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국"(으)로 총 9,740건 검색되었습니다.
- 미세먼지 감시하러 떠나는 ‘천리안 2B호‘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수 있습니다. 언제나 우주에서 한반도를 바라보는 또 하나의 눈이 떠오른다. 2월 19일(한국시간) 남미 기아나우주센터에서 발사 예정인 정지궤도위성 천리안 2B호는 적도 상공 약 3만6000km 고도에 올라가 한반도를 내려다보며 한반도 주변의 대기와 해양을 관측한다. 천리안 2B호에 실린 환경탑재체는 ... ...
- [천리안 2B] 해양탑재체 총괄 용상순과학동아 l2020년 02호
- 4배 증가했는데, 이는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다. 해양탑재체 개발을 주도한 용상순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연구본부 위성탑재체개발부 책임연구원은 “천리안 1호에서는 양쯔강에서 흘러나온 적조와 녹조가 한반도로 향하는 모습만 대략 보였다면, 천리안 2B호를 통해서는 이것이 한반도 근해에서 ... ...
- 미세먼지 많은 겨울철, 창문 열어? 말아?과학동아 l2020년 02호
- 하는 게 일상생활의 전부였던 나의 겨울방학에 찾아온 행복한 일탈은 그렇게 시작됐다.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소속 과학자를 만나러 간다니 설렘이 앞섰다. 집에서 30분간 차로 달려 도착한 KIST에는 소박한(?) 건물들이 많았다. 뭔가 연구원 같은, 과학적인 느낌의 건물이라고나 할까. 입을 벌리고 ... ...
- 얼음에서 잘 미끄러지는 진짜 이유? 피겨스케이팅 속 물리학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선수가 1월 14일 스위스 로잔에서 열린 청소년겨울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한국 피겨스케이팅 역사상 처음이다. 유영은 트리플 악셀을 완벽하게 구사하며 쇼트프로그램 점수 73.51점에 프리스케이팅 점수 140.49점을 더해 총점 214점을 기록했다. 유영이 구사한 트리플 악셀은 빠른 스피드로 ... ...
- 카피추의 ‘아기상어라지만’은 표절일까과학동아 l2020년 02호
- 협박 댓글을 남기기도 했다. 그러나 정확히 말해 카피추가 표절 걱정을 할 필요는 없다. 한국저작권위원회에 따르면 표절은 두 저작물 간의 실질적으로 표현이 유사한 경우는 물론 전체적인 느낌이 비슷한 경우까지를 의미한다. 그 안에는 타인의 저작물을 자신이 창작한 것처럼 속였다는 도덕적 ... ...
- 천문학자가 남극점에서 본 우주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덕분(?)”이라고 말했다. 남극점의 기온은 한여름에도 영하 10도를 밑돈다. 그는 가끔 한국에서 챙겨간 ‘두꺼비 술’로 몸을 녹인다고 전했다. 강 연구원은 불면증으로 고생했다. 남극은 1년에 해가 한 번만 뜨고 진다. 기지에 사람이 드나드는 여름에는 해가 지지 않는 백야가 계속된다. 환하고 ... ...
- [비하인드로켓] 마치산 중턱에 발사대를 세우다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사업까지 총책임자를 맡았다. 2014~2017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을 맡아 2021년 발사 예정인 한국형발사체 누리호(KSLV-Ⅱ) 개발을 이끌었다. gwcho@kari.re.kr * 용어정리발사패드 : 발사대의 맨 아랫부분. 발사체를 안전하게 지지하고 발사체에 추진제와 각종 가스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 ...
- [독일유학일기] 기차 노숙을 피하고 싶다면 꼭 알아야 할 것들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독일 인터넷 사이트나 ‘베를린리포트’ ‘페이스북 독일 유학인 네트워크’와 같은 한국어 사이트를 이용하면 찾기 쉽다. 한 가지 명심할 점은 집에 ‘möbliert(가구가 비치돼 있는)’라고 적혀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가구가 없는 집을 구하면 직접 가구를 사서 조립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겪을 수도 ... ...
- 퍼즐마스터 만들기 대작전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짠! 우리는 당신을 퍼즐마스터로 만들기 위해 머릿속에서 튀어나온 퍼즐 세포들! 퍼즐을 잘 풀려면 논리력, 수리력, 공간지각력, 관찰력을 길러야 하는데, 지금 뇌세포들이 한 ... 대표인 나 ‘논리지마’를 비롯해 4명의 퍼즐 세포들이 준비한 퍼즐을 소개할게! (퍼즐 한국창의퍼즐협회 ... ...
- 펭수야, 너 진짜 펭귄 맞니? 펭수 vs. 펭귄 전격 분석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된 여정을 살펴보자. 펭수는 남극에서 비행기를 타고 스위스에 도착한 뒤 스위스에서 한국까지 헤엄쳐왔다고 말한다. 스위스는 바다가 없는 내륙국가인 만큼 일단 남극부터 우리나라까지 헤엄쳐왔다는 가정하에 펭수가 얼마나 고생했을지 계산해 보자. 펭귄은 종에 따라 수영 속도가 다르다. ... ...
이전1701711721731741751761771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