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아들
외동아들
외독자
reader
독서가
낭독자
독신
d라이브러리
"
독자
"(으)로 총 2,872건 검색되었습니다.
팔색조처럼 다양한 음색 해금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찾아서’는 이번 호를 끝으로 연재를 마칩니다. 그동안 애독해주신
독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줄을 쥐었던 손을 펴며 활대를 천천히 움직이자 끊어질 듯 이어지는 애절한 소리가 울려 퍼진다. 해금 소리는 울다 지쳐 목이 쉰 여인의 흐느낌을 닮았다. 활대를 움직이는 손이 빨라져 순간순간 바뀌는 ... ...
Part 2. 통계 바로 알기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보면 남자가 여자보다 수학을 잘 한다는 말이 맞는 거 같아.여기서 지혜로운 수학동아
독자
들은 뭔가 다른 점을 발견했을 거라 믿어. 뉴스에서 말하는 학생들은 고등학교 1학년과 3학년이라는 점이지. 그저 남자가 여자보다 수학을 잘 한다가 아니라 ‘학년이 올라갈수록’ 남자가 잘 한다는 뜻이야. ... ...
[인터뷰] 333법칙으로 공신이 되자!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궁금한 학생이라면 누구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임미성 어머니는 마지막으로 수학동아
독자
들의 어머니에게 한마디 하고 싶다고 했다.“수학공부는 아이 스스로 하는 것입니다. 엄마는 아이가 수학공부를 할 수 있도록 매니저의 역할을 해 주면 됩니다. 항상 아이의 눈높이에서 생각하고 칭찬을 ... ...
초고층 빌딩엔 초고속 엘리베이터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국내 건설업체와 기술진의 손에서 탄생했다. 버즈두바이 공사를 총괄한 삼성물산은
독자
개발한 초고강도 콘크리트를 이용해 4년 10개월 만에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마천루를 세웠다. 여기에는 건물의 수평, 수직 정도를 위성항법장치(GPS)로 조절하는 첨단 공법을 적용했다.흔히 초고층 빌딩을 짓는 ... ...
“북한과의 과학기술 교류, 모험연구 장려 앞장선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21세기 정보산업의 시대’, ‘과학기술 최첨단 수준으로’, ‘인재가 많아야 나라가 흥한다’. 언뜻 우리나라에서 만든 표어처럼 보이지만 사실 이것은 ... 말했다. 할 수 있다고 생각하면 그 꿈이 이뤄진다는 뜻이다. 그러다 보면 과학동아
독자
중에서 노벨상 수상자가 탄생하지 않을까 ... ...
떠다니는 과학 실험실 아라온 호, 남극 간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우리나라와 폴란드뿐이었다.우리나라도 이제부터는 아라온 호로 남·북극해역에서
독자
적으로 연구와 조사활동을 할 수 있다. 연구 대상지역도 남극대륙 전체와 결빙해역, 북극해 전역까지 넓어진다. 기존에는 쇄빙선이 없어 남극 세종기지와 주변해역으로 연구지역이 한정될 수밖에 없었다. 이와 ... ...
몸속 영상에서 병든 부위 짚어 암 치료제 개발에 다가선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여는 첨단세계’는 이번 호를 끝으로 연재를 마칩니다. 그동안 애독해주신
독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북한산을 등반하기 전 날씨를 미리 알아보려고 텔레비전을 틀었다. 기상예보관이 어디는 동쪽에서 비구름이 몰려오고 어디는 눈이 올 예정이라고 열심히 설명한다. 예보관이 보여주는 ... ...
시대를 초월한 가치 ‘동의보감’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전통이 더 과학적인 것일 수도 있다. 다만 한의학이 서양의학의 대체의학이 아닌
독자
적인 위치를 차지하기 위해서는 시스템의 과학화와 표준화에 주력해야 할 것이다 ... ...
복잡한 주차장을 탈출하라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정답을 아시는 분은 ljr@donga.com으로 12월 15일까지 연락처와 선물수령주소를 함께 적어 보내주세요. 정답을 맞힌
독자
중 추첨을 통해 당첨된 6분께 ‘멘사 퍼즐’(보누스 펴냄) 시리즈 3권을 드립니다. 지난호 당첨자 명단은 과학동아 182쪽에 있습니다. ...
한국 10대(代) 과학자들의 연구결실 뽐낸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법도 없는 셈이다.컴퓨터 이용한 수소저장 이론 연구과학자나 수학자로 인정받으려면
독자
적인 연구도 해야겠지만 연구결과를 발표해 공식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통로가 있어야 한다. 그 통로는 바로 논문을 싣는 학술지다. 많은 과학자들이 ‘네이처’나 ‘사이언스’ 같은 저명한 학술지에 ... ...
이전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