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설비
시설
장치
설립
세트
설치물
창설
d라이브러리
"
설치
"(으)로 총 3,762건 검색되었습니다.
'휴보' 기술로 개기일식 촬영하는 로봇공학자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개기일식 당일인 29일 오전 8시에 자갈 해변으로 출발했다. 무게만 50kg이 넘는 망원경을
설치
하자 주변에 현지 경찰 5명이 배치됐고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경호를 서주었다. 정오를 넘어서자 태양이 조금씩 가려지기 시작했다.오후 1시 54분이 되자 갑자기 어두워졌고 태양의 모습이 감쪽같이 ... ...
거미줄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4호
대만 퉁하이대학교 쳉렌청 교수님이 그 이유를 풀었어요. 교수님은 숲 속에 카메라를
설치
해 700시간 동안 거미를 촬영했어요. 그 결과 X자 모양의 거미줄은 그렇지 않은 거미줄보다 더 많은 먹이를 끌어들인다는 사실을 밝혀 냈어요. 하얀색 X자 모양의 거미줄에 6마리의 먹이가 걸릴 때 X자가 없는 ... ...
까악~! 까마귀 자판기로 돈을 벌겠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3호
청소도 하고 돈도 벌고! 이거야 말로 일석이조 아닌가요?” 미국의 한 대학원생이
설치
해 놓은 까마귀 자판기의 모습. 이 장치는 유트브에 동영상으로도 소개되어 화제가 되었다. 스키너 상자미국의 심리학자인 스키너가 고안한 실험장치. 상자 안쪽에 있는 지렛대를 누르면 먹이가 나오도록 ... ...
랄랄라~ 고속도로가 노래를 한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2호
막기 위해 아이디어를 낸 거죠. 2001년 일본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랍니다. 올해 10월에
설치
했으니 앞으로 그 효과를 지켜보고 더 늘릴지 결정할 예정이라고 해요.”“또 잠깐! 달리는 속도에 따라 노래가 빨라지기도 하고 느려지기도 하는것같아요. 왜 그런 거죠?”“역시 청각이 뛰어나시군요. ... ...
변기타고 떠나자! 화장실 익스프레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1호
”그럼 혹시 길거리에 …?“그래서 사람들은 오늘날의 베란다와 비슷한 돌출된 창을
설치
했어요. 창의 바닥에는 작은 구멍이 있었고 그 아래에는도랑이 흐르고 있었답니다. 똥을 누면 바닥의 구멍을 통해 도랑에 퐁당~ 떨어지는 거죠. 아니면 요강에 똥과 오줌을 받아 놨다가 창문 밖으 로 휙~하고 ... ...
사이언스 시간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0호
밀어 내거나 먼 곳에서 큰 공을 맞춰 궤도를 바꾸는 방식이 더 좋다. 소행성에 로켓을
설치
해 다른 곳으로이동시키는 방법도 이용될 것이다.*‘미래 속으로’에 소개한 미래 과학 기술은 국가과학기술위원회가 2005년 발표한‘2030년 과학기술 예측조사’보고서를 참고했습니다 ... ...
과학자들의 수다 최초과학자 3인은 누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9호
더불어 외계인도 있을 거란 생각을 했지. 기발하지 않나? 그래서 집에 작은 천문대를
설치
해 놓고 혼천 의와 같은 천문기구로 하늘을 관찰하는 일을 즐겼네. 말하다 보니 우리 후손들을 만나 직접 얘기하고픈 마음이 커지는구만. 어서 초대장에 내 이름을 쓰시게, 고 기자초대할 세 명의 과학자는 ... ...
소행성 찰칵~ 14억 화소 디카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8호
렌즈 지름만 56㎝, 전체 크기가 1.5m나 된대요.이 카메라는 하와이에 있는 우주망원경에
설치
되어 지구에 접근하는 소행성을 찾고 있어요. 지구에 소행성이나 혜성이 꽝~ 하고 충돌하면 큰일이 나겠죠? 공룡도 그래서 멸종했잖아요. 지구에 충돌할 위험이 높은 소행성을 미리 찾아 방향을 바꾸면 ... ...
폭삭~! 정화조 폭발사건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8호
있어요. 사건 분석 ❸ 사람들이 폭발하게 만들었다?“원래 정화조에는 환기구를
설치
하게 되어 있어요. 그리고 1년에 한 번씩은 정화조를 비우도록 법으로 정해 놓았지요.”“에이, 하지만 냄새도 나고 또 정화조 위를 주차장으로 쓰기 위해 환기구를 만들지 않는 곳이 많아. 게다가 1년에 한 번씩 ... ...
해저 2만리 보물선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7호
발굴지역을 바둑판처럼 격자로 나누고 바닥의 모습을 자세히 기록해. 난파선은 큰 배에
설치
한 크레인으로 끌어올리거나 큰 풍선을 여러 개 달아 물 위로 띄우기도 해. 유물을 덮은 흙을 물분사기나 더 안전한 에어리프트, 꽃삽, 손을 써서 조심스레 걷어 내. 해저에 묻힌 유물에 일일이 번호를 붙여 ... ...
이전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