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압박
강제력
조사
수사
고문
추적
압도
d라이브러리
"
압력
"(으)로 총 2,259건 검색되었습니다.
원자폭탄보다 더 무서운 대인지뢰
과학동아
l
1996년 09호
대인지뢰는 크게 폭발지뢰와 파편지뢰, 두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다. 폭발지뢰는 보통
압력
에 반응한다. 한 예로 감각판에 발이 닿는 경우다. 폭발지뢰로 인한 몸의 상처는 그 자체가 폭발한 결과가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한편 파편지뢰는 감지선에 의해 반응한다. 파편지뢰가 폭발하게 되면 ... ...
2. 물고기와 속도
과학동아
l
1996년 09호
급류를 말하는데, 물체 뒤에 생긴다. 이런 조건 하에서는 물체의 앞면이 뒷면보다
압력
이 크다. 결과적으로 와류는 물체의 속력을 줄이는 힘으로 작용한다.유체 안에서 빠르게 운동하려면 물체와 유체의 분리를 막아 저항을 줄여야 한다. 그렇다면 물에서 운동하는 물고기는 어떤 형태를 가져야 ... ...
초광폭 타이어의 허와 실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하나의 수치는 적정 공기압이다. 32 PSI(2.2kg/㎠)라고 쓰여있으면 1평방인치당 32파운드의
압력
(=1㎠당 2.2kg의
압력
)이 이 타이어의 최대 공기압이란 뜻이다. 일반적으로 적정공기압은 최대 공기압의 90% 정도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공기압을 맞출 때 유의할 점은 주행 후 바로 공기압을 재면 타이어 ... ...
3. 공룡시대 5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사실을 알아냈다. 같은 체중이라도 앞발이 뒷발보다 지면에 닿는 면적이 적어
압력
이 크게 작용한다. 이 점은 앞발자국만 나타나고 뒷발자국이 나타나지 않는 이유를 설명해준다. 결국 용각룡이 몸무게를 이기지 못해 수중생활을 했다는 것은 전면적으로 뒤집혔다. 또한 화석을 연구하면서 용각룡의 ... ...
눈, 몸이 천냥이면 눈은 구백냥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놓치면 회복이 불가능한 무서운 병이다.안구는 눈속 액체의 순환작용으로 항상 일정한
압력
(15-21mmHg)을 유지하고 있다.즉 수도꼭지에서 적당한 양의 물이 나오고 그만큼의 물이 하수구로 빠져나가게 되는 이치와 같다.그런데 녹내장이 생기면 안압이 상승하게 된다.하수구의 입구가 다소 막힌 상태로 ... ...
오토매틱 - 편한 만큼 위험할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시간은 불과 0.5초내외. 더구나 시속 50km에서 정면충돌할 때 안전벨트에 작용하는
압력
은 무려 1t이나 된다. 느슨하게 돼 있던 안전벨트가 이보다 빠른 시간 내에 몸이 퉁겨나가는 것을 막아준다는 보장은 없다.돗자리나 양털 등을 운전석에 까는 것도 위험하다. 자동차 좌석은 충돌 등 사고를 대비해 ... ...
Ⅱ. 묻혀있는 가능성 지오피아를 건설한다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벌어져 저장에 실패, 대신 이를 LPG저장시설로 전환한 바 있다.스웨덴은 또한 1968년 LPG의
압력
을 낮추디 않고 저장하는 지하 공동을 피데버그의 정유단지에 처음으로 건설했다. 지하 90m 편마암층에 건설된 이 시설의 저장용량은 2만m3. 86-88년에는 이 곳에서 약 90m떨어진 암반에 8만m3크기의 LPG저장 ... ...
2. 몸 곳곳을 누비는 통증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정도 지속되는데, 심하면 허벅지나 등까지 통증이 퍼진다. 또 자궁 내 수축이 커지고
압력
이 증가해 잠시 혈액이 통하지 못하게 돼 자궁 조직에 산소가 부족해진다.생리통이 중추신경계로 전달되는 경로는 분만통의 경우와 같다. 하지만 생리통의 원인은 1백년 이상 연구됐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 ...
풍선으로 배우는 미니상식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불어주면, 풍선의 반지름이 커지면서 풍선이 컵 밖으로 밀려나게 된다. 그러면 컵 안의
압력
이 작아지게 돼 컵이 풍선이 붙는다. 6. 풍선 로켓 만들기① 풍선을 불어 입구를 살짝 묶고 빨대를 스카치테이프로 붙인 다음 빨대에 줄을 끼운다.② 줄을 팽팽하게 잡고 풍선 입구를 놓아주면 로켓처럼 ... ...
두 얼굴의 장마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존재하는 강은 꼬불꼬불한 형태를 지니고 있다. 예전에 비가 많이 오면 불어난 강물의
압력
으로 새로운 물길이 자연스럽게 만들어져 강물이 옆으로 넘치는 일이 없었다.그러나 독일 정부는 몇십년 전부터 라인강을 가로지르는 배가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꼬불꼬불한 수로를 일직선으로 만들었다. ... ...
이전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