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나머지"(으)로 총 2,447건 검색되었습니다.
- 얼음으로 도로 결빙 막는다?과학동아 l2018.11.16
- 얇은 홈에 있는 얼음은 주변 습기를 흡수해 너비가 25배나 늘어났다. 반면 알루미늄판의 나머지 부분 중 80~90%는 마른 상태를 유지했다. 연구팀의 파자드 아흐마디 연구원은 “실험에서 어떠한 화학물질을 추가하거나 코팅 기술을 사용하지 않았다”며 “얼음이 자연 상태에서 지닌 화학적 특성을 ... ...
- 생활 속 4개 측정 기본단위 기준, 143년 만에 확 바뀐다2018.11.16
- 길이의 단위인 미터를 우주 불변의 값인 빛 속도의 2억9979만2458분의 1로 바꿨다. 이번에는 나머지 네 개의 기본단위가 한꺼번에 바뀐다. 질량은 양자역학에 등장하는 ‘플랑크 상수’를 이용한다. 플랑크 상수는 올해 7월까지 미국과 캐나다 등이 무수한 실험과 측정을 통해 값을 얻은 최신 결과를 ... ...
- 길이 1cm 세계에서 가장 작은 '랩터' 발자국 화석 진주에서 발견동아사이언스 l2018.11.15
- 공룡은 앞다리를 든 채 뒷다리로만 걸으며 세 개의 뒷발가락 중 두 개만을 땅에 딛는다. 나머지 한 개의 발가락은 낫 모양으로 갈고리처럼 위로 들려 있어 땅에는 닿지 않는다. 이 발가락은 사냥에 이용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발견된 발자국. - 사진 제공 김경수 교수 연구팀이 이번에 발견한 ... ...
- 스마트폰 大화면 전성시대과학동아 l2018.11.10
- 베젤이란 디스플레이를 정면으로 바라봤을 때 실제로 화면이 표시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말한다. 애플의 경우 아이폰X부터 화면의 일부를 파내는 노치(notch) 디자인을 적용하고 물리적인 홈버튼을 제거하면서 베젤의 크기를 줄였다. 삼성 갤럭시 시리즈도 작년부터 홈버튼을 없애 베젤을 ... ...
- [과학 읽어주는 언니] 질소발자국을 아시나요동아사이언스 l2018.11.08
- 질소의 총량은 약 1억8900만t이었다. 그 가운데 85.2%는 산업과 농업 분야에서 배출됐고, 나머지는 소비자들이 배출한 쓰레기에서 나왔다. 대안은 결국 소비자들의 관심과 실천이다. 물론 이를 위해서는 상품별 질소발자국을 계산할 수 있어야 하고, 표시제도 만들어야 한다. ... ...
- 어린이 사시약시,뇌발달 저해과학동아 l2018.11.08
- 성인이었다. 연구팀은 화면에 돌아다니는 점들 중 일부는 시력이 약한쪽의 눈으로만, 나머지는 시력이 좋은 쪽의 눈으로만 보게 했다. 그리고 시력이 약한 쪽의 눈에 보이는 점들에 집중하도록 했다. 그 결과 시력이 정상이거나 부동시약시 환자들과 달리 사시약시 환자는 집중하는 데 어려움을 ... ...
- 알츠하이머 치매, AI로 조기 진단한다동아사이언스 l2018.11.07
- 연구팀은 이 AI를 두 단계로 시험했다. 먼저 ADNI의 데이터 중 AI 학습에 이용하지 않은 나머지 10%의 자료를 이용해 AI가 알츠하이머 치매로 발전할 뇌를 제대로 구분하는지 확인했다. 이어, 새로 진단한 40명의 환자 영상을 추가로 확보해 정말로 치매를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지 점검했다. 그 결과 ... ...
- 원안위 새 비상임위원에 장찬동·김재영 교수동아사이언스 l2018.11.06
- 사무처장, 비상임위원 7명 등 총 9명으로 구성된다. 비상임위원 중 3명은 위원장이, 나머지 4명은 국회가 추천한다. 원안위가 안건 의결에 필요한 정족수는 재적위원의 과반이다. 장 교수와 김 교수는 사퇴한 강정민 전 위원장이 제청했던 인물이다. 위원장 직무대행을 맡은 엄재식 사무처장이 이를 ... ...
- [과학의 현장에서]대학연구비 미스터리 : 숨은 1조원은 어디에 있을까2018.11.06
- 억원을 합쳐 6900억원뿐이다. 나머지는 대개 교육비로 느껴졌다. 그렇다면 1조6200억원 중 나머지 금액 9300억원은 어디에 있다는 것일까? 2017년 교육부 총예산과 고등교육지원사업 내역. -사진 제공 강세종 교수 질문의 답을 얻으려면 국가 R&D사업에서 '연구계수'라는 개념을 알아야 한다. ... ...
- [2018 국감] 내년엔 반복되지 말아야할 과기분야 10대 이슈동아사이언스 l2018.11.04
- PBS)’가 국감에 또 등장했다. PBS는 연구자 인건비 중 일부만 정부의 지원을 받고, 나머지는 연구자가 직접 외부기관으로부터 연구 과제를 수주해 충당해야 하는 제도다. 이상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게 ‘과제수주 주식회사’지 어떻게 정부출연연구소냐”며 “인건비는 기관에서 지급해야 ... ...
이전1721731741751761771781791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