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용"(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 [Dr. 소의 과학 영상 읽어줌] 가짜 다이아몬드를 구별하는 법 외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역할을 하지만, 집에 제습기까지 있는 경우는 잘 없죠. 에어컨과 제습기의 작동 원리를 이용한 대단한 꿀팁이 있어요! 영상을 부모님께 보여드리면 분명히 좋아하실 거예요. 올 여름, 시원하고 뽀송하게 보내봅시다 ... ...
- [통합과학 교과서] 콩나무 타고 별 보러 슝~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물리 법칙과, ‘절대등급은 10파섹의 거리에 별이 있을 때의 등급’이란 사실을 이용해요. 절대등급을 알고있는 천체의 겉보기 밝기를 관측하면 그 천체까지의 거리를 구할 수 있죠. 즉, 절대등급이 알려진 천체가 표준촛불인 셈이에요. 지난 5월, 한국천문연구원 연구팀은 활동은하핵 ‘3C 84’가 ... ...
- 화성님, ‘돌’ 좀 주워갈게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화성에 생명체가 살았다고 판단할 수는 없어요. 지구에 있는 전자현미경 등을 이용해 직접 화석이나 생명체를 눈으로 봐야만 하지요. 이를 위해 퍼시비어런스는 암석 시료들을 지구로 보낼 준비를 할 거예요. NASA와 유럽우주국(ESA)은 2026년 시료를 회수하기 위해 화성샘플귀환(MSR) 임무를 시행할 ... ...
- 과학자? 예술가? 현대미술과 과학의 만남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팀코 박사의 연구 분야를 접하면서 작품 구상을 많이 했어요. 당시 방사선 입자 검출기를 이용한 작품을 생각했고, 라는 작품을 만들었어요. 우주에서 온 ‘뮤온*’이라는 입자를 감지하면 이와 연결된 라는 작품으로 신호가 전달돼 관 속 액체가 순환되도록 했지요. 우주의 사건을 ... ...
- [과학뉴스] 알록달록 친환경 태양전지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연구팀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비눗방울이 무지개색으로 보이는 ‘빛의 간섭’ 현상을 이용했어요.비눗방울에 도착한 빛의 일부는 비눗방울 표면에서 반사되고 일부는 막을 투과해 안쪽에서 반사돼요. 비눗방울 막의 안과 밖 서로 다른 위치에서 반사된 빛이 만나면 간섭현상을 일으켜 다양한 색을 ... ...
- [통합과학 교과서] 과자보다 맛있는 복숭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95% 성공률을 보이며 배가 잘 열렸다”고 설명했어요. 그러나 비눗방울 장난감을 이용하면 수분 시간이 오래 걸리고, 그만큼 비눗물이 많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어요. 미야코 박사는 “앞으로 모션 제어 기술 등을 활용해 비눗방울 수분의 정확도를 더 높일 계획”이라고 밝혔어요. 그때는 ... ...
- [기획] 2장. 키블 저울, 어떻게 질량을 측정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이 원리를 이용해요. 대신 키블 저울은 균형을 맞추기 위해 추가 아니라 ‘전자기력*’을 이용해요. 질량을 알고 싶은 물체의 중력과 같은 크기의 전자기력을 만들어 두 힘의 균형을 맞춰 물체의 질량을 알아내는 거예요. ‘중력=전자기력’이라는 공식에 들어가는 여러 수치들 중 질량을 제외한 ... ...
- [헥!헥! 핵물리학자] 흡사 입자 탐정 수사극? ‘검출기’ 속 입자의 흔적을 추적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통해 질량을 계산할 수 있는 공식을 알고 있어요. 바로 ‘운동량’이라는 물리량을 이용하는 거예요. 물체의 운동 상태를 나타내는 운동량은 질량과 속도의 곱으로 계산돼요(운동량=질량×속도). 즉, ‘입자 탐정’은 입자가 검출기에 남긴 발자국의 모양으로 속도와 운동량을 알아낸 뒤, 운동량을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도체와 부도체 구별 방법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꼬마전구에 불이 들어와요. 이를 통해 ‘전기가 흐른다’는 걸 알 수 있어요. 이 원리를 이용해 회로 사이에 모르는 물체를 연결해 보는 거예요. 철과 구리, 알루미늄, 은 등과 같은 금속 물체를 연결하면 꼬마전구에 불이 들어와요. 금속은 전기가 통하는 도체이기 때문이에요. 반면 플라스틱이나 ... ...
- [기획] 1장. 초정밀 ‘키블 저울’ 찾아 지하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커다란 강철 상자 안에 든 압력밥솥 같아 보이기도 했지요.‘키블 저울’은 전자기력을 이용하여 질량을 정밀하게 재는 기계예요. 1975년, 영국의 물리학자인 브라이언 키블이 발명했지요. 이곳의 키블 저울은 오차가 1000만 분의 1kg 정도로 정밀해요. 어느 정도인지 감이 잡히지 않는다고요? 0.0000001kg, ... ...
이전1731741751761771781791801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