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부
밖
노천
표면
외면
겉모습
d라이브러리
"
바깥
"(으)로 총 2,058건 검색되었습니다.
1. 역사속의 암호
과학동아
l
1997년 06호
바깥
원판에서 암호문의 맨 앞에 있는 알파벳 ‘O’에 안쪽 원판의 ‘A’를 맞춘다. 이후
바깥
원판의 각 알파벳에 대응하는 안쪽 원판의 알파벳을 읽으면 ‘SCIDONG’이 등장한다.최초의 암호원판은 이탈리아 건축가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1404-72)가 발명했다고 알려졌다.난수표(亂數表)0에서 9까지의 ... ...
4륜구동의 비밀은 힘나누기
과학동아
l
1997년 06호
돌 때 안쪽 바퀴보다
바깥
쪽 바퀴의 회전이 빨라야 하는데 양쪽 바퀴의 회전이 같으면
바깥
쪽 바퀴는 미처 돌지 못하고 끌려가는 현상이 벌어진다.RC카(무선 리모컨 조정 자동차)에 취미가 있는 사람이라면 급회전시 RC카의 한쪽 바퀴가 통통 튀면서 균형을 잃는 것을 봤을 것이다. 이같은 현상이 ... ...
1. 동굴벽화에서 디지털 애니메이션까지
과학동아
l
1997년 06호
Deadalum)을 만들었다. 원통의 안쪽에 말이 달리는 그림이 있고 이것을 회전시키면서
바깥
쪽 원통에 뚫려있는 구멍을 통해 보는 장치다. 디달럼은 특허를 얻기도 했는데, 조토로프(Zoetorope) 또는 ‘살아있는 차’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졌다.1878년 에드워드 머이브릿지는 24대의 사진기를 늘어놓고 말이 ... ...
과학으로 푸는 고대 전투진의 비밀
과학동아
l
1997년 05호
일어났는지는 알 수 없다.제갈량의 8진도 변화무쌍한 기의 흐름을 이용한 미로
바깥
문에 쓰여진 건·감·간·진·손·이·곤·태는 팔괘를 구성하는 요소들인데, 각각은 태양이나 불, 물, 구름 등의 기운을 한가지씩 나타낸다고 한다. 소설 ‘삼국지’에 따르면 각 문이 이 기운을 바탕으로 서로 ... ...
골프공은 왜 곰보일까
과학동아
l
1997년 05호
하늘에 떠 있을 수 있다. 같은 방식으로 그 다음에 있는 철새도 앞에 날아가는 철새의
바깥
쪽에 위치한다. 그래서 전체적으로 V자를 그리게 된다. 철새들은 긴 거리를 나는 동안 힘이 덜 드는 배열을 파악해 날고 있는 것이다.비행기가 착륙을 할 때도 비행기 날개에 의해 이와 유사한 형태의 보텍스가 ... ...
뉴턴의 3가지 운동법칙
과학동아
l
1997년 05호
외부의 힘이 안으로 전달되는 정도가 약하다. 따라서 날계란을 붙잡아 돌리면
바깥
쪽은 빨리 돌지만 안쪽은 서서히 돌게 된다. 결국 계란 내부에 생긴 여러 회전층이 서로 마찰을 일으켜 회전 운동에너지의 상당 부분이 열에너지로 전환된다. 이 때문에 날계란은 잘 돌지 않는다.우리 몸 귓속에 있는 ... ...
사람같은 컴퓨터 HAL의 탄생기념축제
과학동아
l
1997년 05호
열어 할!”“미안합니다 데이브. 나는 그럴 수 없을 것 같군요.”외부의 고장을 점검하러
바깥
으로 나간 대장이 다시 우주선 안으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하는 장면에서의 할과 우주선 승무원의 대화는, 인류가 생각하는 컴퓨터를 개발한다면 이에 의해 지배당할지도 모른다는 공포를 또하나의 화두로 ... ...
과학원리 듬뿍 담긴 부메랑 만들기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않는다.부메랑을 멀리 돌게 하려면 재질을 무거운 것으로 써야 한다. 또한 날개를
바깥
쪽으로 갈수록 무겁게 하고, 날개를 진행면에 대해 조금만 꺾을 때 멀리 난다. 하나의 부메랑은 모양이 변하지 않는 이상 던졌을 때의 비행 궤도가 정해져 있다. 세게 던진다고 멀리 비행하는 것은 아니다 ... ...
Ⅰ. 20세기를 달려온 인공장기6 : 심폐기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점이 다르다. 이것이 막의 재질이 다를 수밖에 없는 이유다. 예를 들어 혈액이
바깥
으로 흘러나가는 것을 막기 위해 인공심폐기의 분리막은 물과의 접촉을 꺼리는(소수성) 물질로 만들어졌다.초기에 인공심폐기는 수수을 받는 환자에게만 사용됐다. 하지만 막형 인공심폐기의 기술이 점차 개발됨에 ... ...
Ⅲ. 인공장기의 대안 미사일약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주변 농도가 낮으면 막
바깥
으로 나와 몸의 혈당을 높여준다. 만일 주변 농도가 높으면
바깥
으로 나올 필요가 없다. 상황에 맞게 자가조절하는 지능적인 형태다.유전자를 옮길 수 있다면최근 DDS는 기존의 화학 약물뿐 아니라 치료제로 쓰일 수 있는 단백질이나 유전자를 전달하는 목적으로 연구되고 ... ...
이전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