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궁극
마지막
극도
결과
d라이브러리
"
결국
"(으)로 총 6,098건 검색되었습니다.
쌍잠자리는 왜 같이 날까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2호
끝부분으로 긁어내지요. 그런 다음 짝짓기를 통해 다시 자신의 정자를 저정낭에 넣어요.
결국
이 암컷이 알을 낳게 되면 가장 나중에 짝짓기한 수컷의 정자를 사용하게 돼요. 이것을 ‘마지막 수컷 우선효과’라 불러요. 이처럼 잠자리 수컷끼리의 경쟁은 연못 위의 영역에서만 벌어지는 것이 아니라 ... ...
탐사 ➊ 타르보사우루스의 기적 같은 과거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1호
하지 못해 며칠 굶은 상태였지요. 배고픔과 영양실조에 시달리던 타르보사우루스는
결국
그대로 죽어 버리고 말았어요. 타르보사우루스의 몸은 호수 가장자리의 얕은 물속에 잠겼어요.호수로 흘러들어간 고운 흙 같은 퇴적물이 가여운 타르보사우루스 위에 조금씩 쌓여갔어요. 시간이 흐르면서 ... ...
이그노벨상이 궁금해! 바나나 껍질을 밟으면 왜 미끄러질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1호
못하고 제자리에서 맴도는 것처럼 말이야. 이때 몸의 무게중심을 제대로 잡지 못하면
결국
넘어지고 말아.발과 바닥처럼 두 표면 사이의 마찰 정도를 ‘마찰계수’라고 해. 마찰계수가 작을수록 마찰력이 작아져 더 쉽게 미끄러진다는 뜻이지. 마찰계수는 접촉하는 두 표면의 상태에 따라 결정 돼. ... ...
바이오가스에서 접시까지 낙엽의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1호
생기면 나뭇잎은 가지에서 점점 분리가 되고 기공이 닫혀 생명을 잃고 만다. 그리고
결국
낙엽이 된다. 나무는 추운 겨울을 날 수 있도록 몸속 수분과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낙엽을 만드는 것이다. 낙엽에도 순서가 있다!봄철 나뭇잎은 가지의 가장자리, 즉 가지 끝에서부터 나기 시작한다. 나무의 ... ...
여치의 노래를 잘 들을 수 없는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0호
있는 숨관에 소리가 들어오고, 이 소리가 숨관을 통해 고막의 뒷부분에도 전달된답니다.
결국
소리가 고막의 앞과 뒤로 들어오는 거예요.숨관을 통해 들어온 소리는 먼 길을 돌아 왔기 때문에 소리의 세기가 원래보다 훨씬 약해져요. 그래서 외부에서 오는 소리의 압력과 숨관을 통해 고막의 ... ...
멸종 위기의 지구생물을 지켜라! 생물다양성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0호
아일랜드는 감자가 주식이었는데, 감자가 자라지 않으니 많은 사람들이 굶어 죽게 됐지.
결국
아일랜드 인구 800만 여 명 중 200만 여 명이 죽었단다. 그리고 200만 여 명은 먹을 것을 찾아 다른 나라로 떠났지. 다양하지 못한 감자 유전자가 그곳의 인구를 절반으로 줄여 버린 거야. 1970년대 인도와 ... ...
너무 빨리 자라면 병? 성조숙증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0호
문제일까? 빨리 어른이 되면 좋은 거 아닐까? 왜 병원에 가서 치료를 받아야 하지?크지만
결국
작아진다!성조숙증에 걸리면 사춘기가 빨리지는 만큼 또래 친구들보다 키가 커. 키가 크면 좋은 거 아니냐고? 키가 빨리 커지지만 그만큼 성장이 빨리 멈춘다는 게 문제야. 성호르몬이 뼈가 자라는 부분인 ... ...
항생제 이겨내는 세균 이기는 항생제?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0호
단백질을 만들 때 세균이 갖고 있는 유전정보와 다르게 만들어지도록 방해하지요.
결국
수명이 짧아진 세균은 세포 안에서 모두 사라진답니다.그런데 너희는 항생제를 만나도 살아남는다고?맞아요. 그런데 놀랍게도 우리에게 이런 힘이 생기게 된 이유는 사람들이 항생제를 자주 사용했기 ... ...
짜디 짠 라면이 좋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9호
미쳐 배고픔을 덜 느끼게 하는 호르몬인 렙틴을 방해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어요.
결국
기름진 음식일수록 더 많이 먹게 된다는 얘기지요.이럴 수가! 하지만 난 라면을 절대 끊을 수 없는걸!걱정 말아요. 라면을 비교적 건강하게 먹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스프를 다 넣지 말고 반만 넣어 덜 짜게 ... ...
공포의 에볼라바이러스 파헤치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7호
사슬(안티센스 RNA)을 인공적으로 만들면, 지퍼를 올려 잠그는 것처럼 RNA를 잠글 수 있다.
결국
더 이상 바이러스의 유전정보가 복제되거나 단백질을 만들 수 없다. 한 마디로 ‘강력한 바이러스가 아무런 힘을 쓰지 못하도록 발을 묶는 셈’이다.에볼라바이러스도 탄저균처럼 생물학테러 무기가 될 ... ...
이전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