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래"(으)로 총 4,79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전격 분석! 필즈상의 모든 것수학동아 l2014년 08호
- 필즈의 노력을 기려 이 상에 ‘필즈상’이라는 이름을 붙인다. 또한 현재와 미래 수학 발전에 크게 공헌할 수학자에게 수여되기를 바랐던 필즈의 유언에 따라 연령을 만 40세 이하로 제한했다. 말 말 말! 왜 노벨상엔 수학이 없을까?● 연적설 | 스웨덴의 과학자 알프레드 노벨과 수학자 미타그 ... ...
- 우리 학과 뭘 배우지?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아닌가요?걱정 마. 최소한 우리가 죽을 때까지는 절대 석유가 고갈될 일이 없을거니깐~. 미래에너지원으로 주목받는 셰일가스와 셰일오일도 우리 화공의 전문 분야지. 즉, 앞으로도 할 일이 무궁무진하다고.BEST 골라서 공부하는 재미가 있다!다루는 분야가 워낙 넓어서 부지런하기만 하면 공학 ... ...
- Part ➌ 한국의 수학 세계를 놀라게 하다!수학동아 l2014년 08호
- 구수략에 소개되어 있어 오일러보다 약 60년이 앞선다. 이 때문에 최석정은 2013년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과학기술한림원에서 선정한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 헌정대상자로 선정되었다.❸ 이상혁(1810~ ? )과 남병길(1820~1869)신분을 뛰어넘는 학문의 세계!이상혁과 남병길은 조선 후기, 19세기 초 같은 ... ...
- 뜨는 직업을 원한다면? 지금은 수학시대!수학동아 l2014년 08호
- 수학적 사고를 바탕으로 한다. 실제로 서울시 ‘심야버스’ 프로젝트를 진행했던 KT 미래사업개발그룹 빅데이터 프로젝트담당 김이식 상무는 서울대 수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대수적 위상수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은 수학과 출신 인재다.“빅테이터 분석은 논리적 사고가 바탕이 되어야만 ... ...
- PART3 - 한반도 재난 해결할 토종 군집로봇 9마리해파리퇴치 로봇내년 마산만 누빈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높이 6m인 국내 최대 드론 전용 시험장이 있다. 이곳에 서 공현철 박사가 이끄는 항공우주미래기술팀이 지난 4 월 3일, 낮과 밤을 가상한 환경에서 드론 20대의 군집비 행을 제어하는 데 성공했다. 미소 띤 얼굴로 그간의 성 과를 차분하게 설명하는 그에게서 과학자의 내공이 느껴졌다.▲공현철(뒷줄 ... ...
- “지구에서 가장 아름다운 산호섬으로 떠나자”과학동아 l2014년 08호
- KIOST)과 과학동아가 미래의 해양과학자를 꿈꾸는 독자 여러분을 뜨거운 열대바다로 초청한다. 장소는 남태평양 미크로네시아 축주에 있는 KIOST 태평양해양연구센터. 8박9일에 걸쳐 열대해양생물과 산호를 관찰하고 맹그로브 숲과 환초를 탐방한다. 항공료와 숙박비, 식비 등 모든 비용은 KIOST가 ... ...
- 우주 로또? 우주 타임캡슐! 운석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역사를 그대로 담고 있는 타임캡슐이라고 부르기도 한답니다. 미래자원 운석운석을 미래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어요. 운석에는 금, 백금, 이리듐과 같은 지구상에서 발견하기 어려운 원소들이 주로 들어 있거든요. 실제 지구에 운석으로 떨어지기 전의 상태인 소행성에서 자원을 채취해 활용하는 ... ...
- [생활] 미래 필즈상을 꿈꾼다! 도전! 수학 골든벨수학동아 l2014년 08호
- 정답은 ‘근의 공식’이다.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 박형주 조직위원장은 “한국 수학의 미래는 수학을 좋아하고 잘하는 학생들에게 달려 있다”며, “이번 세계수학자대회에 참여해 필즈상 수상자를 직접 만나 보면서 필즈상 수상의 꿈을 키웠으면 좋겠다”고 말했다.이날 수학 골든벨은 전주 ... ...
- PART1 - 영화 속 거미군단이 온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드론 역시 군집비행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공현철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항공우주미래기 술팀장도 “대형재난은 초기 대응이 매우 중요한데, 헬 리콥터 한 대보다 무인기 수백 대가 시간이나 비용을 훨씬 아낄 수 있다”고 말했다.드론 군집비행에 관해서는 미국 펜실베니아대 비제 이 쿠마 교수가 ... ...
- 양자냐 아니냐, 그것이 문제로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둘 이상의 양자의 상태가 서로 연관된 성질)’을 이용해 매우 빠르게 계산을 할 수 있는 미래의 컴퓨터다. 아직은 기초기술을 연구하고 있는 수준으로, 한국도 일부 연구하고 있다(58쪽 참조).그런데 2011년, 디-웨이브사가 128큐비트의 상용 양자컴퓨터를 만들었다고 발표한 데 이어 2013년에는 성능을 ... ...
이전1711721731741751761771781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