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지
내륙
나라안
국내컴퓨터통신망
컴퓨터
통신망
내국
d라이브러리
"
국내
"(으)로 총 5,445건 검색되었습니다.
기술 하나로 최고의 기업을 짓다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수 있지만 본체는 7mm 밖에 되지 않는 기계를 만들기도 했다. 박 소장은 “이 기계는 이미
국내
반도체 공장, 병원의 수술실, 제약회사, 나노 연구소 등에서 사용하고 있다”며 “랩코도 사업을 확장해 더 많은 제품을 만들 날이 머지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
점박이: 한반도의 공룡 3D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교수팀은 코리아노사우루스 보성엔시스라는 학명으로 국제 고생물학회에 보고했다.
국내
공룡 연구에 신기원이 된 중요한 쾌거였다.아쉽게도 코리아노사우루스는 영화가 제작되는 도중에 발표돼 이번 영화에는 그 이름이 실리지 못했지만, 다음 ‘한반도의 공룡’ 시리즈에 담게 될 거라고 ... ...
세계적인 명문고를 꿈군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자신의 꿈을 이루기 위해 장기적으로 노력할 수 있는 학생을 원한다.학생들의 꿈은
국내
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다. ‘세계적인 명문고’가 목표인 현대고는 세계무대에서 활약할 인재를 기르기 위해 모든 교육과정과 환경을 만들었다. 그에 걸맞게 교육과정도 4가지로 나눴다. 현재 자사고 과정인 ... ...
“외국 학생들이 유학 오는 대학으로 발전할 것”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비즈니스화하는 산학협력의 글로벌 스탠더드를 모델로 만들어 나갈 계획이다.포스텍은
국내
경쟁 대학인 서울대 공대나 카이스트 등에 비해 규모가 작다. 때문에 유연하고 빠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다. 글로벌 기관들과 공격적인 협업을 할 수 있는 민첩성을 갖췄다. 굉장한 장점이다.지난 25년을 ... ...
“남 배려하는 따뜻한 학생 뽑겠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그런 게 바로 적정기술입니다(서울대 공대는 12월 2일 적정기술 컨퍼런스를 열기도 했다).
국내
에서는 다른 방향의 접근이 필요하죠. 서울대가 있는 관악구와 협력해 공부방을 지원하는 것도 좋은 예입니다. 이처럼 사회적 약자를 돕는 기술을 소셜 테크놀로지라고도 하죠. 어쨌든 서울대 공대생은 ... ...
[1월] 이슈 키워드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받은 소식이 전해졌다. 남성이 이식받은 인공 뇌경막이 원인이었다. 보건당국이 iCJD
국내
첫 사망환자 소식을 발표한 지 열흘 만의 일이다. 당시 보건당국은 1987년 이후 뇌수술을 받은 환자는 iCJD 우려가 없다고 했다. 수술에 사용된 독일산 인공뇌경막 생산이 1987년에 중단됐기 때문이다. 그러나 198 ... ...
떴다! 스마트무인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4호
국내
연구진이 헬리콥터와 비행기를 결합한 특수 항공기를 세계에서 두 번째로 개발했어요. 최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2002년부터 10년간 공들여 개발한 ‘스마트무인기’를 전남 고흥 항공센터에서 공개했습니다.길이 5m, 무게 980㎏의 작은 항공기로 헬리콥터처럼 제자리에서 뜨고 내리지만 ... ...
초대장을 보낸 주인공의 정체를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1호
규모의 신나는 배움터가 맞나요?잘 찾아 왔어요. 경기도어린이박물관은 지난 9월 개관한
국내
최대 규모의 어린이 전용 박물관이에요. 거의 모든 전시물들이 체험 위주로 꾸며져 있어, 직접 만지고 신나게 놀다 보면 자연스럽게 원리를 배울 수 있지요. 그래서 전 경기도어린이박물관을 한마디로 ... ...
현장출동! 독도탐사대 강치를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9호
독도법률자문관으로 일하고 있는 정재민 판사예요. 독도에 관한 국제법과
국내
법을 자세히 알고 연구하는 일을 하고 있지요.어떻게 독도법률자문관이라는 특별한 직업을 갖게 되셨는지 궁금합니다.법대에 입학해서 나라 간의 문제를 다루는 국제공법을 공부했어요. 그리고 국방부에서 일하면서 ... ...
휴보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9호
쑥쑥 발전하다!지난 7년 동안 휴보는 계속 발전해 왔어요.휴보1은 세계에서 두 번째이자
국내
최초로 개발된 두 발로 걷는 로봇으로 이름을 알렸어요. 하지만 달릴 수는 없었지요. 또 손가락을 펴고 접을 순 있어도 물건을 집을 수는 없었답니다.하지만 휴보2는 최대 시속 3.6㎞로 달리고 물건도 척척 ... ...
이전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