시킬 수 있다는 말은, 대기압에서 그 물질의 끓는점까지 온도를 낮출 수 있다는 뜻이다. 예컨대, 대기압에서 보통 기체로 존재하는 질소 ... ...
- 파킨슨병 치료하려면 뇌에 ‘매운 맛’ 보여줘야과학동아 l2015년 12호
- 파킨슨병은 운동기능에 문제를 일으켜 결국 사망에까지 이르게 하는 퇴행성 뇌질환으로 국내에도 8만 명이 넘는 환자가 있다. 그런데 최근 국내연구진이 고추의 매운맛을 내는 성분인 캡사이신을 파킨슨병 치료에 활용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뇌’ 10월 21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 ... ...
- 암세포 골라 잡는 ‘표적 기술’ 꿈꾼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대학교 세포생물학 시간에 처음 DNA 복구에 대해 들었어요. (사람의 생사가 달려 있는) 중요한 일이라는 생각에 석사과정 때부터 이 분야를 연구하기 시작했습니다.”무수한 염기 서열로 이뤄져 있는 DNA는 자외선과 발암물질 등에 의해 서열이 변형되는 등 손상을 입기 쉽다. 다행히 인체는 이런 ... ...
- Part 2. 메가이터, 생태계를 바꾸고 진화를 일으키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30년 만에 몸무게가 20% 이상 줄고 1년 일찍 산란하도록 진화한 물고기가 있다면 믿을 수 있을까.불과 10년 만에 몸무게가 100kg 이상 늘어난 육상 포유 동물은 어떤가.실없는 소리 같지만, 실제로 일어나고 있는 일이다.인간의 먹이 활동으로 인해 동식물이 급격히 변하고 있다. 인간은 오늘날 ‘슈퍼 ... ...
- 인류의 시작부터 함께 한 학문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세련된 학과 이름 때문일까. 최근에 주목 받는 학문 같다는 말에 정은혜 서울대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는 “에너지자원공학은 인류가 태어날 때부터 사라지는 순간까지 함께 할 학문”이라고 말했다. 자원에 대한 인류의 욕구는 처음 도구를 만들었던 순간부터 시작됐다. 지금의 도구들(컴퓨터, 스 ... ...
이전1681691701711721731741751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