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형태
생김새
꼴
외형
모습
모양새
뉴스
"
모양
"(으)로 총 3,912건 검색되었습니다.
광학·제약에서 사용되는 '뾰족한 금 나노입자' 제어 원리 첫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9.07.22
금 나노입자가 성장하면서 반듯한 면으로 둘러싸인 상태에서 가시가 돋아나와 고슴도치
모양
의 입자로 변했다. 입자의 밀도는 1초동안 단위면적 당 도달하는 전자의 수에 비례하지만 액상 농도에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금 나노입자는 530~1120 nm(나노미터·10억분의 1m)의 파장대에서 변화하는 것으로 ... ...
3차원 반도체 초미세 패턴 제작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7.21
책임연구원과 오진우 박사후연구원팀은 아주 손쉽고 간단하면서도 다양한 종류와
모양
의 블록공중합체에 쓸 수 있는 10nm(나노미터·10억분의 1m)이하 초미세 나노패턴 제작 기술을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블록공중합체란 고분자 두 개 이상이 다른 고분자 사슬에 규칙적으로 연결된 고분자다. ... ...
[주말N수학]3차원에선 황금비보다 플라스틱수가 더 이상적이다
수학동아
l
2019.07.20
크기가 다른 정육면체 20개를 모아 두고 위에서 본 모습입니다. 란은 색과 질감, 그리고
모양
이 같을 때 우리의 뇌는 정육면체 사이의 관계를 모서리 길이의 비에 따라 인식한다고 생각했습니다. 먼저 크기 차이를 인식한 뒤 이들을 순서대로 정렬하는 과정이 머릿속에서 자연스럽게 이뤄진다는 ... ...
“요리하기 아까워“ 관능미를 자랑하는 무
팝뉴스
l
2019.07.17
떠오른 사진이다. 무가 사람을 닮았다. 팔과 다리가 있는 것처럼 착각하게 만드는
모양
이다. 무는 단순히 사람을 닮은 것을 넘어섰다. 매력적인 자태를 뽐내고 있는 것이다. 해외 네티즌들은 화제의 무를 “관능적인 무”라고 부른다. 무가 여성의 이미지라는 평가가 다수이지만 “세련된 ... ...
지구물질 순환 비밀 간직한 해양 바이러스 실체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6
투과전자현미경을 통해 관찰한 결과, 고세균의 개체수를 증가시키는 방추사(레몬)
모양
의 바이러스 형태를 확인했다. 해양 고세균이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질소의 산화작용이 멈추고, 유기물이나 비타민 B12 등을 방출한다. 김 연구원은 "발견한 바이러스를 'NSV'라 명명했으며, 숙주세포를 용해시켜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철학의 아버지’라는 위대한 호칭
2019.07.12
화두를 던지는 것이다. 이는 보통 질문의 형태로 제시된다. 대개는 “왜 우리 우주는 이
모양
이 꼴이냐?”라는 식으로 정식화된다. 앞서 말했듯이 세계적인 석학들의 존재이유가 바로 이것이다. 독일의 수학자 다비드 힐베르트는 20세기가 시작될 무렵 꼭 해결해야할 수학난제 23개를 제시했다. 이 ... ...
초미세 빨대로 미세한 물질 분석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0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이창영 에너지및화학공학부 교수팀이 탄소 원자가 원기둥
모양
을 이루는 신소재인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해 나노포어를 만들고, 이를 이용해 미세한 분자를 하나씩 정확히 탐지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나노포어는 미세한 구멍을 통과하는 분자가 구멍을 이루는 ... ...
리튬 이온 배터리 제조단가 낮출 음극 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7.09
축구공
모양
으로 연결된 유기 반도체 ‘풀러렌’ 분자와 이를 잡을 수 있는 글러브
모양
의 ‘헥사벤조코로넨’이라는 물질을 공결정체로 형성시킨 새로운 음극 소재를 개발했다. 공결정체는 두 개 이상 성분이 특정한 비율로 하나의 새로운 결정을 만드는 것을 뜻한다. 특히 유기 반도체 물질에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우리는 언제든 도덕을 던져버릴 준비가 되어 있다
2019.07.06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도덕적인 이야기를 하는 사람들이 참 많은데 왜 세상은 이
모양
이 꼴일까 궁금했던 적이 있다. 몰라서 잘못을 저지르는 것이라고, 알고 나면 바뀔 거라고 생각했던 적이 있다. 하지만 대학원 생활을 해보면서 생각이 많이 바뀌었다. 날고 기는 똑똑한 사람들과 사회정의를 ... ...
[애니멀리포트] 반려새에겐 특별한 건강관리가 필요하다
2019.07.06
이때 양쪽을 똑같이 자르고, 혈관이 흐르는 깃털은 피해서 잘라야 합니다. 깃털은 관
모양
의 깃대를 중심으로 자라는데, 깃털이 자랄 때 깃대에는 혈관이 가득 차 있기 때문입니다. 다 자라면 혈관은 피부 쪽으로 후퇴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빨갛게 보이는 혈관을 피해 잘라야 합니다. 새는 스스로 ... ...
이전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