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예
견본
실례
예제
일견
사례
바라보기
d라이브러리
"
보기
"(으)로 총 3,93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한가위의 달이 대보름달일까?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겉
보기
지름이란 천체를 우리 눈으로 본 각도를 말해. 이번 한가위에 뜬 보름달은 겉
보기
지름이 29분 28초야. 보름달이 가장 크게 보인 날과 비교하면 88% 정도밖에 되지 않아.그런데도 한가위의 보름달은 참 커 보여. 여름철에는 장마와 비구름 때문에 보름달을 잘 보지 못하다가, 맑고 깨끗한 가을 ... ...
세계 무대 누비는 KAIST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학과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입학원서 접수 시 작성하는 희망학과는 학업성향을
보기
위해 참고하며, 추후 학과결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Q. 이공계 학생만 지원 가능할까? KAIST는 계열에 관계없이 지원이 가능하다. 수학과 과학 교과의 이수과목 수가 적더라도 그에 맞춰 고교 성적을 ... ...
판타스틱 경험디자인 월드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쏟아져 나오고 화장을 한 것처럼 예쁜 디자인이 상점에 진열되는 것을 보며 파버는 겉
보기
에만 멋진 주방용품은 부질없음을 절감했다.그는 디자이너들과 함께 손목이 아픈 사람을 위한 취사도구를 디자인했다. 손목의 스냅을 사용하지 않도록 손잡이가 달린 칼이나 음식을 눌러 짜는 제품, 계량용 ... ...
아핀변환으로 해석한 핀치 부리의 진화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제각각인 핀치가 14종이나 나오려면 아주 오랜 시간이 걸려야하지 않을까. 그런데 겉으로
보기
에는 무척 다양해 보이는 부리 모양이 간단한 수식으로 표현되는 변형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는 불과 몇 개의 유전자 발현 패턴의 변화가 이런 다양성을 이끌 수 있음을 보여 준 이전 연구결과와도 ... ...
이제는 우측보행 시대!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갈 정도밖에 공간이 없는 경우는 좌측보행을 해야 한다. 그래야 차의 진행방향과 마주
보기
(대면보행) 때문이다. 물론 도로 이쪽 편에 있는 집을가는데 대면보행을 하려고 길을 건넌 뒤 이동하고 다시 길을 건너는 수고를 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차를 등지고 걸을 때 교통사고가 일어날 확률이 훨씬 ... ...
[cool tech] 내 방 안의 아쿠아리움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녹아 나오면 물이 갈색으로 변할 수 있다. 수초나 물고기에 나쁜 영향을 주지는 않지만
보기
에 좋지 않다. 돌은 물의 경도를 높일 수 있다. 경도는 물속에 칼슘이나 마그네슘이 녹아 있는 정도를 말한다. 이산화탄소로 인해 pH가 낮아진 물에서는 돌에 들어 있는 칼슘이나 마그네슘이 녹아 나오기 ... ...
로봇의 미래를 말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획기적인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오 교수는 “청소로봇은
보기
와 달리 센서를 통한 정확한 위치인식과 상황대처능력이 필요한 인공지능의 집합체”라며 “완벽한 청소로봇을 만들 수 있다면 다른 분야에도 적용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또 “도요타나 혼다 등 일본 ... ...
나의 경험이 세상을 설계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있지만 사고가 잦아지자 당국은 원인을 찾기 시작했다. 분석 결과 사고 원인은 복잡하고
보기
불편한 조종석 디자인 때문이었다. 조종석에는 수많은 버튼과 레버, 숫자를 표시하는 기판이 달려 있는데, 전투를 벌이거나 본부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등 긴급한 상황에서 조종사의 실수가 잦았다. ... ...
인간 심판이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시스템과 달리 경기장마다 지하에 전선을 깔아야 한다는 점도 부담스럽다.장점 영상으로
보기
힘든 곳에 있어도 위치를 알 수 있다.단점 정확도가 의심스럽다.3. 선수 하나하나까지 추적하는 전파발신기전파를 이용해 공의 위치를 추적하는 기술도 가능하다. 축구공 안에 전파발신기를 넣고경기장 ... ...
새가 ‘동성애’ 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자연스럽지 않다고는 볼 수 없다고 주장했다. 아마도 동성애는 구애 행동을 미리 연습해
보기
위함이거나 동성끼리 결연을 다지고 사회적인 긴장감을 줄이기 위해서일 것이라고 추측했다. 하지만 궁극적으로 새가 왜 동성애를 하는지는 결론짓지 못했다. 연구팀은 “초식동물들에게서도 같은 결과가 ... ...
이전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