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솜씨
테크닉
재주
기량
서술
숙련
수완
d라이브러리
"
기술
"(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DNA&RNA 백신_코로나19 백신 Covid-19-vaccine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백신 개발 전략이다.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 DNA, RNA 같은 핵산이 주성분이다. 유전공학
기술
이 발전하면서 백신 연구자들은 바이러스의 항원을 발현하는 염기서열 전체 또는 일부를 합성할 수 있게 됐고, 이를 이용해 핵산 백신이 등장했다. 핵산 백신은 세포 속으로 들어가 세포가 항원 단백질을 ... ...
바이러스는 생물일까 무생물일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세균의 차이가 점점 좁혀지고 있다.이런 변화의 계기는 바이러스 유전체 분석
기술
이 발달함에 따라(이 내용은 다음 장에서 자세히 나온다) 기존에 알려진 바이러스보다 좀 더 세균에 가까운 새로운 바이러스들이 발견됐기 때문이다. 그 중에서도 크기가 세균만큼 큰 거대 바이러스들이 주목받고 ... ...
1954년 바이러스를 시험관에서 배양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백신 개발로 이어졌다. 또 다양한 표본 조직에서 바이러스를 배양하고 분리하는
기술
은 바이러스 연구를 한 단계 발전시켰다. 엔더스와 웰러는 1954년 12월 노벨상 수상 기념 연설에서 “연구 결과는 우리 셋만의 노력이 아니라는 점을 상기시키고 싶다”며 “우리가 연구할 때 마음과 힘을 합친 ... ...
1984년 단일클론항체를 만들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이 연구를 할 수 없었다”고 썼다. 밀스테인은 노벨상 수상자 강연에서 “세포융합
기술
은 상업적으로 가치가 없어 보였던 수많은 기초 연구의 부산물”이라며 “좋은 실험을 하고 나머지는 걱정하지 말라는 연구소의 지원 덕분에 개발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한편 쾰러, 밀스테인과 함께 노벨 ... ...
성층권에 드론 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등도 활발히 연구되고 있지요. _INTERVIEW 이융교(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항공
기술
연구부 책임연구원) “EAV-3는 세계에서 세 번째로 성층권에 진입한 태양광 드론이에요” Q QEAV-3는 동력 없이 어떻게 떠오르나요?EAV-3는 최대한 가볍게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비행기처럼 활주로를 달릴 바퀴가 없어요. ... ...
[특집] 수학으로 따지기1. 외계인은 진짜 있을까?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탄생할 조건을 드레이크 방정식보다 명확하게 정의한 거예요. 그 결과 통신
기술
을 지닌 외계 문명이 최소 약 36개라고 밝혔어요. 똑똑하지 않아도 좋아! 시거 방정식지적생명체까지는 바라지도 않고 지구가 아닌 다른 행성에 생명체가 있는지만 알아보는 방정식을 만든 과학자도 있어요. 2013년 ... ...
[기획] Maker. 게임 밸런스의 핵심은 수학!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최근에 출시되는 게임들은 대부분 동적 밸런스 방법을 사용해. 게임 도중에 유저의
기술
을 실시간으로 분석해 난이도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거지. 예를 들어 레이싱 게임은 플레이어의 순위가 내려가면 차의 최고 속도가 높아지고, 움직임을 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만들어 난이도를 낮춰줘. 순위에 ... ...
[가상인터뷰] 기름 잡으러 폴라리스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반면, 난 바닷속에서도 위치를 파악할 수 있어. 음파로 위치를 파악하는 ‘소나’
기술
을 활용하거든. 나는 소나 장치로 음파를 쏘아 해저지형이나 빙하에 부딪혀 돌아오는 시간으로 내 위치를 알아낸단다. Q 지금은 무얼 하고 있어?A 몬테리만해양연구소는 우주홀해양연구소와 함께 북극 바다에 ... ...
바이러스는 얼마나 다양할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바이러스의 이름뿐만 아니라 각 분류 체계 역시 수정될 수 있음을 말하고 있다. 첨단 과학
기술
이 발달한 지금도 바이러스 세계는 아직 명확히 정립되지 않은, 미지의 세계인 셈이다 ... ...
[특집] 수학으로 따지기2. 외계인을 어떻게 찾아?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다른 생명체가 살고 있다는 사실을 깨달을 수도 있겠죠? 연구팀은 2016년부터 20년 동안
기술
을 개발하고 2036년에 우주탐사선을 우주로 보내면 2056년에 프록시마 b에 도착한다고 밝혔습니다. 프록시마 b의 정보를 담은 전파는 지구까지 오는데 약 4.37년이 걸리니까 2060년에는 외계생명체의 존재를 ... ...
이전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