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d라이브러리
"
표면
"(으)로 총 4,278건 검색되었습니다.
비누거품 속에 숨은 과학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이뤄져 있다. 비누의 이러한 구조로 인해 비누는 물속에서 독특한 구조로 배열된다. 물
표면
에서는 친수성인 머리 부분이 물 안쪽을 향하고, 소수성인 꼬리 부분이 바깥쪽을 향한다.물에서 비누의 배열은 와 같다. 비눗물이 뿌옇게 보이는 이유는 비누가 물에 녹아 무수히 많은 미셀을 형성해 ... ...
슛~~ 과학으로 즐기는 2010 월드컵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곡면으로 된 여덟조각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금까지의 공인구 중 가장 구형에 가깝고
표면
에는 특수한 미세 돌기가 있다. 그 결과 선수가 공을 다루는 데 유리해져 정확한슈팅을 할 수 있다.*오일러의 법칙 : 다면체에서 가 항상성립한다는 것.**공인구 : ... ...
외계행성을 지구처럼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펼쳐서 별에서 나오는 빛을 반사시켜 행성을 비춰 주면
표면
온도를 올릴 수 있다. 행성
표면
이 밝은 색이어서 별빛을 반사하는 비율이 높다면 행성에 어두운 색의 흙을 뿌려 더 많은 빛을 흡수하게 만드는 방법도 생각해 볼 수 있다.중력이나 기온은 적당한데 물이 없는 행성은 어떻게 해야 할까. ... ...
변화무쌍 수조 진짜 남극바다에 도전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터널 수조는 프로펠러의 캐비테이션 정도를 측정한다. 캐비테이션은 프로펠러 날개
표면
에 공기방울이 생기는 현상인데, 심하면 프로펠러가 닳아 없어지거나 배에 진동과 소음이 커진다. 캐비테이션 정도에 따라 프로펠러의 추진효율도 달라지기 때문에 프로펠러 날개의 개수, 모양, 크기를 설계할 ... ...
2000년 찰스 주커 교수의 쓴맛 수용체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수용체가 동시에 발현될 것이라고 추측했다. 예를 들어 PROP라는 쓴맛 물질이 오면 세포
표면
의 T2R1이 감지해 그 정보를 전달하고, 데나토늄이라는 쓴맛 물질에는 T2R4가 반응한다. 어떤 쓴맛 수용체가 반응하든지 세포는 입안에 쓴 물질이 들어 있다는 정보를 뇌로 보내면 임무 끝이다.연구자들은 각 ... ...
구부렸다 모았다 ‘빛의 마법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향한다. 이렇게 흐르는 빛이 ‘
표면
플라즈몬’이다. 액티브 플라즈모닉스는 이런
표면
플라즈몬을 원하는 각도와 형태로 자유롭게 조절하는 기술이다. “플라즈모닉스 기술을 이용하면 기존의 광학 지식으로 해결하지 못했던 문제를 많이 해결할 수 있습니다. 돋보기로 햇빛을 모으면 한 점에 ... ...
사실과 허구를 구분하려면?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지구의 평균 온도는 약 14℃입니다. 현재까지 알려진 바로 지구는 우주에서 유일하게
표면
에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하고, 생물이 살기에 적합한 행성입니다. 하지만 위도나 지형에 따른 온도차는 매우 큽니다. 최저 온도는 영하 89℃, 최고 온도는 58℃에 이릅니다.이런 온도차는 기본적으로 각 지역의 ... ...
[통합과학] 계면 활성제의 미셀 구조 형성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표면
장력은 점점 감소한다. 비누의 농도를 증가시키면서 용액의
표면
장력을 측정해
표면
장력이 더이상 감소하지 않는 지점을 찾으면 미셀 형성 시점을 확인할 수 있다. 두번째 방법은 제시문 (다)를 볼 때, 비누의 농도가 낮은 용액에서는 용액 내에 아직까지 큰 입자들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용액에 ... ...
‘무명 선수도 1등’ 첨단 스포츠 의류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생긴 오픈 메쉬와 기능성 직물을 결합시켰다. 또 항력을 줄이는 미세돌기를 부착해
표면
을 오돌토돌하게 만들었다.근육 보호엔 ‘도르래’ 조이기‘도르래’가 들어 있는 경기 유니폼이 있다. 이 옷에 들어 있는 도르래 시스템은 운동을 할 때 근육이 수축하고 이완하는 현상을 돕는다. 전문가들은 ... ...
흑인 부모는 어떻게 백인 아기를 낳았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외에도 멜라닌을 만들 때 필요한 유전자는 많다. 가장 중요한 것은 멜라닌생성세포의
표면
에 있는 ‘멜라노코틴-1 수용체’다. 이 수용체가 호르몬과 결합하면 세포는 피오멜라닌 대신 어두운 유멜라닌을 생산하게 된다.이 수용체의 유전자 염기서열에는 다양한 변이가 존재해 같은 인종에서도 ... ...
이전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