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
전문대학
유니버시티
칼리지
대
university
뉴스
"
대학교
"(으)로 총 2,216건 검색되었습니다.
농사 짓는 개미 발견!
2016.12.05
하지만 식물 재배와 관련한 연구결과는 이번이 처음이라고 하는데요. 독일 뮌헨
대학교
의 연구진이 피지에서 발견한, 이 놀라운 일을 행하는 개미의 학명은 ‘필리드리스 나가사우(Philidris nagasau)’입니다. 이들이 농사짓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필리드리스 나가사우는 6가지 유형의 꼭두서닛과 ... ...
‘가장 섹시한 여자 로봇’ 표정이 다양해
팝뉴스
l
2016.12.03
매체 ‘테크타임스’ 등 여러 매체도 로봇을 ‘가장 섹시한 로봇’이라 칭했다. 오사카
대학교
에서 만든 이 로봇은 생생한 표정연기로 유명하다. 90개에 달하는 표정이 있다. 최근에는 영화에도 출연해 화제가 되기도 했다. 세계 첫 번째 로봇 여배우인 것이다. ... ...
‘사람 운반하는 드론’ 제작돼
팝뉴스
l
2016.12.03
제공 싱가포르
대학교
의 학생들이 최근 제작해 공개한 ‘사람 나르는 드론’이다. 스노우스톰이라고 명명된 이 드론은 한 사람을 태우고 공중으로 떠오를 수 있다. 전기 동력이며 리모트컨트롤로 조종된다. 비행차를 현실화시키는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제작된 스노우스톰은 아직은 ... ...
‘2천년전 25살 미녀’
팝뉴스
l
2016.12.02
사이에서 “2천년전 절대 미인”이라 불리며 화제가 된 이미지다. 지난 8월 호주 멜버른
대학교
가 공개한 사진과 영상 속 얼굴은 2천년된 미라의 두개골을 3D프린트로 제작한 후 법의학 정보와 컴퓨터 기술로 얼굴을 복원해서 만들었다. 여전히 해외 네티즌들의 주목을 받는 이 ‘이집트 미녀’는 25살 ... ...
머리가 큰 새가 사냥꾼에게 안잡힌다!
2016.12.02
잘 잡히는 새는 따로 있는 걸까요? 최근 프랑스 파리 11
대학교
와 덴마크 조류 연구소의 공동연구진이 사냥으로 잡힌 새들을 분석한 결과, 머리(뇌)의 크기가 큰 새들이 그렇지 않은 경우, 즉 머리의 크기가 작은 새들보다 사냥꾼을 피해 잡히지 않을 확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머리가 ... ...
‘순실증’으로 사회가 엉망입니다. 어떻게 살아야 할까요?
2016.11.28
신화. 서울: 육문사 이서규 (2013) 카뮈의 부조리철학에 대한 고찰. 철학논집 35. 서강
대학교
철학연구소: 139–178. 찰스 디킨스 (2016) 두 도시 이야기. 서울: 드림북. ※편집자주: 살림살이 좀 어떠십니까? 뉴스를 보면 도처에 안좋은 소식 뿐입니다. 젊은이들은 취업 걱정, 중장년 층은 노후 걱정에 ... ...
쏟아지는 최순실 뉴스 속에서 옥석 가리려면...
2016.11.23
사이트에 올라온 사진을 보고 많은 학생들이 사진을 사실로 받아들였다. - 스탠포드
대학교
제공 예를 들어 일본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근처에서 찍은 사진이라는 설명이 달린 기형적인 모양의 꽃 사진을 보여주었을 때 학생들의 40%는 이를 그대로 믿었습니다. 출처가 누구나 무슨 사진이든 ... ...
태반주사, 줄기세포 주사 맞으면 몸이 어떻게 변할까?
2016.11.19
모은다. ※참고 - 약학정보원(http://www.health.kr/) ※ 감수 서종모. 서울
대학교
공과대학 전기정보공학부 부교수. 의대를 졸업한 안과 전문의지만, 공대에서 의공학을 연구하고 있다. 현재 연구와 함께 서울대병원에서 환자를 진료하고 있으며, 대한검안학회 학술이사와 보건산업진흥원 융합연구 ... ...
수 만 마리 물고기가 죽어 떠올라 ‘깜짝’
2016.11.17
물고기가 집단으로 죽어 떠오른 것을 처음 보았다며 놀라워했습니다. 스토니 브룩
대학교
의 크리스 고블러 박사는 물속 산소가 급속히 줄어들면서 물고기들이 집단 폐사했을 것으로 봅니다. 어떤 이유에서건 청어들이 운하로 들어온 것이 발단입니다. 곧 수문이 닫히면서 물의 흐름이 멈췄을 것이고 ... ...
IT는 장애인에 얼마나 친절한가
2016.11.09
바꿀 수 있다는 마라케시 조약을 돌아보는 토론회에 참석했던 적이 있습니다. 그때 연세
대학교
작업치료학과의 김종배 교수를 처음 만났습니다. 손을 자유롭게 쓰지 못 하는 지체장애인인 김종배 교수는 전자책이 주는 또 다른 가치를 아주 직관적으로 설명해주었습니다. 책은 아주 중요한 경험의 ... ...
이전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