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산
회계
셈
산출
원가계산
원가
합산
뉴스
"
계산
"(으)로 총 2,799건 검색되었습니다.
[노벨상 시상식]빛으로 나노입자 집는 ‘광집게’
2018.12.08
바이러스 포획 당시 빛의 힘을 측정하기란 ‘하늘에서 별 따기’였다. 이론적으로
계산
은 할 수 있었지만 실험으로 힘의 크기를 측정한다는 게 매우 어려웠다. 애슈킨 연구원은 작은 입자에 빛을 쏴 입자가 가속하는 정도를 측정해 빛의 힘을 재는 방법을 떠올렸다. 이때 그가 선택한 빛은 ... ...
[노벨상 시상식]효소와 항체 생산의 진화를 이끌다
2018.12.08
일어나는 수많은 상호작용과 이들 단백질 분자를 둘러싼 물 분자와의 상호작용을
계산
하는 것은 현재의 기술로는 거의 불가능하다. X선 결정학 등의 기법을 통해 단백질의 3차원적 구조를 알아내는 방법이 있기는 하지만, 그 구조를 안다고 해서 단백질의 기능을 예측할 수는 없다. 여기에 구조를 ... ...
IBS, 30~40대 연구자 주도 본원연구단 2개 신설
동아사이언스
l
2018.12.02
조합수학 및 그래프 이론 전문가인 엄상일 교수가 이끄는 ‘이산수학 그룹’과
계산
사회과학 전문가인 차미영 교수가 이끄는 ‘데이터 사이언스 그룹’으로 구성됐다. 단백질 구조 및 극저온전자현미경(Cryo-EM) 전문가인 김호민 교수는 바이오분자 및 세포구조 연구단의 ‘단백질 커뮤니케이션 ... ...
발사 관계자들이 전하는 누리호 엔진 시험발사 의미
동아사이언스
l
2018.11.29
궤적과 계획된 궤적 간에 얼마나 일치했는지 보려면 여러 비행 데이터와 변수를 갖고
계산
해야 한다. 시간이 좀 더 걸린다. 일단 연소시간, 최대고도, 낙하지점 등을 고려했을 때 이번 엔진 비행시험은 성공적으로 수행된 것으로 판단된다. -누리호 발사와 이번 시험발사체 발사는 별개의 발사라고 ... ...
우주발사체용 로켓엔진이란 무엇인가…10개국만 보유한 극비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18.11.28
한 시간 띄우는 데 사람 무게의 36배의 공이 필요하다. 공의 무게를 생각하지 않고
계산
했기 때문에 실제로는 공이 더 필요하다. 결국 로켓의 무게 대부분은 연료가 차지하게 되는 셈이다. 거대한 로켓에 상대적으로 조그마한 위성 하나를 실어 날릴 수밖에 없는 이유다. 이번 시험발사체의 ... ...
英 새 50파운드 지폐에 들어갈 과학자는 누구
동아사이언스
l
2018.11.27
영국의 수학자, 암호학자, 논리학자이자 컴퓨터 과학의 선구적 인물이다. 알고리즘과
계산
개념을 튜링 기계라는 추상 모델을 통해 형식화함으로써 컴퓨터 과학의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했다.-위키백과 제공 이번에 추천된 인물 중 11만4000명은 이미 작고한 인물로 영국 과학 발전에 기여한 ... ...
2021년 ‘알파고’한계 뛰어넘을 뇌 닮은 AI칩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5
한계를 갖고 있습니다. 사람이 방대한 양의 사전 학습 데이터를 일일이 만들어야 하고,
계산
양이 많아지면 고성능 슈퍼컴퓨터 없이는 구동하기 어렵습니다.” 장준연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차세대반도체연구소장은 23일 서울 성북구 KIST 본원에서 ‘뉴로모픽(신경망 모사) 컴퓨팅’을 주제로 ... ...
[암호기술 혁명]⑤드론 해킹 동형암호로 차단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4
2018’에서 발표한 천 교수의 연구 결과는 하나의 돌파구가 될 수 있다. 근사
계산
기법은
계산
을 반복하면서 유효숫자 이하의 정보는 계속 버리는 방식이어서 암호문의 크기가 연산을 반복해도 기하급수적으로 늘지 않고 이론적으로는 무한히 연산할 수 있다. 천 교수는 “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을 ... ...
[암호기술 혁명]④프라이버시 지키며 유전체 빅데이터 연구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4
작업 시간이 짧아 효율성에서도 최고라는 평가를 받았다. 천 교수는 “혜안의 근사
계산
방식 덕분에 다른 팀보다 월등히 속도를 높여 분석할 수 있었다”며 “결과적으로 더 많은 연산을 할 수 있었기 때문에 분석 정확도도 높아졌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과학동아 2018년 5월호, 암호기술 ... ...
[암호기술 혁명]③생체정보 철벽 보호하며 2.5초 만에 신원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18.11.24
서버로 정보를 보내면 서버에서 암호화된 두 홍채 정보의 해밍 거리가
계산
된다. 그런 뒤
계산
결과를 단말기에 보내 단말기에서 본인 여부를 확인하는 방식이다. 현재 서버에서 본인 인증까지 걸리는 시간은 약 2.5초 수준이다. 강 CTO는 “시스템을 시작할 때 저장된 정보를 읽어오기까지 몇 초 정도 ... ...
이전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