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의료
의술
메디컬
메디칼
medical
d라이브러리
"
의학
"(으)로 총 2,978건 검색되었습니다.
숨 못 쉬는 조산아 살릴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다.인공태반은 태아연구 목적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태아
의학
은 아직까지도 미지의 영역이다. 태아 자체가 접근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의약품 설명서를 읽다보면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는 문구를 흔히 볼 수 있다. 약이 태아나 산모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 ...
혈관 다스려 난치병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현대인이 앓고 있는 만성질환의 30% 이상을 차지한다. 때문에 혈관신생을 조절하는 것이
의학
과 생물학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관심사일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지금까지 혈관신생 조절에 대한 연구는 어떻게 진행돼 왔을까.혈관 만드는 단백질 발견1971년 미 하버드대 소아병원의 주다 포크만 박사는 ... ...
에어버스와 보잉의 에어쇼 수주전쟁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관한 국제회의가 파리에서 열렸을 때 이 용어가 확정된 후 현재는 생물학 ·
의학
· 공학 등 넓은 분야에 걸쳐 사용되고 있으며, 공학분야도 일렉트로닉스뿐만 아니라 기계공학이나 재료공학 등을 널리 포함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디아조늄염에 의한 α, β-불포화카르보닐화합물의 아릴화 반응 ... ...
과학기술 앰배서더 강연 맛보기 : 대장균도 구르는 재주가 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왔다. 특히 푸른곰팡이에서는 페니실린이라는 대표적인 항생제를 얻을 수 있다. 영국
의학
자 플레밍이 발견한 최초의 항생제인 페니실린은 ‘실수로 발견됐다’ 는 일화로 유명하다.원래 플레밍은 폐렴을 일으키는 미생물을 연구하고 있었다. 어느날 플레밍이 실험실에 와보니 배양 중이던 ... ...
허준, 동아시아 최초 성홍열 관찰 연구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의학
의 교류에 크게 기여했다. 동의보감은 기존 의서와는 달리 대분류 방법을 통해 전체
의학
체계를 새롭게 분류했다.신 교수는 “동의보감은 17세기 조선의 생명관, 신체관을 잘 확립한 사상서로 높이 평가된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그는 “허준은 명분과 의리를 중시하고 솔직하고 과감하지만 ... ...
몸은 어떻게 통증을 느낄까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그러나 아직도 여러 만성통증이 기존의 진통제로 치료되지 않고 있다. 통증 연구가 국제
의학
계의 중대한 관심사 중 하나인 이유다. 미국의 경우 의회가 2001년부터 10년 동안을 ‘통증 조절과 연구 기간’으로 정하고 통증 연구를 집중적으로 지원하고 있다.새로운 진통제나 진통 방법이 개발된다면 ... ...
연료전지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것을 1962년에 해명, 면역화학의 발전에 공헌한 공적으로 G M 에델먼과 1972년도 노벨 생리·
의학
상을 수상했다1912~ 프랑스의 수학자 파리에서 유태교 랍비의 가정에서 태어났다 수학자 J S 아다마르의 생질이며 친척 중에 수학자가 많다 저서《초함수론(超函數論)》(1900~51)이 잘 알려져 있고 1950년 ... ...
① 천재선수, 유전자부터 다르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관련 유전자를 변형시켜 근육을 강화시킨 사례가 있기 때문이다.6월 24일자 ‘뉴잉글랜드
의학
저널’ 에는 어른에게서나 볼 수 있는 불뚝불뚝한 팔과 다리를 갖춘 5세가 채 안된 한 어린이의 사례가 소개됐다. 독일 베를린에서 태어난 이 아이의 근육은 동년배보다 크기가 2배나 됐다. 원인은 ... ...
전신수영복의 원리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과학아카데미 외국인 회원이 되었으며 면역의 다양성에 관한 연구로 87년 노벨 생리 ·
의학
상을 수상했다가을 초저녁에 북쪽 하늘 높이 엷게 내(川)를 이루는 별자리 천구상(天球上)의 위치는 적경 22h 25m, 적위 十43°이다백조자리와 안드로메다자리 중간쯤에 있으며 모든 별이 4등성 이하로서 눈에 잘 ... ...
생명체가 컴퓨터 속으로 들어온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도 이뤄지고 있다.이 밖에도 가상세포는 학생들이
의학
이나 생물학을 공부할 때 활용될 수 있다.가상생체모델과 더불어 최근 중요하게 연구되는 분야는 가상질병모델이다. 질병이 발생하는 메커니즘을 정확히 이해하고 예측함으로써 신약 후보물질이 실제 효과가 ... ...
이전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