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기
바람
에어
그릇
외기
상황
느낌
d라이브러리
"
공기
"(으)로 총 4,11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환경과 장묘문화가 만든 시간의 마법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수분량과 같은 70~80%의 방부액을 체내에 채워 넣고, 피부가 팽팽해지도록 몇 시간 동안
공기
중에 노출 시킨 다음 화장을 시키고 새 옷을 입혀 유리관에 넣는다. 이렇게 작업해도 생전과 같은 모습을 유지하기 위해선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매주 두 번 이상 방부제를 얼굴과 손 등 노출부위에 ... ...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나눔 “대학생 봉사단 6기 모집”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이거 왜 커졌어요?”“효모라는 미생물이 발효해서 풍선에
공기
를 불어 넣듯이 빵 속에
공기
를 넣어서 그래요.”선생님은 칠판에 그림을 그려가며 발효를 설명하기 시작했다. 아이들은 선생님의 말을 하나라도 잊어버릴까 열심히 받아 적는다. 이어 아이들은 떡으로 지층을 쌓아 지진의 원리를 ... ...
PART 2 각을 알면 비행이 보인다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잘 알아야겠죠?*상승기류위쪽으로 향하는
공기
의 운동을 말한다. 예를 들어 따뜻해진
공기
덩어리가 부력에 의해 떠오르거나, 산의 경사면을 따라 바람이 불 때 상승기류가 생긴다.나비에-스톡크스 방정식비행기마다 몸체에 알맞은 날개 위치는 나비에-스톡크스방정식을 이용해 계산한다. 나비에 ... ...
소리공학연구소에서 찾은 소리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왔습니다!소리의 정체부터 알려 줄게요. 그건 바로 진동! 사람의 목소리는 성대의 진동이
공기
를 타고 전달되어 우리 귀에 들리는 거예요. 그런데 우리 귀에 들리지 않는 소리도 많아요. 사람의 귀는 20~2만㎐(헤르츠)의 진동만 들을 수 있어요. 헤르츠는 1초에 몇 번 떨리는지를 나타내는 단위지요. 2 ... ...
PART 3 힘을 알면 비행이 보인다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우선 엔진의 힘을 받아 비행기를 앞으로 날아갈 수 있게 하는 추진력(추력)과
공기
의 저항 때문에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저항력(항력)이 있어요. 또 비행기 무게때문에 지구 중심방향으로 작용하는 중력과 비행기가 공중에 떠 있을 수 있도록 하는 양력이 있죠. 비행기에 작용하는 네 가지 힘이 ... ...
Part 1. "세계에서 가장 깨끗한 미라"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진단검사의학과장은 “미라를 발굴하던 중 나무 관이 충격을 받았거나, 해포 과정에서
공기
중에 있던 미생물이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며 “그 전에는 무균상태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설명했다. [연구원 한 명이 미라를 꺼낸 관 속을 면봉으로 닦아 유리병에 넣고 있다. 미라의 보관상태를 ... ...
Part 2. 죽음의 안식처, 무덤에게 묻는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있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설명했다. 주사는 붉은 빛이 나며, 살균력이 강한 물질이다.
공기
가 차단된 미라는 살균과정을 거쳐야 미라로 보존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또 다른 증거가 아닐까. [168호 고분에서 발굴된 미라. 입안에서 발견된 도장에 ‘수이(遂)’라는 글자가 적혀 있었다. ... ...
건강한 신발 찾아라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버리고 신었을 때 편한 신발을 골라야 한다. 딱딱한 플라스틱보다는 가죽처럼 부드럽고
공기
가 잘 통하는 소재가 좋다.사람마다 얼굴 생김새가 다르듯 발 모양도 다르다. 그래서 발 모양에 따라 편한 신발도 달라진다. 신발의 길이는 신었을 때 뒤축에 손가락 마디 하나가 들어갈 만큼 여유로워야 ... ...
친구들 속에 묻어가기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움직인다. 곤충 근육은 빨리 수축하는 근육(파리)과 느리게 수축하는 근육(물장군의
공기
관)의 종류에 따라 움직이는 정도가 다르다. 특히 애벌레들은 마디 간 골격 근육과 다리 근육으로 이동한다. 불나방 애벌레는 마디 간 골격 근육이 빠르게 수축돼 다른 종류보다 더 빨리 이동할 수 있다.3. ... ...
CO2가 피운 눈꽃, 드라이아이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승화한다. 승화 과정에서 주변의 열을 흡수하기 때문에 주변의 온도는 낮아진다. 그 결과
공기
중에 있던 수증기가 응결해서 물방울이나 얼음이 된다. 따라서 우리가 보는 뿌연 연기는 물방울이나 얼음이다. 하늘에 떠있는 구름이나 안개도 물방울, 작은 얼음이 떠있는 것이다. 그럼 드라이아이스는 ... ...
이전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