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터리
건전지
축전지
밧데리
논밭
앞다리
웨스턴
뉴스
"
전지
"(으)로 총 1,919건 검색되었습니다.
[동정] 한국화학연구원 外
2014.12.02
송봉근 △광에너지융합소재연구센터장 문상진 △분리막연구센터장 남승은 △차세대
전지
소재연구센터장 강영구 △고기능고분자연구센터장 원종찬 △박막재료연구센터장 정택모 △의약바이오연구본부 의약화학연구센터장 안진희 △신물질기반기술연구센터장 이상달 ... ...
이젠 ‘탠덤 태양
전지
’ 시대
2014.11.24
발전한 사항을 바로 적용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라며 “유무기 하이브리드 탠덤 태양
전지
를 이용하면 이론적 한계효율을 뛰어넘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결과는 ‘네이처’의 자매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21일 온라인판에 실렸다. ... ...
퀀텀닷 대량 생산 기술 첫 개발
2014.11.19
모니터 제품으로 인기가 높다. 퀀텀닷은 발광다이오드(LED),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태양
전지
, 바이오센서, 위조방지 인쇄 등 다양한 분야에 쓰일 것으로 보인다. 김덕종 한국기계연구원 나노역학연구실 박사팀은 나노소재를 기반으로 한 기능성 소자 적용 기술을 통해 연속적으로 나노입자를 ... ...
손목에 감쌀 수 있는 플라스틱 태양
전지
나왔다
2014.11.18
없이도 고효율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
를 만들 수 있게 됐다는 점에서 차세대 태양
전지
의 입지를 굳히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영국왕립화학회가 발행하는 ‘에너지와 환경과학’ 10월 27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 ...
원료 넣고 펄펄 끓였더니 구멍이 숭숭
2014.11.18
저장 장치 등을 만드는데 응용된다. 연구팀은 실제로 이번에 개발한 소재로 리튬이온
전지
음극을 만들었다. 그 결과 기존 티타늄산화물의 음극보다 용량이 최대 7배 이상 늘었다. 이진우 교수는 “메조기공은 개미집처럼 서로 연결돼 있는데, 이곳을 통해 전해질과 이온이 빠르게 전달됐기 ... ...
“터치다운! 새 주소는 혜성 67P”
동아일보
l
2014.11.14
덧붙였다. 필래는 2, 3일 자체 에너지로 작동하다 이후에는 몸체를 둘러싼 태양
전지
판에 충전된 에너지를 쓰면서 최소 3개월가량 탐사작업을 벌이게 된다. 46억 년 전 태양계가 만들어질 때 함께 탄생한 혜성의 생생한 지표면 사진을 촬영해 전송하면서 물과 아미노산을 함유한 것으로 알려진 혜성의 ... ...
‘퀀텀닷’이 뭐길래 이렇게 뜨나
2014.11.14
최근 전자업계의 최대 화두는 ‘퀀텀닷(Quantum dot·양자점)’이다. 소니가 지난해 퀀텀닷 TV를 출시한 데 이어 삼성전자는 내년 초 퀀텀닷 TV를 공개할 것으 ... 흡수할 수 있다. 손 연구원은 “붉은색 퀀텀닷을 유기태양
전지
에 붙여 기존 유기태양
전지
보다 효율을 20% 이상 높였다”고 말했다. ... ...
5만 번 충·방전해도 끄떡없는 고용량 충
전지
나왔다
2014.11.06
이 물질 속을 금속화합물로 채워 새로운 구조의 소재를 개발했다. 이 물질은 기존 이차
전지
보다 에너지 저장 용량이 2.5배 많고, 충·방전을 5만 번 넘게 할 수 있을 정도로 수명이 반영구적인 것으로 확인됐다. 강 교수는 “용량과 출력이 크고 수명까지 긴 소재를 간단히 대량생산할 수 있게 ... ...
[사이언스 브리핑] 강성모 KAIST 총장 세계경제포럼 분과위원장 선임 外
2014.11.04
중 1~2명을 뽑아 상을 수여한다. 김해겸 연구원은 탄소를 기반으로 한 리튬과 소듐을 이차
전지
전극 소재로 활용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로 최우수 연구상을 수상했다. 시상은 내년 5월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추계학술대회에서 이뤄질 예정이다. ■ 국제대기환경보전단체연합회(IUAPPA) 2016년 ... ...
삼켜도 안전한 ‘갑옷 배터리’ 개발
2014.11.04
아동용 장난감에는 동그란 수은
전지
가 필수다. 하지만 종종 아이들이 장난감에서 수은
전지
를 꺼내 삼키는 사고가 발생한다. 이때 문제가 되는 것 중 하나가 식도 등 소화기계 조직의 손상이다. 배터리가 몸속 조직과 전기화학적 작용을 일으키면서 조직이 화상을 입는 것이다. 배터리를 ... ...
이전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