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핍
종족
불충분
결여
모자람
결손
미비
스페셜
"
부족
"(으)로 총 1,764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이오분야 학계와 산업계간 소통 절실…생명공학 인력 DB확보로 해결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1.09.05
교수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대학원생이나 박사 후 연구과정 학생들에 대한 정보가
부족
한 상황이다. 생명공학 인력과 관련 연구 분야가 정리되면 산업계에서 필요한 인력을 적재적소에 배치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이 과장은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를 최대한 활용하고 기타 부처에서 ... ...
“시장에서 필요한 지재권 확보로 바이오 경쟁력 확보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8.17
이들을 지원하는 CEO나 연구관리자들도 제조 측면만 강조할 뿐 특허 마인드가
부족
합니다. 지재권에 대한 제대로 된 인식 없이는 지식경제 사회로 전환은 쉽지 않을 것입니다.” 이 같은 생각은 미국 생활을 할 때 확고해졌다. 지금은 국내 지식재산 분야 권위자로 알려져 있는 그도 사실은 ... ...
한국 바이오 기업이 주목해야할 미국 바이오 분야의 특징들
동아사이언스
l
2011.07.20
또 다른 문제”라면서 “벤처가 망해도 복귀할 대학이 있는 교수에게는 그만큼 절박함이
부족
할 수밖에 없다”고 일침을 놓았다. 미국 바이오기업 투자전문가인 김병수 박사도 여기에 동의했다. 김 박사는 “한국과 일하면서 가장 바뀌었으면 하는 게 바로 그 점”이라며 “벤처를 창업하고 2년쯤 ... ...
“연구자 홀로서기 지원하는 박사후연구원 정책 필요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7.18
있어도 재정 지원을 받지 못해 사장되는 경우가 종종 있어요. 교수로 임용된 뒤에도 재정
부족
과 경험 미숙으로 어려움을 겪습니다. 이런 일을 최대한 줄이려는 취지로 만들어진 미국 국립보건원(NIH)의 연구개발(R&D) 정책을 소개하고 싶습니다.” 박 회장은 박사후연구원을 대상으로 하는 ‘NIH Pathway ... ...
“이제 ‘블록버스터’ 시대는 갔다…하지만 정부는…”
동아사이언스
l
2011.06.08
기술가치를 평가하는 전문 인력이 필요하다. 국내 수준은 아직 역량이 낮고 수적으로도
부족
하다. 평가 주체에 따라 기술가치가 천차만별이고 사실상 대충 감으로 말하는 수준이다. 정부 차원의 뚜렷한 인력 양성 방안은 아직 없는 상황이다. ▽신상모 교수=정부 차원의 인위적인 전문 인력 양성은 ... ...
“생명공학 발전 위해 부처간 조정이 필수적입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6.06
이 단장은 또 연구자들이 지나치게 바쁜 것도 어려운 부분이라고 밝혔다. 연구 인력이
부족
한 데다 지나친 경쟁체제 때문에 연구자들이 모여서 교류하기 힘든 탓이다. 그는 “강의를 하거나 개인 연구 과제를 몇 개씩 진행하면서 융합연구까지 참여하다 보니 기존에 자신이 하던 연구만을 ... ...
“바이오연구 지원 ‘그랜트’ 형식해야 발전”
동아사이언스
l
2011.05.11
넘어가야 우리나라 생명공학 분야의 발전이 이뤄질 수 있지만 아직 우리나라는 이것이
부족
하다”고 말했다. “생명공학은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High Risk High Return·고위험 고수익)의 특징을 갖고 있는 분야입니다. 우리나라는 관련 산업의 규모가 작아서 이를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이에요.” 이 ... ...
BT기술 경쟁력 생물자원 확보에서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2.24
유전정보는 신약개발 등 다양한 산업의 밑거름으로 이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부족
한 예산은 문제로 지적된다. 선진국의 경우 BT 예산 대비 10%정도를 생물자원을 확보·분석·관리하는데 쓴다. 이와 달리 국내는 약 5% 수준이다. 특히 국내에서 생물자원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기 시작한 건 1 ... ...
“역량·도전의지 갖춘 인재 확실하게 밀어줘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1.11
세계수준의 생명공학 기업이 없습니다. 투자가
부족
한 이유도 있지만 연구자들의 도전이
부족
한 탓도 분명 있습니다.” 이상엽 KAIST 생명과학기술대학 학장(47)은 5일 대전 KAIST 사무실에서 기자와 만나 “연구자들의 도전을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연구자들 스스로의 노력도 중요하지만 이들이 마음껏 ... ...
“미래성장동력 BT에서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1.05
떨어지고 목표지향적으로 나가기 어려웠다. 외국에서 이러한 연구를 하니까 능력이
부족
함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 연구단을 일단 출범시키는 경우도 있었다. 국과위에서 지난 10여 년 동안 대형 국책과제를 중심으로 자기반성을 해야 한다. 지경부에서는 뇌 연구와 IT를 융합해 5년 안에 사업화할 수 ... ...
이전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