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세기"(으)로 총 1,785건 검색되었습니다.
- 위기의 지구를 구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00415
- 후후후... 어서오십시오. 초청장을 보고 놀라셨지요? 당신이 찾아 온 곳은 '지구의 날'의 방. 21세기 최초, 최고의 두뇌게임이 이뤄지는 현장입니다. ...
- 판타스틱! 2009 첨단 농업 쇼(1)어린이과학동아 l20091013
- 전등을 개발하고 있어요. 스마트 전등은 세포를 배양하는 단계에서부터 날짜와 시간을 계산해, 식물의 생장 과정에 알맞은 파장과 세기, 간격으로 빛을 쪼여 준답니다." 김상철(농업진흥청 생산자동화기계과) 농사짓는 로봇 출동! 그렇다면 일손이 부족할 때는? 걱정 마세요. 로봇 농민이 출동합니다~! 로봇 농민들은 혼자서 모내기와 접붙이기를 하고, 딸기 ...
- 2008년 세계를 뒤흔든 과학 Big 5!어린이과학동아 l20081212
- 연구한 결과를 보면, 이번 지진은 유라시아판과 인도판에 속하는 길이 120㎞, 폭 40㎞의 단층이 솟아오르며 일어났어. 지진의 세기를 나타내는 기준인 ‘리히터 규모’로 8.0에 해당하는 위력이었는데, 이것은 원자폭탄 252개가 동시에 폭발한 것과 같은 엄청난 힘이라고 해. 특히 이번 지진은 규모도 컸지만 낙후된 지역에서 발생해 피해가 더 컸어. ...
- 깨끗할수록 덜 엄격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081212
- 인정받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답니다. [소제시작]시간여행을 하고 온 초신성[소제끝] 아름다운 모습의 이 초신성은 16세기에 티코 브라헤라는 천문학자에 의해 관측되었던 것으로, ‘티코의 초신성’이라는 이름을 갖고 있어요. 그런데 400년이나 지난 오늘날, 이 초신성에서 분출된 빛 중 일부가 다시 관측되었어요. 우주의 먼지에 반사되면서 뒤 ...
- 백두대간 종단 열차를 타다!(2)어린이과학동아 l20081111
- 세우는 것은 물론숲이 흡수하는 온실 가스 양까지도 계산할 수 있어 백두대간의 환경을 보호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BIMG_c12} 21세기의 백두대간 지도 {BIMG_c13} 백두대간이 비교적 정확하게 산줄기를 나타내고 있지만 오늘날 첨단 조사 기법으로 확인한 지형과는 차이가 있다. 큰 유역과 분수계는 반영하고 있지만 작은 유역은 제대로 반 ...
- 진짜 vs 가짜 음모론의 과학적 해부(1)어린이과학동아 l20081031
- 남아 있지만 화성을 탐사한 NASA가 이를 숨기고 있다는 주장이었다. 화성에 생명체가 살고 있다는 이야기는 오래 전부터 있었다. 19세기에 이탈리아의 천문학자 지오바니 스키아파렐리가 화성 표면에서 관측한 ‘줄무늬’를 잘못 이해한 미국의 퍼시발 로웰은 화성에 ‘운하’가 있다고 주장했다. 로웰 외에도 화성에 생명체가 있다고 생각한 사람은 많았다. ...
- 샤랄라~, 요정이 춤을 춘 흔적이 있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081031
- 수 없는 증거에 할 말이 없어진 수피아 양. 하지만 왠지 아직도 뭔가가 미심쩍다. “뭐…, 뭐예요! 닥터고글까지 망상에 빠진 거예요? 21세기에 요정이 웬말이냐고요!” “사실은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전설은 전설일 뿐이죠. 분명히 이유가 있을 겁니다.” 닥터고글은 특수 돋보기로 버섯이 난 고리를 따라 땅 밑을 관찰하기 시작한다. 무언가를 발견 ...
- 소금 법정 대소동(2)어린이과학동아 l20081013
- 말을 비롯해 여러 소금 변호인단의 이야기, 모두 잘 들었습니다. 20세기 이전까지만 해도 ‘하얀 황금’이라고 불리며 귀했던 소금이 21세기에는 건강을 해치는 주범에 천덕꾸러기가 되어버린 게 안타깝군요. 세계적으로 고혈압과 소금에 관한 논문만 해도 무려 8000편이 넘는다는 사실에 놀라지 않을 수가 없네요. 어떠한 판결을 내려야 할지 ...
- 소금 법정 대소동(1)어린이과학동아 l20081013
- 염료와 의약품을 만들 때도 꼭 필요한 화학물질입니다. 소금이 없었다면 이 모든 일을 할 수 없겠죠. {BIMG_l13}이뿐만이 아닙니다. 17세기 초, 독일의 화학자 글라우버는 소금과 황산을 섞다가 염산 외에 황산나트륨이라는 물질도 나온다는 사실을 알게 됩니다. 발견자의 이름을 따, 글라우버의 소금이라고 불리는 이 황산나트륨은 유리를 만들 때 ...
- 한글의DNA를 찾아서(1)어린이과학동아 l20080930
- 한글은 처음에 중국어처럼 발음의 높낮이가 있었어. 글자 옆에 점을 찍어 글자를 읽는 음의 높낮이를 달리해 뜻을 구별했지만 17세기부터 음의 높낮이가 사라졌어. 그리고 내리는 눈은 길게 발음하고 얼굴의 눈은 짧게 발음하는 식의 장단으로 바뀌었지. 지금은 장단마저 사라지고 있어. 우리의 언어생활이 말 중심에서 책, 신문을 비롯해 인터넷과 같은 사 ...
이전1681691701711721731741751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