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낯
안면
겉
표면
머리
용모
화상
뉴스
"
얼굴
"(으)로 총 1,968건 검색되었습니다.
32일 된 태아가 품은 1억 년 진화의 비밀
2014.11.09
먼 조상이 1억 년에 걸쳐 살아온 진화가 담겨 있었던 것. 1억 년의 세월이 응축된 태아의
얼굴
이 일주일간 펼쳐지고 있었다는 사실은 과학적이자 철학적으로 해석하며 저자 스스로 많은 의미를 부여한다. ◆반기성 교수의 날씨 토크 토크 (반기성 著, 프리스마 刊) 기상전문가가 자신의 ... ...
北 잠수함 미사일을 두려워 해야 하는 까닭
2014.11.03
이다. 원자력 잠수함처럼 수개월 이상 잠항하긴 어렵지만 수일 이상 바닷속에서
얼굴
을 내밀지 않고 움직일 수 있다. 바닷속에서는 충전한 배터리로 움직이기 때문에 소음도 거의 없는데다 연료 보충 없이 아시아태평양 일대는 무리 없이 운행할 수 있다. 군 전문가들은 북한이 짧은 시간 안에 ... ...
“진리와 지식을 갈구하는 진정한 과학자라면…”
2014.11.02
김 교수는 “그리스신화에도 이 욕망은 잘 표현돼 있다”며 “프쉬케는 연인 큐피드의
얼굴
을 몰래 훔쳐보고, 오르페우스는 에우리디케가 잘 따라오는지 돌아 봤다가 영원한 이별을 맞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 욕망 때문에 사람들은 보이지 않는 작은 것을 보려고 현미경을 개발했다. 1665년 ... ...
아우구스티누스 석상 복원에 나노 입자가?
2014.10.31
하일리거 아우구스티누스 석상이 그 주인공이다. 이 석상은 오른손이 완전히 파괴되고
얼굴
을 알아보기 힘든 상태였다. 치겐발크 박사팀은 알코올에 소석회(수산화칼슘) 나노 입자를 섞은 물질을 개발해 복원에 성공했다. 이 과정은 석회 입자를 작게 만드는 나노기술이 핵심이었다. 알코올에 ... ...
요즘 아이들은 왜 이렇게 클까?
2014.10.27
실체인 키는 어떻게 해볼 도리가 없기 때문이다. ●키와 관련된 변이 수 백개 찾아
얼굴
도 그렇지만 키 역시 대체로 유전을 따르는 것으로 보인다. 엄마 아빠가 다 큰데 아이 키가 작은 경우는 드물기 때문이다. 따라서 오래전부터 과학자들은 키 유전자 사냥에 뛰어들었고 실제 유전자들을 여럿 ... ...
팔뚝에 특수 밴드 찼더니 아바타가 똭!
2014.10.24
목소리가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텔레프레즌스’ 기술을 이용해 무대에 스노든의
얼굴
과 목소리가 나오는 디스플레이가 설치됐다. 20일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정보기술(IT) 전시회 ‘월드IT쇼’에는 이보다 한 단계 더 향상된 미래형 텔레프레즌스 기술이 대거 등장했다. 미래창조과학부가 지원하는 ... ...
[채널A] 치명상 입은 환자 살리는 ‘스마트 안경’
채널A
l
2014.10.22
회생의 관건입니다. [인터뷰 : 이승준/명지병원 응급의학과 전문의] 말로만 듣던 것보다
얼굴
과 처치를 보면서 하기 때문에 수월하고 정확한 지도를 할 수 있고요. 실제로 미국에서는 올해부터 구급차 200여 대에 구글 글래스를 장착해 활용하고 있습니다. 응급대원이 전화를 받으면서 한 손으로 ... ...
대한민국 여성 세종기지 월동연구원을 만나다
동아사이언스
l
2014.10.21
미세조류의 정교함에 매료되었다. “극지의 미세조류는 정말 아름다웠어요. 사람마다
얼굴
이 다르듯이, 저마다 다른 형태를 지닌 세밀한 모습에 빠져들었답니다. 각기 다른 모양이 정교하고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것을 보며 '정말 신이 존재 할 수도 있겠구나'라는 생각을 했어요. '어떻게 이렇게 ... ...
인공신경망 화상인식 시스템 세계 최초 개발
2014.10.15
것이다. 지금은 간단한 숫자를 분별하는 수준이지만 멤리스터 제작 기술이 발전하면
얼굴
표정을 보고 감정을 파악하는 것처럼 고도의 분석 기능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팀이 개발한 화상인식 시스템은 실제 이미지(위)를 인식한 뒤 5×6픽셀의 이미지로 단순화시켜 ... ...
둘 중 누가 사람이고, 누가 로봇일까요?
2014.10.12
하기 때문이다. 기사에서는 미국에서 개발한 로봇 ‘벡스터’를 예로 들었다. 로봇의
얼굴
에는 스크린이 하나 붙어 있고, 여기에는 익살스러운 표정이 떠 있다. 또 로봇의 두 팔은 부드럽게 작동해 사람 몸에 닿아도 타박상을 입힐 염려가 없으며, 쉽게 작동을 멈춘다. 이밖에도 이번 주 ... ...
이전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