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국"(으)로 총 9,74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파리 화석도 강남스타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1000년 전 백악기시대에 산 것으로 추정되는 파리 화석을 발견했어요. 크라모프 연구원이 한국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강남스타일에서 이름 따자고 제안했고, 이 화석엔 ‘Buccinatormyia gangnami (부치나토르미이야 강남아이)’란 이름이 붙었답니다 ... ...
- 과학동아 At a Glance과학동아 l2020년 02호
- 64개 국가, 219개 민족, 1739명의 유전자를 분석한 연구 결과가 게재됐습니다. 당연히 한국인도 포함돼 있습니다. 아시아인의 게놈을 분석하는 이 프로젝트의 이름은 ‘게놈아시아 100K’입니다. 프로젝트를 주도한 김혜림 싱가포르 난양공대 교수는 “인간 게놈에서는 개인이나 민족 간에 차이가 ... ...
- 미세먼지 감시하러 떠나는 ‘천리안 2B호‘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수 있습니다. 언제나 우주에서 한반도를 바라보는 또 하나의 눈이 떠오른다. 2월 19일(한국시간) 남미 기아나우주센터에서 발사 예정인 정지궤도위성 천리안 2B호는 적도 상공 약 3만6000km 고도에 올라가 한반도를 내려다보며 한반도 주변의 대기와 해양을 관측한다. 천리안 2B호에 실린 환경탑재체는 ... ...
- 2020년 vs. 2030년 에너지 다이어리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낮에 발전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고 있다가, AI의 계산에 따라 필요할 때 다시 공급한다. 한국전력에서 공급받는 전력을 과도하게 사용하지 않도록 막아주는 것이다. 그리고 수소차를 구입했다. 수소차가 처음 개발된 2015년에는 대당 가격이 약 1억5000만 원이었다. 수소를 충전할 시설도 충분히 ... ...
- 얼음에서 잘 미끄러지는 진짜 이유? 피겨스케이팅 속 물리학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선수가 1월 14일 스위스 로잔에서 열린 청소년겨울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한국 피겨스케이팅 역사상 처음이다. 유영은 트리플 악셀을 완벽하게 구사하며 쇼트프로그램 점수 73.51점에 프리스케이팅 점수 140.49점을 더해 총점 214점을 기록했다. 유영이 구사한 트리플 악셀은 빠른 스피드로 ... ...
- 토크콘서트 세상을 바꾸는 여성엔지니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통해 선배 여성 공학인들과 대화를 할 수 있어 유익했다”고 말했다. 정경희 한국여성공학기술인협회장은 “오늘 행사를 통해 더 많은 여성들이 여성공학인의 삶을 간접적으로나마 경험하고 향후 진로 계획에 도움을 얻길 바란다”고 말했다 ... ...
- [독일유학일기] 기차 노숙을 피하고 싶다면 꼭 알아야 할 것들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독일 인터넷 사이트나 ‘베를린리포트’ ‘페이스북 독일 유학인 네트워크’와 같은 한국어 사이트를 이용하면 찾기 쉽다. 한 가지 명심할 점은 집에 ‘möbliert(가구가 비치돼 있는)’라고 적혀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가구가 없는 집을 구하면 직접 가구를 사서 조립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겪을 수도 ... ...
- [아이돌 수학] 경배하라, 새로운 '수학돌'이 탄생했다! '투모로우바이투게더'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사람은 많이 있다. 팝의 황제 마이클 잭슨, 전세계에서 가장 많은 앨범을 판 밴드 비틀즈, 한국 그룹 최초 빌보드 200 차트에서 1위를 차지한 BTS 등 말이다. 그런데 아이돌로서는 흔치 않은 사람을 존경하는 인물로 꼽은 멤버가 있다. 투바투의 넷째, 태현이다.투바투는 2019년 3월 데뷔 후 각 멤버들의 ... ...
- 보드게임 즐기고, 수학으로 떠들자! 보드게임 페스타수학동아 l2020년 02호
- 2019년 12월 23일, 수학동아 독자들이 서강대학교에 모여 2시간 동안 보드게임 한판 대결을 펼쳤습니다. 처음에는 쭈뼛거리더니 보드게임을 하면서 왁 ... ※보드게임 페스타 행사는 2019년 정부(과학기술진흥기금/복권기금)의 재원으로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성과물입니다 ... ...
- 탄생 100주년 기념 총출동!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서울대학교 기계공학과 박사과정연구원), 박종우(서울대학교 기계공학과 교수), 오준호(한국과학기술원 기계공학과 교수), 조규진(서울대학교 기계공학과 교수), 최홍수(대구경북과학기술원 로봇공학과 교수 ... ...
이전1701711721731741751761771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