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용
기교
기술
능력
재주
솜씨
구실
d라이브러리
"
기능
"(으)로 총 5,763건 검색되었습니다.
다양한 눈으로 바라본 세상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가장 중요한 감각인 눈에 대해 알아보자.시각의 형성사람의 눈은 카메라와 같은
기능
을 하고 있어 흔히 카메라와 눈을 비교하기도 한다. 카메라는 사람과 달리 눈이 하나라는 차이점이 있기는 하지만 사람의 눈을 기계적으로 모방한 것이 카메라다.사람이 두 눈으로 상을 맺는 것은 다른 영장류와 ... ...
Part 1. 공개! 해킹 범죄 시나리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서버의 취약점인 SQL 주입(injection) 공격을 사용했다. 맞지 않는 SQL 문구를 걸러내는 필터
기능
이 있었다면 성공하지 못했을 것이다.운영 사이트보다 보안이 허술한 개발용 사이트를 찾아낸 점도 도움이 됐다. 사이트 개발회사가 개발용 사이트 같은 임시 사이트를 외부에서 접근하지 못하게 ... ...
아이언맨이 뛰쳐나왔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찾아내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손웅희 생기원 로봇기술연구부장은 “걷기
기능
을 완성한 만큼 하이퍼가 사람의 손과 팔 동작도 따라하는 기술도 곧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며 “1~2년만 더 기다리면 한층 더 진보된 로봇을 볼 수 있다”고 말했다 ... ...
"제가 만든 변형 우노 게임이에요~!"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나와서 변형 게임을 발표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새로운 카드를 만든 모둠, 특수 카드의
기능
을 막을 수 있는 규칙을 만든 모둠, 두 사람의 카드를 교환하는 규칙을 만든 모둠 등등. 모둠마다 개성 넘치는 변형 게임을 만들었답니다.이뿐만 아니라 개인 보고서 심사를 통해 우수자로 선정된 학생 ... ...
Part 2. 꿀벌에게 무슨 일이?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없다. 낭충봉아부패병이 대표적인 예다. 감염병이라는 충격에 대응하는 일종의 ‘면역
기능
’이 작동해 감염된 개체(애벌레)를 버렸는데, 동양벌은 애벌레를 너무 빨리 빼내 버려 군집 자체가 해체됐다. 벌집의 온도를 35°C로 유지한다는 것도 온도 조건이 맞지 않으면 생존하기 어렵다는 뜻이다 ... ...
휴대전화가 뇌종양 위험 높인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포함한 동물 실험에서 전자파 노출이 많으면 일반적으로 조직의 온도가 올라가 각종
기능
에 장애가 온다. 따라서 성인보다 전자파 흡수율이 높은 어린이를 위한 별도의 안전 기준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다. 국제비전리방사보호위원회(ICNIRP)는 동물실험 등을 토대로 100kHz~10GHz 주파수 대역의 전자파 ... ...
여름철 3대 피부질환 별들에게 물어봐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이 약으로 무좀의 원인인 피부사상균을 70% 정도 죽일 수 있다. 항진균제를 먹을 때 간
기능
검사를 하는 것이 좋다. 간이 안 좋으면 약을 분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기 때문이다. 실제로 항진균제 ‘케토코나졸’은 간 독성 위험이 높다는 게 밝혀지면서 지금은 쓰지 않는다. 지금 이용하는 약은 ... ...
[수학으로 생각하기] 카메라 고수의 숫자 완전정복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있지만, 줌을 사용할 경우 밝기가 F6.5까지 바뀐다는 뜻이다.실내 사진에 중요한 두 번째
기능
은 셔터속도다. 셔터는 카메라가 빛을 받아들이는 시간을 조절하는 장치다. ‘찰칵’ 하며 사진 찍는 소리는 필름카메라나 전문가용 카메라에서 셔터를 여닫는 소리다. 셔터를 빠르게 여닫으면 빛이 조금 ... ...
건국이래 최대 과학투자 ‘과학벨트 거점지역’ 대전 확정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10개가 골고루 배치된다. 또 거점지구와 연계해 응용연구 개발연구사업화 등을 수행할
기능
지구는 대전에서 40km 이내에 위치한 청원(오송·오창), 연기(세종시), 천안 등 세 지역으로 결정했다.이주호 교과부 장관은 “과학벨트 전체 예산 가운데 연합캠퍼스와 GIST 캠퍼스에 각각 1조 5000억 원과 6000억 ... ...
안전띠에 대한 궁금증 5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정도다. 삼송에서는 차가 특정각도(17.5°) 이상으로 기울면 안전띠가 저절로 잠기게 하는
기능
을 연구하고 있다. 차가 뒤집히더라도 승객은 좌석에 단단하게 매달릴 수 있다. 안전띠는 일반적으로 배 아래쪽은 당기지 못한다. 현재 연구 중인 액티브버클리프트는 사고가 나기 직전 버클이 아래로 ... ...
이전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