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사람
세상
중생계
인간세계
세계
지구
d라이브러리
"
인류
"(으)로 총 4,243건 검색되었습니다.
확산, 기체 분자 스스로 떠나는 여행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하지만 다공성 막을 통한 기체 확산 속도도 여전히 기체 분자량의 제곱근에 반비례한다.
인류
는 다공성 막을 통한 확산을 역사적으로 어디에 처음 응용했을까? 제 2차 세계 대전 중에 원자 폭탄을 만들기 위해 방사성 동위 원소 235U가 풍부한 우라늄이 필요했다. 천연 우라늄에는 235U가 단 0.7% 만 ... ...
특명! 이산화탄소를 잡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땅에 사는 생물들이 610기가톤을 저장하는 것에 비하면 정말 어마어마하지? 또 매년
인류
가 만들어 낸 이산화탄소의 20~30%도 바닷물이 흡수하고 있어. 바다가 이산화탄소의 자연 저장고인 셈이야. 그래서 넘치는 이산화탄소를 바다에 더 많이 녹여서 가두자는 과학자도 있어.식물플랑크톤으로 ... ...
긴급진단 지구가 아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경험은 창의적인 인재가 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거예요. 어렸을 적부터 지구와
인류
의 문제에 대해 고민하고 직접 탐구할 수 있는 기회니까요.뉴칼레도니아는 오염되지 않은 깨끗한 바다와 희귀동물이 살고 있어요. 한때 환경오염으로 자연이 파괴되기도 했지만, 지금은 이를 잘 극복해 자연을 ... ...
Part 2. “불가능은 없다” 양자미션5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케네디가 “마음으로의 달여행”이란 새로운 도전을 제창했다. ‘내부 우주’이자
인류
의 마지막 미개척지인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 것’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서다. 미국 캘리포니아대(산타바바라) 심리학과 교수 마이클 가자니가는 ‘왜 인간인가?’라는 책에서 그 답을 우리의 ‘뇌’에서 ... ...
상어에 강한 턱이 없다면?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턱이 분리되는 수염고래는 입을 크게 벌려 많은 양의 먹이를 한꺼번에 쓸어 담는다. 반면 턱이 분리되지 않아 입을 크게 벌릴 수 없는 상 ... 형태가 서서히 변해가는 현상을 볼 수 있다. 1000년이 지난 뒤 패스트푸드를 즐겨 먹은
인류
의 턱뼈는 어떻게 변화할지 상상해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 ...
위기에 처한 남태평양을 구하라!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연구센터는 전통의학지식의 가능성에 주목했다. 지역의 전통문화를 보존하면서
인류
에게 이로운 새로운 물질을 찾는 좋은 길잡이라고 본 것이다. 이곳 사람들이 배 아플 때 먹었던 약초의 성분을 연구한다면 획기적인 신약을 얻을지도 모른다. 무턱대고 찾는 대신 이 지역에서 천 년간 살며 쌓아온 ... ...
[knowledge] 고대 화장품은 현대 화장품과 다르다? 같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행위는 우주의 순리와 질서를 따르는 작업인 셈이다.염색약에 페디큐어까지 이집트 화장
인류
최초의 화장은 기원전 7500년 이집트에서 시작했다. 하지만 지난해 1월 ‘미국립과학원회보(PNAS)’에 실린 연구에 따르면 화장의 역사는 이보다 훨씬 전인 5만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영국 브리스톨대 ... ...
과학적인 미래 연구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줄이면서 안전하고 가장 유망한 기술. •우수형질을 결정하는 유전자를 폭넓게 연구해
인류
식량난을 극복하고 싶음. 전반적으로 결론을 유도하는 과정이 조금 빈약했다. 분자 육종법이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라고 주장하려면 분자 육종법으로 인해 생산성이 좋아진 실험결과 또는 우수한 품종을 ... ...
인간을 품은 거대한 요람, 숲의 위기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한 해에 68t이나 되는 먼지를 걸러낸다. 수많은 동식물을 길러내는 요람이기도 하다.
인류
는 숲으로부터 생명을 이어주는 먹을거리와 튼튼한 목재도 얻어왔다.그런데 지구의 숨통이 조이고 있다! 숲이었던 곳에 풀과 나무가 사라져 사막처럼 변해버린 곳도 생겨났다. 가뭄이나 건조화 현상 같은 ... ...
원전, 방사능, 에너지 총정리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원전이 얼마나 한 순간에 위험에 빠질 수 있는지를 똑똑히 체험할 수 있었다. 원전은
인류
가 탄생한 이후 ‘안전하게 관리한다’는 말을 가장 많이, 자주 사용한 기술 중 하나다. 실제로 안전을 최우선시했겠지만 그래도 적지않은 사고가 있었고, 안전을 의심하는 숱한 ‘의혹’들과 싸워야 했다. 2 ... ...
이전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