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d라이브러리
"
조절
"(으)로 총 3,603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물리학]새와 곤충, 같은 공중회전 메커니즘 쓴다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말했다.벌새(1)나 나방(2), 박쥐(3)가 공중에 멈춰 있거나 천천히 날면서 몸의 회전을
조절
하는 날갯짓 메커니즘이 같다는 사실이 밝혀졌다.새나 곤충은 비행 중 몸이 시계반대방향으로 돌아갔을 경우(4) 아래로 날갯짓을 할 때는 바깥쪽 날개를 안쪽 날개보다 폭이 넓고 빠르게 움직여 시계방향으로 ... ...
불치병 치료의 꿈 R·N·A 앱타머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더 이상 증식하지 않았다.정 교수는 “이 같은 결과는 RNA 앱타머로 베타카테닌의 기능을
조절
할 수 있다는 의미”라며 “앞으로 임상실험을 여러 번 거쳐 안전하고 확실하게 대장암을 치료하는 RNA 앱타머를 완성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컴퓨터 자판을 한글모드로 지정한 다음 ‘RNA’를 입력하면 ... ...
초고도근시의 희망 렌즈삽입술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안경은 부위별 굴절률이 다른 렌즈를 이용해서 들어온 빛이 망막의 한 점에 모이게
조절
한다. 눈 속에 삽입하는 난시교정렌즈도 같은 역할을 한다.Q3 렌즈삽입술은 아무나 하나?렌즈삽입술을 할 수 있는 조건은 꽤 까다로워서 수술 전에 철저한 사전검사가 필요하다. 시력이나 안압 같은 기본적인 ... ...
올림피아드 어떻게 바뀌나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학회가 학생들이 기본 교과과정에서 배운 개념으로도 충분히 풀 수 있도록 난이도를
조절
해야 한다”고 말했다.교과부의 개편방향에 대해 교육계 일부에서는 정부의 바람과는 정반대의 예상을 내놓고 있다. 남신 대치중학교 교무부장은 “올림피아드 제도를 수정한다는 데는 동의하지만 ... ...
몸속에서 일어나는 리얼리티 드라마 생물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각기병 같은 여러 가지 결핍증을 예방할 수 있다. 무기염류는 각종 생리작용을
조절
하는 데 쓰이며 물은 원형질의 주성분으로 몸무게의 약 66%를 차지한다.몸에 필요한 에너지를 만드는 과정, 소화교통경찰에서 주부, 치매에 걸린 오보에 연주자, 밤무대 색소폰 연주자까지. ‘오합지졸’의 인물들이 ... ...
나노로봇 움직이는 나노발전기의 힘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물론 압전체를 이용한 나노발전기가 필수다. 또 압전체의 도움을 받는다면 심장박동
조절
기의 배터리를 바꿀 필요가 없고 나노선들이 배열된 초소형보청기 덕분에 소리를 들을 수 있다. 전기가 나오는 ‘마법의 돌’ 압전체. 은밀한 중에 우리를 도울 또 다른 마법을 준비하고 있다.▼관련기사를 ... ...
연필심에서 발견한 꿈의 나노 소재 그래핀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층수를
조절
하는 기술이 개발돼야 한다. 이는 촉매의 두께와 반응시간, 냉각속도 등을
조절
하는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반도체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그래핀 표면과 가장자리의 화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기능화하는 일도 중요하다. 예를 들어 그래핀으로 만든 나노리본의 가장자리에 질병을 ... ...
슬픔보다 더 슬픈 이야기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보이지 않는다. 근래에는 모르핀의 이런 특성을 이용해 수술을 받은 환자의 통증
조절
에도 모르핀을 적극적으로 쓰는 추세다. 그러나 모르핀 사용량이 적정수준을 초과하면 말초신경이 마비되거나 심할 경우 호흡이 억제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의사의 감독 하에 주의해 사용해야만 한다.강석훈 ... ...
멤스 우주망원경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R+d∼R인 상황이라면 r이 감소함에 따라 g도 감소하겠지만, 회절하지 않는 한계에서 r을
조절
해야 또렷한 상을 얻을 수 있다. 2) 현상 포착 반사경과 확대 추적 반사경에서 광선 a와 b가 입사해 반사되는 과정이 아래 , 과 같다. a와 b가 입사 때 이루는 각도를 θT라 할 때 a의 반사경에 대한 입사각은 θT ... ...
잠든 야성 깨우는 동물행동 풍부화 프로그램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동물의 정형행동을 줄일 뿐 아니라 사육동물이 받는 자극이나 스트레스 수준을 스스로
조절
할 수 있도록 돕기 때문에 번식력을 높이고 건강하게 만드는 효과가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서울대공원은 풍부화 프로그램을 도입한 뒤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 수달(유라시아 수달)을 2006년 ... ...
이전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