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간"(으)로 총 5,5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숲이야기] 두 생물이 합쳐 강해진 지의류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바깥에 박테리아와 각종 씨앗, 지의류와 조류를 아무 보호 장치 없이 붙여놨어요. 우주공간에 지구 생물이 그대로 노출될 경우 어떤 영향을 받을지 알아본 거지요.이 생물들은 우주에서 18개월 동안 지구보다 1000배나 강한 ‘자외선 폭격’을 당하고, 영하 12℃에서 영상 40℃까지 오르내리는 온도 ... ...
- [News & Issue] 어서와, 이런 알바는 처음이지?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연구하는 학자들이 많다. 성장 속도가 빨라 표현형을 확인하기 쉽고 비교적 좁은 공간에서 싼 가격에 키울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국내의 웬만한 대학에는 초파리 연구를 하는 학자가 한 명씩은 꼭 있을 정도다. 때문에 생명과학과 출신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은 초파리 실험실에서 알바를 모집하는 ... ...
- 거꾸로 푸는 역문제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질량을 가진 물체가 가속운동하면, 물체 주위로 퍼져나가는 시공간의 잔물결이다.공간이 늘었다 줄었다, 시간이 느려졌다 빨라졌다를 반복하며 퍼져나가는 것이다.] 참고 논문 : 이의철의 , 국제전기전자기술자협회(IEEE)의 외 ... ...
- [수학동아클리닉] 삼각형의 세계를 찾아서!수학동아 l2016년 04호
- ‘들로네 삼각분할’이다. 들로네 삼각분할은 평면 위의 점을 연결해 삼각형을 만들어 공간을 분할하는 방법이다. 각 삼각형은 최대한 정삼각형에 가까워야 한다. 이 삼각형은 어디에 이용될 수 있을까?도시와 도시를 연결하는 도로망을 설계할 때 이 들로네 삼각분할을 참고 모형으로 활용한다. 한 ... ...
- Part 3. ‘딥러닝’ 넘어야 인공지능 시대 온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복잡도에 비해 데이터가 현저히 부족한 경우에 종종 발생하는데, 문제가 정의된 전체 공간을 학습 데이터가 아우르지 못하고 일부 경우에만 집중했을 때 치명적이다. 특히 딥러닝은 다른 기계학습 방법에 비해 훨씬 더 많은 변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웬만한 데이터 크기로는 모든 경우를 포함할 수 ... ...
- [News & Issue] 2020년, 암흑물질 잡는 특별한 망원경이 온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빛이 어떻게 휘는지 등 별 하나와 관련된 정보량이 어마어마하다. 이런 정보는 은하의 공간 분포는 물론이고, 은하의 모양과 크기가 과거에 어떻게 변해왔는지를 알려준다. INTERVIEW 스티븐 칸 LSST 총괄 책임 디렉터(미국 스탠퍼드대 교수)Q. LSST 건설 계획이 현재 어디까지 진행됐나.LSST에 들어가는 ... ...
- [Tech & Fun] 돌먼지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명에 하나 정도 발견되는 재능. 우주인으로 태어나는 사람. 우주를 본 적이 없어도 그 공간감을 상상하고 느낄 수 있는 영혼. 어째서 지금까지 삼 년을 보면서도 발견하지 못했던 걸까? 내가 먼저 포기했기 때문에?그는 천천히, 어른을 대하듯이 말했다.“우주도 무서웠고, 실패도 무서웠단다. ... ...
- 새로운 우주여행이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사업을 주도하고 있는 기업이에요.팰컨9은 2단 발사체와 위성 또는 화물을 실을 수 있는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어요. 발사체가 2단으로 돼 있고, 많은 연료를 싣고 있어서 뉴 셰퍼드보다 더 높이 올라갈 수 있지요. 발사한 모습 그대로 착지하는 뉴 셰퍼드와 달리, 팰컨9은 발사체 방향을 돌려야 해요. ... ...
- [지식] 최도훈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이처럼 보형 형식도 공간에서 복잡한 대칭성을 가진 함수에요. 이렇게 함수나 공간 자체를 연구함으로써 수의 관계를 연구할 수 있어요. a, b, c가 양의 정수이고, n이 3 이상의다시 보형 형식과 관련이 있어요.어떤 계기로 수학자가 되셨나요?처음부터 수학자가 되려고 한 건 아니었어요. 단지 자연과 ... ...
- Part 1. 알파고가 우리에게 남긴 것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있어 전투를 벌일 수 있는 공간이 한정돼 있다. 반면 중앙은 천지사방의 돌들과 소통하고 공간도 넓어, 웬만한 고수가 아니고는 중앙에서 어떤 전투가 일어날지 예측하기 힘들다. 정확히 어떤 일이 일어날지 알 수 없기 때문에 돌들의 중앙에 대한 영향력을, ‘두터움’이라는 추상적인 용어로 ... ...
이전1701711721731741751761771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