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media
매체
Media
뉴스
"
미디어
"(으)로 총 2,925건 검색되었습니다.
카리스마 넘치는 미소와 허벅지 근육
팝뉴스
l
2018.05.29
제공 해외 소셜
미디어
에서 최근 화제가 된 이미지다. 압도적인 포스를 자랑하는 사람의 모습을담았다. 자세히 보면 그 사람은 여자다. 다만 덩치가 크고 근육이 초인적으로 발달했을 뿐 분명히 여성이다. 화제의 사진 속 주인공은 나탈리야 쿠즈네초바. 1991년에 태어난 러시아인이며 벤츠 프레스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게으른 천재라는 착각
2018.05.27
건강한 게으름과 병적 게으름을 구분하기 어렵지만, 그 결과는 아주 다르다. - 위키
미디어
제공 게으름의 진화 게으름은 모든 인간이 공유하고 있는 보편적 형질입니다. '농땡이'를 치고 노는 것은 누구나 좋아합니다. 미국 하버드대의 진화학자 대니얼 리버만 교수는,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기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강간범과 일반인의 차이
2018.05.26
고민 없이 강간 장면을 눈요깃거리로 사용하곤 하는, 여성에 대한 폭력을 쉬이 전시하는
미디어
는 또 어떤가? GIB 제공 남자는 울면 안 된다든가 남자는 공감 능력이 떨어진다는 류의 편견 역시 남성으로 하여금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발달시키지 못하게 하고 공감 능력을 잘 사용하지 않게 만든다는 ... ...
[리뷰] 애플 펜슬 끌어안은 6세대 아이패드
2018.05.25
시장의 관심은 아이패드 프로에 있을 것이라고 봤지요. 그런데 키노트가 끝난 뒤 소셜
미디어
를 비롯한 온라인의 반응은 기대 이상이었습니다. 아이패드 6세대의 디자인은 1세대 아이패드 에어와 거의 똑같습니다. 지난해 5세대 아이패드를 포함해서 세 번째로 쓰이는 겁니다. 아이패드의 스펙은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오늘도 식욕 앞에서 무릎 꿇었다면...
2018.05.20
뒷모습. 식이장애는 불과 백년 전만 해도 거의 존재하지도 않는 질병이었다. - 위키
미디어
제공 식욕이 지배하는 문화 식이 장애 정도로 심한 경우가 아니라 해도 최근의 대중 문화는 ‘식욕’이 지배하고 있습니다. 요리 대결을 펼치거나 맛집을 알려주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은 수십 개나 ... ...
사랑받는 군견
팝뉴스
l
2018.05.16
것이다. 개가 춥지 말라는 따뜻한 사랑 그리고 배려의 마음을 갖고 말이다. 해외 소셜
미디어
에서 화제가 된 사진은 군복을 입은 개와 군인들의 모습을 담았다. 개를 전우처럼 여기는 마음을 느낄 수 있다. 개도 그 마음을 알까. 멀뚱히 어딘가를 바라보는 개의 모습이 귀엽다는 평가가 많다. ... ...
괴물 같은 토마토
팝뉴스
l
2018.05.14
제공 정말 토마토인가? 아니면 정체불명의 식물이 발견된 것일까? 해외 소셜
미디어
화제의 이미지로 떠오른 사진이다. 마트 과일 코너에서 발견되었다고 하는데, 해외 네티즌들은 정체가 무엇인지 궁금하다고 말한다. 해외 네티즌들은 뒷배경을 근거로 과일의 정체를 토마토로 추정한다.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약한 사람을 괴롭히는, 텃세의 심리학
2018.05.13
현상이지만, 사회적 동물인 인간 세계에서는 효과적인 생존 전략이 되기 어렵다. - 위키
미디어
제공 태움과 갈굼의 악습 텃세는 신입 멤버에 대한 신고식에 그치지 않습니다. 고의적인 트집과 과도한 압력, 부당한 업무 지시와 집단적인 따돌림을 통해서 혼이 빠지도록 괴롭히는 것은 어렵지 ... ...
[구글 I/O 2018] ② 머신러닝과 웰빙 챙긴 안드로이드P
2018.05.10
최호섭 제공 스마트폰이 잠자리를 괴롭힌다는 분석도 계속 나오고 있다. 쏟아지는 소셜
미디어
메시지는 물론이고 푸른색 계열의 청색광이 시신경을 자극해 잠을 편히 이루지 못하게 한다는 의학적인 문제 제기도 이뤄진다. 이 때문에 최근 스마트폰들은 색 온도를 낮춰주는 ‘심야 모드’를 따로 ... ...
워너원 음성 분석의 힘...너의 목소리가 잘 보여
과학동아
l
2018.05.10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오디오
미디어
연구실에서 박남인 연구사(왼쪽)와 김태훈 오디오
미디어
연구실장이 음질개선 작업을 하고 있다. -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전문가들은 피치나 포먼트 등 음성신호를 수치화한 ‘음성특징벡터’를 사용한다. 음성특징벡터는 사람의 귀가 소리를 들을 때 잡을 수 ... ...
이전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