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금"(으)로 총 12,639건 검색되었습니다.
- [헥!헥! 핵물리학자] 과장은 없다! 이게 바로 광속...‘핵’ 빠르게 던지는 가속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띠고 있는 정전기. 물체가 양전하 혹은 음전하를 띠면 전기 현상을 일으킨다.주기율표: 지금까지 발견된 원소를 원자 번호 순서대로 보기 쉽게 배열한 표.힉스: 2012년 LHC에서 처음 발견된 기본 입자.표준 모형 이론에 따르면, 힉스는 모든 입자에게 질량을 부여한다. ※필자소개. 임상훈(부산대학교 ... ...
- [특집] 직접 만들면 전율! 미궁 게임수학동아 l2020년 12호
- 유출된 이후에 미궁을 깬 참여자는 명예의 전당에 이름을 올리지 않는 등의 조치를 통해 지금까지도 잘 유지되고 있다. 온라인 수업의 한계, 미궁 게임으로 극복~! 2020년 코로나19로 인해 대면 수업이 불가능해지자 미궁 게임을 사용해 온라인 수업을 기획한 선생님도 있다. 바로 송세웅 ... ...
-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 KSTAR 연구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그래프 수치가 조금씩 증가할 때마다 연구원들의 얼굴에는 긴장감이 드러났다. “지금이 가장 긴장되는 순간입니다. 앞서 꺼뒀던 플라스마를 켜는 중인데, 이때가 장치에 이상이 발생할 위험이 가장 크기 때문이죠.” 김 부장의 설명을 들으니 기자 역시 손에 땀이 나는 듯했다. 수십 초 뒤, ... ...
- 지구 어디서든 인터넷이?! 수만 대 스타링크 위성 군단 뜬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0004-6361/202037958 하지만 최 책임연구원은 “스타링크 위성의 영향을 아예 없애려면 밝기가 지금보다 15분의 1 수준으로 어두워져야 한다”며 “빛 반사를 감소하는 것만으로는 사실 한계가 있으므로 다른 해결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말했다.다른 해결책 중 하나는 우주 관측 데이터에서 인공위성이 ... ...
- [기초과학의 힘] 고품질 그래핀 4층으로 쌓았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방법도 개선해나갈 계획이다. 다층 그래핀을 반도체나 회로 등 다양한 소자에 적용하면 지금까지 생각하지 못했던 물리적인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필자를 포함한 IBS 나노구조물리 연구단은 이렇게 다층 그래핀에서 특이적인 현상을 관찰하는 연구 또한 앞으로 계속 해나갈 계획이다 ... ...
- [비하인드 로켓] 나로호 드디어 발사 성공! 새로운 시작을 열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수 있는 로켓을 개발하고 싶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로켓의 연비가 지금보다 향상돼야 한다. 누리호에 들어가는 엔진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로켓의 단을 추가하면 절대 불가능한 일이 아니라고 본다.물론 성공하기까지 많은 난관이 있겠지만, 포기하면 할 수 있는 것은 아무 것도 ... ...
- [독일유학일기] 기말고사에 달린 학점 족보는 필수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지금까지 유학일기를 읽어주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제 글이 해외 유학을 준비하는 학생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유학일기를 연재한 1년은 저에게도 굉장히 값진 시간이었습니다. 기회가 된다면 또 과학동아에서 만날 수 있기를 바랍니다. 해외 생활, 어려워 보여도 ... ...
- 코로나19 , 1년 과학이 밝힌 숫자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지금으로부터 약 1년 전인 2019년 12월 31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최초 감염자가 발생했다. 당시만 해도 우리는 코로나19가 이토록 전 세계에 큰 혼란을 가져올 거라 예상하지 못했다. 2020년을 통째로 집어삼킨 코로나19 상황을 인포그래픽으로 정리했다. ●현재 5788만 명2020년 11월, ... ...
- 꿈의 에너지 현실이 되다, 핵융합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지금까지 핵융합 에너지는 꿈속에서만 존재할 정도로 실현해내기 어려운 기술이라는 의미로 ‘꿈의 에너지’라 불렸다. 하지만 이제는 꿈에서 깨어나야 할 때다. 국제핵융합실험로(ITER·이터)의 주장치가 올해 여름부터 본격적인 조립에 들어갔기 때문이다.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은 ITER ... ...
- [인터뷰] 꿈의 에너지에서 현실의 에너지로 "선진 기술로 핵융합 상용화 주도할 것"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상용화는 똑똑하고 창의적인 미래 세대의 연구자들이 완성해 나가주길 바랍니다.지금도 잊혀지지 않는 한 초등학생의 질문이 있습니다. “핵융합 발전의 연료인 중수소를 바닷물에서 계속해서 추출한다면 바다 환경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라는 질문이었는데 신선한 충격을 받았습니다. 한평생 ... ...
이전1731741751761771781791801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