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전"(으)로 총 6,906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웨어러블 미생물 전지 시대!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양말요? 응용 분야를 잘 찾은 경우라고 볼 수 있겠네요.”물고기 순환계 모방한 웨어러블 발전소오줌 미생물연료전지 프로젝트를 성공한 뒤, 평소 웨어러블 기술에 관심이 많았던 이에로풀로스 교수는 곧바로 둘을 융합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물론 쉽진 않았다. “부드러운 튜브 형태의 ... ...
- [News & Issue] 지카 잡으러 총출동한 과학자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몇 년 전까지는 낮은 해상도 때문에 잘 사용되지 않았지만 장비와 이미지 소프트웨어의 발전으로 이제는 Cryo-EM으로도 4Å(옹스트롬, 0.1nm)까지 구분할 수 있는 초고해상도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이를 증명이라도 하듯 Cryo-EM으로 지카바이러스의 구조를 알아낸 연구 결과가 ‘사이언스’와 ... ...
- Part 2 인체 플랫폼화 기술이 넘어야 할 장벽 5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발에 물집이 생긴다는 점이 정말 놀랍다”고 말했다.인체 플랫폼화 기술이 한 단계 더 발전하려면 신체와의 결합 문제를 꼭 풀어야 한다. 예컨대, 인공 망막은 개발이 완료되고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기까지 10여 년이 더 걸렸다. 시신경에 전기 신호를 보내주는 마이크로 칩을 망막에 ... ...
- [수학뉴스] 필즈상 수상자, ‘기부’라는 따뜻함 남기고 하늘나라로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칼리지에 필즈 메달을 포함해 약 10만 파운드, 한화로 1억 6000만 원을 발전 기금으로 기부한 것이지요.이렇게 따뜻한 마음 씀씀이를 지닌 로스는 1958년 필즈상을 수상한 정수론의 대가입니다. 가장 유명한 업적은 초월수의 성질을 연구한 ‘로스 정리’입니다. 1955년 유리수를 계수로 갖는 방정식의 ... ...
- [과학뉴스] 우리나라 신생아 5.5%가 기형아과학동아 l2016년 06호
- 1만 명당 9.7명에서 2009~2010년 117.9명으로 크게 증가했다.연구팀은 논문에서 “진단 기술의 발전으로 심장결손 진단을 받은 출생아가 크게 는 것으로 추정된다”며 “그러나 일부 선천성기형에는 환경오염이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학술지 ‘BMC 임신과 출산’ 3월 2 ... ...
- [News & Issue] 경쟁하는 너? 스트레스 받는 나!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인류가 지닌 고도의 사회적 인지 능력이, 무제한의 경쟁이라는 결과를 낳을지 혹은 발전적 협력이라는 결과를 낳을지는 바로 우리의 선택에 달려있다.인류학자 마샬 살린스는 인간의 생물학적 조건과 생태적 제한이 진화의 방향을 결정했다고 믿었다. 하지만 동시에 그렇게 진화한 인간의 인지 ... ...
- [Knowledge] 생명과학의 성배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유전자의 눈’ 관점은 1976년 리처드 도킨스가 저술한 ‘이기적 유전자’를 통해 크게 발전해 행동생태학의 전분야를 통합하는 중심 이론으로 자리잡았다.공정하게 말하면 이렇다. 해밀턴이 ‘유전자의 눈’ 관점의 씨앗을 심었다면, 도킨스는 이를 거목으로 뿌리내리게 했다. 도킨스의 ‘이기적 ... ...
- Part 1 인체 플랫폼화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환자의 기관이 있던 자리에 이식했다. 최근 3D 바이오 프린팅 기술과 줄기세포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기관지뿐만 아니라 다양한 환자 맞춤형 인공생체를 만드는 시도가 활발하다. 인공 심장펌프와 압축공기 등 기계 장치를 이용한 인공심장은 50여 년 전부터 개발이 진행돼 왔다. 초기 인공심장은 ... ...
- [수학뉴스] 대한민국이 키우는 문제 해결사, 산업수학!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수학은 학교를 졸업하면 쓸모가 없다는 편견이 곧 수그러들 전망입니다. 지난 4월 27일 경기도 과천시 정부과천청사에서 열린 제20회 국가과 ... 물론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뇌과학 같은 기술 분야의 문제도 지원합니다. 산업수학이 발전할수록 일반 국민의 삶도 나아질지 눈여겨볼만합니다 ... ...
- Part 4 인간과 기계의 경계가 무너진다 ... 우리의 선택은?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공동으로 번영하는 것을 상상할 수 있는 새로운 언어적 문법이 필요하다. 과학기술의 발전적 적용에 대해 원칙적으로 반대하지 않으면서, 거기에서 파생되는 해로운 결과에 대한 무지나 무책임성에 대해 비판할 수 있는 도덕적 상상력 또한 필요하다. 무조건적인 제한이나 금지보다, 가능한 파괴적 ... ...
이전1691701711721731741751761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