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항공
범죄
추행
부정 행위
악행
날기
미친 짓
뉴스
"
비행
"(으)로 총 2,200건 검색되었습니다.
한 번 뜨면 2주 이상
비행
하는 성층권 드론의 비밀은?
동아사이언스
l
2017.09.15
3의 성층권
비행
에 성공했지만 고용량 배터리 없이는 장시간
비행
이 어려워 올해는 시험
비행
을 취소했다”고 밝혔다. 세계 각국은 차세대 배터리 기술 개발에 혈안이 돼 있다. 전기자동차 등 장시간 사용이 중요한 제품들이 속속 등장하면서 같은 무게의 배터리에 충전 용량을 지금의 몇 배 늘린 ... ...
[카드뉴스] 마지막 임무를 준비하는 토성 탐사선 ‘카시니’의 성과 9가지
동아사이언스
l
2017.09.15
토성에 네 번째로 근접했다. 5. 발사 이후 50억 마일
비행
카시니는 80억㎞(50억 마일)을
비행
했다. 2008년 임무 종료 예정이었으나 타이탄을 127회 플라이바이 함으로써 가능했다. 6. 635GB 분량의 자료 전송 카시니가 보낸 엄청난 자료는 3948건의 논문을 탄생시켰다. 위성 엔셀라두스에서 물기둥을 ... ...
[수고했어! 카시니] 임무 끝내는 토성 탐사선의 20년 여정
동아사이언스
l
2017.09.15
생명체 있을까? 그런데 카시니는 어떻게 이렇게 오랜 시간 동안 멀리 떨어진 우주로
비행
을 계속할 수 있었을까요? 카시니는 행성의 중력을 이용해 추진력을 얻는 ‘플라이바이’ 기법을 활용했습니다. 플라이바이는 스윙바이라고도 불립니다. NASA는 카시니의 일거수 일투족을 인터넷에 ... ...
9가지 숫자로 본 토성 탐사선 카시니의 일생
동아사이언스
l
2017.09.15
50억 마일 지구에서 출발한 카시니호는 지금까지 10억 마일의 5배 거리(약 80억 km)를
비행
했다. 본래 2008년 임무를 종료할 예정이었던 카시니가 9년 더 운행할 수 있었던 것은 타이탄의 역할이 압도적으로 컸다. 타이탄의 중력을 이용해 127회나 플라이바이를 함으로써 추진력을 얻었기 때문이다. 6: ... ...
쥐라기 하늘에서 ‘좀 날렸던’ 포유류
과학동아
l
2017.09.08
“새롭게 발견된 화석은 쇄골이 단단하고 치골이 조류의 모양과 유사하다”며 “
비행
시 어깨의 움직임이 달랐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doi:10.1038/nature23483, doi:10.1038/nature2347 ... ...
우리 가족이 만드는 4차산업 메이킹 프로그램 인기 UP!
동아사이언스
l
2017.09.06
기본
비행
교육을 받은 후 직접 경주를 해볼 수 있는 드론 레이싱 대회도를 개최, 드론
비행
및 조종 원리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서부 경기문화창조허브 제공 우리 가족 메이킹 보행 로봇 프로그램은 로봇 기초 교육 후 집게 로봇을 제작, 다양한 미션 수행을 통해 로봇에 대해 배웠다. 로봇 미니 ... ...
VR-NET으로 앞서가는 핵비확산‧핵안보 교육훈련
동아사이언스
l
2017.09.04
NASA)은 우주왕복선
비행
시 일어나는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가상현실 시스템을 우주
비행
훈련에 활용해 왔다. 이후 21세기에 들어 미 육군은 ‘아메리카 아미(America’s Army)’라는 제목으로 1인칭 슈팅게임을 만들어 훈련 및 홍보에 적용해 큰 성과를 거뒀다. 일본에서는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VR ... ...
[돈테크무비] 하이퍼루프는 콩코드의 실패를 극복할까?
2017.08.27
살아남을 것인지 매우 흥미진진하게 관찰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음속의 두 배로 날아
비행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였지만, 엄청난 연료 사용에 따른 비용 부담과 단 한번의 추락사고로 인해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 콩코드기처럼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 필자소개 이철민. 학부에서 ... ...
경량화-성능 안정화 성공… ‘한국형발사체’ 우주 향한 꿈 순항 중
동아사이언스
l
2017.08.11
벗어난 진공 상태의 우주공간에서
비행
하기 때문에 이와 유사한 조건에서 엔진의
비행
중 성능을 검증하는 데 활용된다. 현재는 75t급 엔진을 고공연소시험을 위해 진공 챔버에 설치 중이다. - 고흥=송경은 기자 kyungeun@donga.com ― 이 기사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 ...
호박 속에 생생하게 남은 9900만 년 전 아기 새
과학동아
l
2017.08.07
어린 상태라는 사실을 알아냈다. 또 컴퓨터단층촬영(CT) 장비를 이용해 살아 있을 당시
비행
하는 모습을 생생하게 복원해냈다. 연구 결과는 지구과학 저널 ‘곤드와나 리서치’ 9월호에 실릴 예정이다. doi:10.1016/j.gr.2017.06.00 ... ...
이전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