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실"(으)로 총 2,011건 검색되었습니다.
- 2. 음극선에서 방사선까지, X선 탄생 드라마과학동아 l1995년 07호
- 좀처럼 분명하게 결판이 나지는 않았다. 마침내 1912년 당시 뮌헨의 좀머펠트 이론물리연구실에서 일하던 막스 폰 라우에(Max von Laue, 1879-1960) 발터 프리드리히 (Walther Friedrich, 1883-1968) 파울 크니핑(Paul Knipping, 1883-1935)이 이 문제를 해명할 결정적인 실험인 결정격자에 대한 ...
- 곤충의 생체시계는 어디에 있나과학동아 l1995년 07호
- 한다고 주장하기도 하였다.바퀴벌레의 생체시계 구조프린스턴 대학의 피텐드리히 교수 연구실은 여러 형태의 실험을 행하여 바퀴벌레의 성충행동을 지배하는 체내시계의 구조를 밝혔다.(그림3)은 이들이 밝힌 체내시계의 모식도로서, 시계는 전대뇌에 있으며, 시엽과 뇌간부의 두 부분으로 되어 ... ...
- 2. 동아리의 천국, 느낌을 중시하는 과학문화 창출과학동아 l1995년 07호
- 자신과의 끝없는 만남이 계속된다. 그래서 캠퍼스의 밤은 오히려 생기에 찬다. 그래서 연구실은 불이 꺼지지 않고 동아리는 밤을 세워 새로운 진실을 이야기한다.기숙사는 이들에게 좋은 은신처를 제공한다. 자동차에 찌든 거리를 지나 집으로 가야할 의무도 없고 아르바이트로 시간을 재촉할 ... ...
- 3. 세계 10위 목표, 지식보다 상상력 소중히과학동아 l1995년 07호
- 중이다. 1992년에는 우리나라 최초의 과학축제 'SEE-KAIST'가 열렸다. 지난 5월에도 많은 교수연구실, 기업체, 과학고가 참여하여 축제를 벌였다. 각 교수들의 연구과제를 방문객에게 소개하고 개발된 기술을 자랑하기도 한다. 기업체에서도 최근의 개발품을 소개하고 학생들을 위한 기업설명회도 ... ...
- 1 우주팽창속도·거리 계산, 80억년 추정과학동아 l1995년 06호
- 1993년까지 카네기 천문대에서 연구원으로 있을 당시, 필자의 연구실은 프리드만의 연구실에서 5m 정도 떨어져 있었다.무엇이 문제일까우주의 나이 문제에 있어서 과연 무언이 틀렸을까? 가능성은 구상성단의 나이가 틀렸거나, 팽창 우주의 나이가 틀렸건, 둘 중의 하나다. 아니면 두 가지 다 틀렸을 ... ...
- 음성인식 시스템 국내 첫 선과학동아 l1995년 06호
- 이를 성공적으로 상용화하고 있는 예는 없다. 이번에 국내에서 선보인 것도 역시 연구실 수준의 시스템으로, 상용화에는 좀더 연구가 진척돼야만 한다.한편 한국통신은 또한 이번 연구 결과를 토대로 세계적으로는 캐나다의 노던 텔레콤이 현재 시험 서비스중인 음성인식 증권정보 안내 시스템을 ... ...
- 최초 에이즈 환자는 '59년 사망한 영국 청년?과학동아 l1995년 05호
- 찾아내는 기술이 확립돼 있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검출된 HIV-1 바이러스가 호의 연구실에서 실험도중에 오염된 것일 수 있다.호의 연구결과는 곧 권위있는 네이처(Nature)에 실릴 예정인데 자존심에 큰 상처를 입은 맨체스터대학 의학자들의 대응이 어떻게 펼쳐질 것인지도 관심거리로 남아 있다. ... ...
- 과학고 1회·과기대 1회·박사 1호 정근창박사과학동아 l1995년 05호
- 종사하고 있다. 그중에 선두주자가 바로 정근창 박사이다.정박사를 만나기 위해 그의 연구실 문을 노크했을 때 처음 눈에 들어온 것은 컴퓨터 모니터. 화면에는 복잡한 분자식이 아니라 안경 낀 학생(?) 하나가 돌도 안된 아기를 안고 있는 모습이 떠 있다. 화면의 주인공이 정박사임을 확인한 후 ... ...
- 1 기초과학은 현대산업의 쌀과학동아 l1995년 04호
- 분이다. 30여년 전 필자가 콜럼비아대학에서 박사과정을 밟고 있었던 여름에 그 분의 연구실에서 조수로 일한 적이 있었다.대학원에 갓들어간 처지라 별로 아는 것도 없기에 내가 맡은 업무라고는 타운스 박사가 만든 메이저(Microwave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 MASER는 레이저 ...
- 1. 사용자 신체·심리 특성 맞춰 제품 만든다과학동아 l1995년 03호
- 그후 원자력발전소의 주 제어실 설계와 관련, 한국 원자력 연구소에도 인간공학연구실이 생기게 됐다.그러나 우리나라의 인간공학 분야는 아직 초기 단계에 있다. 이는 달리 말해 우리나라 사람들에 대한 다양하고도 충분한 특성자료를 확보하지 못한 상태라는 의미다. 인간공학 분야는 조사와 ... ...
이전1691701711721731741751761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