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1
일
싱글
혼자
독신
단위
단원
스페셜
"
하나
"(으)로 총 3,055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에서 수제맥주 광고 영상 찍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27
박재필 나라스페이스테크놀로지 대표는 “광고는 가장 상업적이고 친숙한 활동 중
하나
이며 우주 기술과 광고 결합으로 우주가 더 친숙하게 다가올 수 있을 것”이라며 “이번 마케팅 실험을 시작으로 더욱 다양한 우주 마케팅을 더쎄를라잇브루잉과 협력해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
"로봇은 여러분의 일자리를 뺏지 않습니다"
과학동아
l
2020.04.26
가지 능력이 모두 고도화된 로봇은 사람과 공존하기에는 위험할 수 있기 때문에, 둘 중
하나
의 능력만 극대화되는 방향으로 연구개발되고 있다”고 말했다. 온라인으로 진행된 만큼 청중의 반응과 질문이 채팅창을 통해 실시간으로 전달됐다. 그중 ‘로봇공학자가 꿈인데 무엇을 잘 하면 되나요 ... ...
[화보]밤하늘에 '오징어 성운' 떴다…제28회 천체사진공모전 수상작들
동아사이언스
l
2020.04.24
나타냈다. 은상 수상작 'M65 M66 NGC3628 삼중주(임종필)' 작지만 유명한 M65, M66, NGC3628을
하나
의 화각에 담기 위해 모자이크 처리한 사진이다. 천문연 제공 임종필씨의 작품은 작지만 유명한 천체 M65와 M66, NGC3628을 단일 화각에 담기 위해 모자이크 처리한 작품이다. 동상 작품 '1억 개 점으로 나타낸 ... ...
전 세계 52개국 과학자 참여하는 코로나19 후각 연구 시작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24
교수는 화상통화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신경세포를 공격해 후각이 상실되는 것을
하나
의 가능성으로 추정하고 있는데 인종간 차이를 밝히려면 한국인의 사례가 많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두 연구자는 자료 수집을 위해 코로나19 환자와 의심 증상이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설문을 ... ...
김용 전 세계은행 총재는 왜 코로나19와의 전장에 뛰어들었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4.23
감염시키고 자연 면역체계가 구축될 때까지 기다리자는 생각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
하나
. “아프리카계 미국인, 라틴계 미국인, 빈곤층 등에서 치명률이 높아지는 차별 현상이 생길 것이다. 선택지가 없다면 모르겠지만 중국이나 한국에서 방역 모범 사례를 보이고 있다. 선택지가 있는데 어떻게 ... ...
코로나19로 대면회의 못하는 기업들, 화상회의 이용률 32%로 저조
동아사이언스
l
2020.04.23
플랫폼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코로나19로 화상회의 필요성이 증가했음에도 기업 셋 중
하나
만 화상회의 시스템을 사용하는 등 이용률은 저조했다. 이번 조사에서 기업들 중 32%만 국내외 거래처와 회의 및 사내 업무회의에 화상회의 시스템을 쓴다고 답했다. 나머지 68%는 R&D 활동에 화상회의를 ... ...
"인터페론 투여하면 신종 코로나 감염증 악화할 수 있다"
연합뉴스
l
2020.04.22
이어 "투여 주기와 양에 따라 인터페론은 바이러스 억제 효과를 내는 게 사실"이라면서 "
하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경우 추가 감염을 촉진하는 것으로 드러났다"라고 말했다. 중증 코로나19 환자에게 나타나는 '사이토카인 폭풍'도, 인터페론으로 바이러스를 억제하는 데 실패한 데 따른 ... ...
코로나19 백신·치료제 열망 크지만..."안전성·장기화 고려 차분한 대비 필요"
2020.04.22
치료제와 백신을 만들 수 있다”며 “치료제나 백신을 너무 성급하게 만들어서 만에
하나
부작용이 생기면 백신이 아닌 독을 접종 맞는 것과 다름없다”고 말했다. 박혜숙 이대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 역시 포럼에서 “코로나19는 시급성이 매우 크지만 과학적 설계와 평가 없이는 더 큰 위험이 ... ...
[과학기술의 큰 걸음]문익점 목화씨 들여오듯 천연물 연구의 불모지를 개척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21
중요해지며 김 교수의 업적은 시대를 앞서갔다는 평을 받는다. 김 교수는 “식물
하나하나
가 역사”라며 지금도 가끔 약초원을 찾는다고 했다. 김 교수는 26년간 약대 유일한 여성 교수를 지냈다. 하지만 유일한 여성으로 외로울 시간조차 없는 나날의 연속이었다고 회고한다. 힘들 때마다 김 ... ...
홍콩은 어떻게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가 불러온 2차 파도를 막아냈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4.20
후베이성에서 처음 코로나19가 발발했을 당시 한국과 함께 전파 위험이 가장 큰 국가 중
하나
였다. 홍콩은 중국과 교역 규모도 클 뿐 아니라 중국 후베이성 우한과 900km밖에 떨어져 있지 않다. 홍콩은 인구 740만의 도시국가로 인구밀도가 높아 집단감염이 발발하면 감염병이 빠르게 퍼져나갈 가능성이 ... ...
이전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