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규칙
원리
원칙
규정
법
규범
이치
d라이브러리
"
법칙
"(으)로 총 1,926건 검색되었습니다.
타임머신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가지고 있지 않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것은 시간 흐름의 방향을 달리하면 물리
법칙
이 달라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시간이 거꾸로 흘러간다고 해도 우리는 우리가 지나온 과거로 돌아 갈 수 없다.엄청난 에너지가 필요우주는 엄청난 에너지에 의해 일정한 방향으로 변해가도록 초기조건이 ... ...
1 이공계 학과들은 이렇게 생겨났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이후 증기기관의 출현 등으로 크게 발전한다.토목에 관한 자연현상의 뒤에 숨겨진
법칙
을 탐구하고 그 성과를 토목구조들의 건설에 응용하기 위한 학문인 토목공학은 18세기 후반 학문으로 체계화됐다. 처음에 군사기술로 연구되던 토목공학은 산업혁명기에 영국으로 전해지면서 철도 운하 수도 ... ...
공상에서 과학으로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갖게되는 아이디어의 씨앗이 담겨 있었다. 작품속에서 등장인물의 한 사람이 "로봇
법칙
제1조에 따르면 로봇은 인간을 다치게할 수 없다"는 발언을 한 점이다. 이때부터 로봇은 아시모프에게 있어서 뗄레야 뗄 수 없는 모티브(작품의 중심사상)가 되었다. 이를 발전시켜 아시모프는 '로봇은 인간을 ... ...
벽지 어린이들에게 과학의 꿈을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문을 열어놓으면 방안의 온도는 올라갈까 내려갈까'등의 문제를 통해 상식과는 다른 과학
법칙
을 소개했다.4부 순서에서는 과학영화를 상영한 뒤, 별을 보고 농사일정을 잡았던 조상의 슬기를 되살리며 학부모와 학생들이 함께 4월의 별자리를 관측했다.이날 행사를 이끈 이 모임의 대표 박종규 교사 ... ...
80년대 통폐합소동 되풀이 말아야 정부출연연구소, 존폐위기에 섰는가?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적극 나설 수는 없는 입장이다.어느 출연연구소도 고유의 흥망성쇠 주기와 자연도태
법칙
을 벗어날 수는 없다. 일부 기관에서 허술한 인력관리, 연구성과 뻥튀기기, 논문 특허 기업화 등 객관적 평가가 가능하지 않은 과제의 수행 등으로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존립 자체에 문제점을 던져주고 있다. ... ...
초정밀의 세계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온도표준으로 사용하고 있다. 표에 나타난 각 단위가 자연현상을 나타내는 물리
법칙
을 기초로 정해지기까지에는 과학기술의 발전과 측정기술의 발전이 상호보완적으로 작용해 왔다. 예를 들면 길이의 경우 모든 생산현장에서 기본적인 측정기로 사용하고 있는 마이크로미터는 나사의 가공기술이 ... ...
식물에서 새로운 연료 추출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방출된다는 것이다.과학자들은 자신들이 최근까지 얻어낸 것은 자연의 아주 기본적인
법칙
에 불과하다고 말한다. "광합성에 관여하는 분자들은 신비로운 점이 아무 것도 없다. 그 분자들의 특별한 점이라면 사슬처럼 연결된 반응과정 중에 전자가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특별한 ... ...
돈없이 사장되는 지름길 보통머리로 발명왕이 되려면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탐구해야 할 소재가 수없이 많다. 그래서 특허법 제2조 제2항은 '발명이라 함은 자연
법칙
을 이용한 기술적 사상의 창작으로서 고도의 것을 말한다'라고 정의하고 있는 것이다. 한마디로 자연은 발명의 근간이라고 할 수 있자연의 현상이 힌트가 된 발명으로 가장 유명한 것은 '매직 테이프'와 ... ...
외계에서 날아온 반중력 우주선?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scientists)에 의해 미신의 취급을 받고 있다.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UFO현상에는 현재의 물리
법칙
에 어긋나는 특성이 나타나기 때문에 현재의 패러다임하에서 과학으로 인정받기는 불가능하다. 그래서 하이네크 박사는 UFO현상이 새로운 과학 패러다임의 도래를 의미하는 것 같다고 말한다. 그런데 ... ...
2, 유학, 필수인가 선택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도착하자마자 학위과정을 다시 시작한다는 각오로 임해야한다"고 지적한다. 특히 기초
법칙
에 관한 연구가 중심이 되는 이학계의 경우 논문 한편의 생명력이 수십년에 이르는 것도 있지만, 공학계의 경우 선진국과 우리의 기술격차가 크기 때문에 자신이 배워온 것이 당장에 실용불가능하고 정작 ... ...
이전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