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깃발
기폭
기각
기장
기표
힘
기운
d라이브러리
"
기
"(으)로 총 1,903건 검색되었습니다.
본격 조사 시작된 마야 그 문명
과학동아
l
1988년 07호
돌 만으로 쌓은 신전을 중심으로 고도의 도시 문명을 이룩하고 독특한 문자를 사용했던 마야문명의 수수께끼가 조금씩 풀리고 있다. 마야문명은 세계의 여러 고대문명 중에서도 독특하고 ... 잠들어있을 고고자료의 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앞으로 더 계속될 발굴성과가
기
대된다 ... ...
대학생들의 인
기
직장1위 한국전
기
통신공사는 어떤 곳인가
과학동아
l
1988년 07호
더욱 인
기
있는 일류
기
업으로 건재할 수 있을것이다.1백대1의 공개채용시험마지막으로 전
기
통신공사의 공채에 대해 알아보자. 통신공사체제로 발족한 82년이래 작년까지 매년 공채를 실시, 현재 6
기
까지 재직하고 있다. 매년 11월 4급(대졸수준)과 6급(고졸수준)사원은 행정 및 통신
기
술로 나누어 뽑고 . ...
「누가먼저?」의 논쟁 "내가 이룩한 것을 가로채려 하다니…
과학동아
l
1988년 07호
천재성에 전적으로 의존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큰 업적이 나올 수 있는 전체적인 분위
기
나 연구풍토의 조성, 전체적인 연구수준과 밀접하게 연관을 맺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위대한 과학적 발견을 한 개인의 영예일 뿐만아니라 한 나라의 과학적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지표가 된다.한편 ... ...
수은을 아무렇게나 취급해 집단중독
과학동아
l
1988년 07호
등을소홀히 한 점, 감독 관청의 무성의 그리고 종업인 자신의 자
기
네 건강을 지키
기
위해 제대로 힘쓰지 않은 점 등이 모두 이번 집단중독의 원인들이 되고 있는 것이다 ... ...
시력을 다시 찾아주는 각막이식수술
과학동아
l
1988년 06호
각막은 눈에서 맨처음 빛을 받아들이는 중요한 부분, 투명한 각막이 혼탁해지거나 자국이 생
기
면 밖에서 들어오는 빛이 차단되어 시력장애가 생긴다. 그 각막을 다른 맑은것으로 ... 사람들이 시력을 회복했다. 앞으로는 더욱 발전되어 실명의 비극을 겪는 사람이 없어질것이
기
대된다 ... ...
곧 실용화할 첨단 비행
기
들 STOL·VTOL·V/STOL의 삼총사
과학동아
l
1988년 06호
비행에 성공하고 있는 상태이다.끝으로 보다 혁신적이고 새로운 개념의 V/STOL항공
기
로, 현재 많은 연구가 진행중인 대표적인 경우를 둘 들어본다.첫째로는 X형날개/로우터 시스팀이다. 이는 헬리콥터와 흡사한 모양으로 동체위에 X형날개를 갖고 있다. 이 항공
기
는 수직이륙과 공중정지를 위하여 X형 ... ...
귀동냥으로 배우는 16비트 PC③ 문서소프트웨어, 워드프로세서 사용법
과학동아
l
1988년 06호
사고로 잃어버리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래서 경험자들은 작업중인 문서를 자주 저장하
기
를 권한다. 좀더 현명한 사람들은 작업중인 문서를 키 한번만 누르면 저장할 수 있는 워드 프로세서를 선택하거나, 매크로
기
능(여러 번 키를 눌러야 할 때 한번만 눌러도 같은 효과를 거두게 만들어주는
기
능 ... ...
태평양을 4시간만에 횡단
과학동아
l
1988년 05호
NASA를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이미 실험비행중이다. 이것이 실용화되면 초음속여객
기
콩코드와 같이 마하2로 비행하여 불과 4시간만에 태평양을 횡단하게 되어 현재 소요되는 시간의 반 이하로 줄일수 있게 된다 ... ...
특수견(犬)의 능력과 훈련모습
과학동아
l
1988년 05호
최근 수년동안 폭발물에 의한 참사가 주
기
적으로 발생하여 수많은 인명이 희생되었다. 정부각료의 대부분이 희생됐던 '아웅산'폭발사건을 필두로 지난 86년에 ... 잡는 게 아니라 쫓는 것'이라는 옛말이 있듯이 폭발물 테러를 사전에 예방하
기
위해서. 여
기
에는 1억원의 현상금도 붙어 있다 ... ...
바바라 맥클린토크
과학동아
l
1988년 05호
그녀가 얻은 지식은 유전자의 규칙과 돌연변이과정에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하고 있
기
때문에 재조명을 받고 있는 것이다. 노벨상위원회의 말대로 한때 빛을 보지못했던 그녀의 업적은 오늘날 '제임스 왓슨' '프란시스 클릭'이 1953년 발견한 DNA의 2중나선구조와 함께 "우리 시대의 유전학의 ... ...
이전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