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스페셜
"
바로
"(으)로 총 1,779건 검색되었습니다.
역사와 문화가 공존하는 보배섬 '진도'
KIMST
l
2013.05.03
아래 승화후(承化侯) 온(溫)을 임금으로 추대하고 항몽 정권을 수립하여 싸웠던 본거지가
바로
진도다. 이 때문에 진도 곳곳에는 삼별초와 관련 된 역사유적이 많이 남아있다. 전남 해남 명량해협을 건너면 진도 벽파진이다. 삼별초는 당시 읍이었던 용장에 들어와 관아 와 용장사를 세우고 도읍을 ... ...
갈라파고스의 공룡은 어떻게 멸종했는가?
KOITA
l
2013.05.03
발전의 기회를 잡지 못한다. 진화론은 기술에도 적용되는 셈이다. 소니가 놓친 부분은
바로
이 원리, 특출한 개체가 아닌 최적의 개체가 살아남는다는 원리다 ... ...
"기초과학 연구지원 통해 창조경제 기여할 것"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05.03
단계까지 이뤄지는 한 단계 높은 수준의 '지원'까지 일관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바로
기초연이 수행해야할 '지원'인 셈입니다. Q.대한민국 최초 이공계 출신 대통령의 당선과 미래창조과학부의 등장에 과학기술인의 기대가 큽니다. 과학기술인의 한 사람으로서, 향후 대한민국 과학기술의 전망을 ... ...
약 먹어도 안 낫는다? 감기약 제대로 먹기 ‘4계명’
채널A
l
2013.05.02
[앵커멘트] 요즘같은 환절기에 주변에 감기로 고생하는 분들 많으시죠. 약국에서 종합 감기약 살 때 신중하셔야겠습니다. 증상에 따라 감기약이 독이 될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 ... 합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감기약은 식사시간과 무관하게 위 벽으로 흡수됩니다. 채널A 뉴스
바로
가 ... ...
인간이 불안한 이유, 빛으로 찾아내다
KISTI
l
2013.05.02
경제신문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스티브 잡스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는 시장성이 아니라
바로
휴대폰에서 단추를 없애려는 노력의 결과물”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잡스는 왜 그처럼 단추를 싫어했을까? 전문가들은 그가 ‘단추공포증’에 시달린 것으로 추정한다.단추공포증이란 말 그대로 단추에 ... ...
생체에 삽입하는 전자신분증, ‘베리칩’이란?
KISTI
l
2013.05.02
병원 출입이 잦은 노인 이 씨는 진료를 받기 위해 거쳐야 할 복잡한 등록 절차 없이
바로
치료를 받을 수 있게 됐다. 이 씨 몸에 내장된 베리칩을 스캔하면 유전정보를 포함한 생체정보와 그동안의 진료 기록들을 즉각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업무상 술자리가 많은 중견기업의 CEO인 최 씨는 최근 모 ... ...
본다는 것의 의미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떴을 때 첫 광경이 사진처럼 찍혀 고정되면 안 되니까!), 이때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게
바로
아레스틴인 셈이다. 의미2: 눈이 아니라 뇌가 보는 것인가 감각에 대해 얘기할 때 유의해야 할 부분이 감각(sensation)과 지각(perception)의 구분이라고 한다. 즉 감각기관인 눈은 시각정보를 받아들이는 곳이지 ... ...
미래를 여는 브레인 코리아 [2부]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희망이자 인간의 본질에 접근하고자 하는 철학이며 바람이다. 그 희망의 중심에
바로
대한민국 뇌 과학자들이 있다. 출연진 김영윤 - 경기대학교 범죄심리학 교수 신형철 -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이정교 -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교수 임창환 - 한양대학교 ... ...
미래를 여는 브레인 코리아 [1부]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미지의 영역 뇌의 시대가 시작 됐다! 뇌의 신비를 밝히고 뇌 질환을 정복하는 것이
바로
미래를 여는 경쟁력이다! 그 무한한 가능성을 열기 위해 한국 뇌 과학자들의 도전은 오늘도 계속 된다! 출연진 서유헌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김상윤 - 분당서울대병원 신경과 교수 ... ...
“나노기술 대중화가 나노기술 산업화 성공 관건”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더 작게 만들었고 하얗게 되는 단점을 보완해 자외선 차단효과를 오래가게 만든 것이
바로
나노기술이라는 것을 인식하는 분들은 그리 많지 않습니다.” 더군다나 최근 안전성을 검증하지 않고 무분별하게 의약품에 사용해 오남용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처럼 일부의 사례를 가지고 나노기술 전체에 ... ...
이전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