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축소
감퇴
감량
저하
하락
수축
점감
스페셜
"
감소
"(으)로 총 1,914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완벽주의가 일을 망친다
2019.02.09
보이는 특성)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일반적으로 나이가 들면서 신경증이 조금씩
감소
하고 걱정이 줄어드는 것과는 대조되는 결과이다. 경험을 쌓아가면서 실패한다고 해서 삶이 끝나는 게 아니라고, 그렇게 애쓰지 않아도 된다고 자신의 부족함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평정심을 배워가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젊을 때 근력운동을 해두면 좋은 이유
2019.02.06
근육량 유지의 열쇠는 근육세포 안에도 있다는 것이다. A와 B는 50세 동갑으로 근
감소
증을 예방하기 위해 근력운동을 시작했다. 현재 두 사람의 근육량이 비슷하지만 젊었을 때는 달랐다. A는 해마다 봄이 되면 헬스클럽에 다니며 여름휴가를 대비했기 때문에 근육질이었다. 그런데 결혼하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홍역은 어떻게 면역 기억상실을 일으킬까
2019.01.29
썼다. 홍역을 앓고 난 뒤 나타나는 면역 억제(기억상실) 현상이 기억B세포의
감소
(빨간색) 때문이라는 가설을 지지하는 동물(마카크원숭이)실험 결과가 2012년 나왔다. 반면 홍역바이러스에 대한 기억B세포는 지나치게 많다(녹색). 지난해 네덜란드의 연구자들은 홍역 환자를 대상으로 이런 ... ...
[표지로 읽는 과학] 블랙홀 진화와 코로나
감소
현상
동아사이언스
l
2019.01.12
네이처 제공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10일 주변 별(항성)으로부터 물질을 흡수하기 시작한 블랙홀의 모습을 표지로 실었다. 황금색 베이글 모양을 닮은 강착원반 속 블랙홀이 있는 것이 보인다. 블랙홀을 둥그렇게 감싸고 있는 고에너지 입자들인 하얀색 코로나와 푸르스름하고 신비스러운 빛깔 ... ...
[표지로 읽는 과학] 거대 수궁류는 티라노사우르스 때문에 멸종하지 않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06
공룡의 시대인 쥐라기가 찾아왔다는 것이다. 여러 가설 중 가장 유력한 것은 산소 농도
감소
설이다. 대기 중 산소 농도가 지금보다 크게 낮아지면서 산소 의존도가 낮은 호흡체계를 가진 공룡의 조상이 생존하기 유리하다는 것이다. 고생물학계는 디키노돈트와 같은 대형 수궁류는 후손을 남기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다이어트도 발상의 전환이 필요한 때
2019.01.02
설사 12시간 넘게 금식을 하더라도 칼로리 섭취가 뒤쪽으로 몰려있을 경우 체중
감소
나 건강 개선 효과가 반감되거나 전혀 없다는 연구결과들이 여럿 나왔기 때문이다. 아침2, 점심3, 저녁4, 야식1의 식습관을 지닌 사람이 타이밍 다이어트를 결심한다면 저녁 시간을 당기고 야식을 끊어 금식 ... ...
ISS 우주인 8시간 유영…소유스 캡슐 구멍 조사
동아사이언스
l
2018.12.13
실시했다. 지난 8월 30일(현지시간) ISS에 도킹할 당시 소유스 MS-09 캡슐에서 미약한 압력
감소
현상이 발생했고, 그 원인으로 지목됐던 구멍이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11일 올레그 코노넨코와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등 두 명의 러시아 우주인이 소유스 MS-09 캡슐에 생긴 구멍을 확인하기 위해 ... ...
보이저2호, 41년 날아 인터스텔라로 진입
동아사이언스
l
2018.12.11
- NASA 제공 보이저 프로젝트를 담당한 과학자들은 지난 11월 5일 태양풍의 영향이 급격히
감소
했으며 현재는 그 값이 전혀 측정되지 않는 것으로 미뤄보면 탐사선이 태양권계면을 넘어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보이저 2호가 심우주로 진입 여부에 대한 결정적 증거를 확보해 확정 발표를 내놓은 ... ...
[강석기 과학카페] 한때 언어 유전자로 불렸던 FOXP2 이야기
2018.09.11
골격을 떠올려보라. 이는 가축 수컷에서도 나타나는 현상이다. 즉 테스토스테론의
감소
는 공격성뿐 아니라 외모에도 영향을 미친다. 한편 신경호르몬 세로토닌의 분비는 늘어난다. 그 결과 무리를 지어도 큰 스트레스를 받지 않고 상대의 마음(심리)를 읽는 능력도 발달한다. 최근 연구자들은 몇몇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코알라는 어떻게 유칼립투스 잎만 먹고 살까
2018.07.17
20세기 초반까지 코알라 수백만 마리가 모피 때문에 희생됐다. 아울러 서식지
감소
와 질병 등으로 개체수가 크게 줄어 오늘날 야생 코알라는 33만 마리 수준으로 추정된다. - 위키피디아 제공 한편 도금양과(科) 나무인 유칼립투스는 속씨식물로는 가장 큰 종류로 유칼립투스속(屬)에 700여 종이 ... ...
이전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