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억제
통제
콘트롤
처리
조작
조치
자제
뉴스
"
제어
"(으)로 총 2,642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명연, 전문연구단 개편… 5개에서 4개로
동아사이언스
l
2019.03.04
유전체 합성을 통해 선도적 합성생물학 및 혁신소재 원천기술 개발할 계획이다. 노화
제어
전문연구단은 노인성 질환 예방 및 치료가 가능한 생체유래 역노화 효능물질을, 천연물의약전문연구단은 천연물 대사체 빅데이터 활용 플랫폼 및 만성질환 치료용 의약 원천 물질을 연구할 예정이다. ... ...
류마티스 관절염 유발하는 염증 반응
제어
방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04
최의주 고려대 생명과학과 교수(왼쪽)와 이인영 박사과정생(오른쪽). 한국연구재단 제공 국내 연구팀이 패혈증과 류마티스 관절염과 같은 질환의 ... NF-κB 표적 유전자들의 전사/번역이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MST1이 NF-κB 신호전달계를
제어
할 수 있음을 규명했다. 한국연구재단 제공 ... ...
폭발 위험 없는 배터리, 입는 전자소자…KISTEP 미래 10대 소재기술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19.02.28
전기차 등의 성능과 안전을 높일 배터리 기술 등 10개의 소재 기술이 미래유망기술로 선정됐다. 폭발 위험이 없고 전기차 충전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인 ... 환경을 견디는 차세대 핵융합 소재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자율적으로 수명을
제어
하는 화학소재 ▲완전 직물형 웨어러블 소자 ... ...
혈관 속에서 자유자재 소프트로봇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2.27
사실을 입증했다. 자기장
제어
시스템을 통해 가이드와이어 부착형 마이크로로봇을
제어
하는 모습을 연속으로 찍었다. 자기장 방향에 따라 방향을 다양하게 휠 수 있다. 최대 170도까지 휠 수 있어 복잡한 혈관도 지나갈 수 있다. 사진 제공 DGIST 연구팀은 이 로봇을 가이드와이어 끝 부분에 달고 ... ...
아이언맨 슈트 ‘타이타늄’, 강하고 유연하게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27
소재에서 흔히 발생하는 현상인 ‘쌍정(twin)’에 주목, 쌍정을 통해 소재 결정의 방향을
제어
하는 압연기술을 첫 개발했다. 쌍정은 금속 소재에서 변형시 잘 나타나는 조직 중 하나로 특정 결정면을 기준으로 대칭 위치에 원자가 재배열되는 현상이다. 집합조직을 분산시켜 소재 성형성을 올리는 이 ... ...
천안 독립기념관에서 드론 100대가 수놓은 '3.1절 100주년'
동아사이언스
l
2019.02.25
측정했다. 통신량 개선과 내부 시스템의 이중화를 통해 여러 드론과의 통신 및 정밀
제어
기술을 확보해 안정적인 비행이 가능토록 했다. 이를 통해 드론의 개수가 늘어나도 문제없이 군집비행을 수행할 수 있었다. 이는 평창동계올림픽 개막식에서 미국 인텔이 선보였던 드론 군집비행 기술에도 ... ...
MWC무대에 25기가 촉각인터넷·인체통신·스마트공장 기술 선보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21
계획”이라고 밝했다. 5G를 위한 증강현실과 가상현실등 광대역 서비스와 드론, 로봇
제어
등 초저지연 서비스를 동시에 수용하는 파장당 25기가급 광액세스 기술을 시연했다. ETRI 제공 ... ...
손쉽게 얇게...온도차로 전기 만드는 ‘열전소재’ 신공정 나와
동아사이언스
l
2019.02.20
용액공정으로 얇게 만든 열전소재(주석-셀레나이드)를 연구원들이 들고 있다. -사진 제공 UNIST 따뜻한 차가 담긴 잔이나 체온 등 일상 생활 속 ... 응용할 수 있다. 손 교수는 “간편하고 효율적이면서 주석-셀레나이드의 결정 방향까지
제어
할 수 있어 향후 폭넓게 응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 ...
한빛 2호기 재가동 허용
동아사이언스
l
2019.02.15
수위
제어
에 대해 운전원을 교육하고 관련 절차를 개정했다. 증기발생기 수위
제어
를 위한 운전기준 수립 계획 적절성도 다시 확인했다고 밝혔다. 원안위는 한빛 2호기를 재가동하고 출력상승시험 등 정기검사 7개를 수행해 안전성을 최종 확인할 예정이다 ... ...
'인공태양에 한걸음 더'…KSTAR, 첫 이온온도 1억도 달성
동아사이언스
l
2019.02.13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윤 센터장은 “플라즈마가 가열되다가 식는 순간이 있는데 이를
제어
해 5~6초 동안 지속할 수 있다면 10초도 가능할 것”이라며 “10초를 유지하면 이온온도 1억℃의 플라즈마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조건으로 10초 지속이라고 분석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올해 ... ...
이전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