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질병
병
병환
병고
우환
스페셜
"
질환
"(으)로 총 1,776건 검색되었습니다.
기술혁신으로 본 새로운 기회 탐색
KOITA
l
2013.07.26
세계화 등과 함께 새로운 변화의 시기에 직면하고 있다. 매년 2600만 명이 암, 심장계
질환
또는 당뇨병으로 죽는다. 미국 GDP 의 약 20%는 보건의료 쪽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6.5 trillion 이 보건의료에 사용되고 있다. 인간유전체프로젝트가 완료되었을 때 기대와는 다르게 기술발전이 ... ...
"나노연구는 기초연구가 곧 응용연구"
동아사이언스
l
2013.07.25
볼 수 있다. 인체에 직접 닿아 전류를 흘리는 기존 방식을 개선한 것이다. 이를 혈관
질환
이나 간질병 등의 치료에 응용할 수 있는 연구를 수행, 곧바로 산업 현장에 적용하는 게 목표다. ● 장기적인 안목으로 꾸준히 연구 이어져야 기초연구 단계에서 산업화를 고민하고 응용연구로 ... ...
[채널A] 임신부 혈액만으로 임신중독증 조기 진단
채널A
l
2013.07.25
‘빠르다’고 할 정도로 고령 출산이 늘고 있는데요.나이든 임신부가 특히 조심해야 할
질환
이 임신 중독증입니다. 어떻게 대처해야할 지, 이현경 과학전문 기자가 알려드립니다. [리포트] 나흘 전 첫 아이를 출산한 35세 산모 선우 영씨. 출산예정일을 2주 남겨 놓고 급히 제왕절개 수술을 받아야 ... ...
루게릭병(근위축측삭경화증)의 신규 조절 단백질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3.07.23
MST1 (mammalian STE20-like kinase 1)의 기능을 규명하여 희귀 난치성 신경계 및 근육
질환
인 루게릭병 치료를 위한 신약개발의 새로운 전기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 최의주 교수의 주도로 이재근 박사(제1저자)와 신진희 연구원 등이 함께 수행한 이번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 ...
[채널A] 잘못 먹으면 오히려 ‘해’…여름 보양식 고르는 법
채널A
l
2013.07.14
것이지만 오히려 해가 될 수도 있습니다. 평소 열이 많고 땀을 많이 흘리는 사람, 심장
질환
이 있거나 이뇨제를 복용하는 환자는 피해야 합니다. [인터뷰 : 이준희/경희대학교 한방병원 사상체질과 교수] 속에 내열이 많이 생기고 얼굴 쪽으로 상열증이 잘 옵니다. 성질이 차고 기운을 아래로 내려줄 수 ... ...
[채널A] 찬 음식 먹은 후 이유 없이 복통…방치하면 ‘큰 코’
채널A
l
2013.07.07
진단 당시 장이 이미 많이 망가져서 협착이 일어난 상태로 오는 사람도 많고. 염증성 장
질환
은 평생 완치가 어렵습니다. 전문가들은 균형 잡힌 식습관과 꾸준한 건강검진이 중요하다고 당부했습니다. 채널A 뉴스 이영혜입니다. (모바일에서 영상보기 : http://news.ichannela.com/society/3/03/20130706/56319853/1 ... ...
나노기술을 이용한 비주사형 점막백신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3.07.03
점막은 바이러스가 침입하면서 처음 통과하는 곳으로 점막면역을 강화하는 것이 감염성
질환
에 대한 예방법이 될 수 있어 백신의 전달과 면역반응 유도를 도울 항원보강제를 개발하는 것이 관건이었다. 점막의 생체방어기작으로 인해 백신을 전달하는데 어려움이 있었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 ...
닐스 보어는 어떻게 양자역학의 전설이 되었나
동아사이언스
l
2013.07.02
이론그룹은 1957년까지 코펜하겐에 있었다. 보어는 77세인 1962년 11월 18일 자택에서 심장
질환
으로 사망했다. 1965년 10월 7일, 보어 탄생 80주년을 맞아 물리학연구소는 ‘닐스보어연구소’로 이름을 바꿨다. 하이젠베르크(왼쪽)와 보어. 두 천재가 주도한 1927년 ‘코펜하겐 해석’은 양자역학의 ... ...
생활 속 전자파 줄이는 법! 관건은 '이것'
KISTI
l
2013.07.01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아주 강한 전자파는 스트레스를 일으키거나 심장
질환
, 혈액의 화학적 변화를 유발할 수 있으며 남성의 경우 정자 수 감소, 여성의 경우 생리 불순 및 기형아 출산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기도 했다. ◆ 가전제품 30cm 떨어져 사용하는 것이 ... ...
필라델피아 염색체를 아십니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6.27
달라붙어 작용을 억제했다. 그런데 회사로서는 실망스럽게도 만성골수성백혈병은 희귀
질환
으로 미국에서 연간 5000명의 신규환자가 보고되는 수준이었다. 그럼에도 매터는 특정 분자를 표적으로 한 최초의 항암제 개발이라는 데 의미를 두자며 임상을 시작하자고 간부들을 설득했다. 글리벡의 ... ...
이전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