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활동"(으)로 총 6,60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뇌는 어떻게 얼굴을 인식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다른 기능과 마찬가지로 학습을 거쳐 여러 신경세포들이 함께 작용해 일어나는 기억 활동의 일부라고 생각할 수 있다. 얼굴 인식은 우리가 삶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한 기능이다. 방추상얼굴영역이 손상되면 친숙한 사람의 얼굴조차 인식하지 못하는 ‘안면실인증(prosopagnosia)’을 앓을 수 있다. ... ...
- [Issue] 고래사냥꾼 추적하는 ‘오션 워리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시 셰퍼드는 과학동아에 그간 일본의 포경 활동을 막기 위해 오션 워리어가 어떤 활동을 벌여왔는지 3페이지에 이르는 장문의 글을 보내왔다. 지면 사정상 원문을 축약해 독자들에게 소개한다. Defending the Oceans: Sea Shepherd’s Ocean WarriorWritten by Heather Stimmler, M ...
- [Interview] ‘융합형 창의’ 발휘되도록 학부생 지원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팀을 이뤄 연구계획서를 짜고 교수가 멘토 역할을 하는 방식을 검토 중”이라며 “이런 활동이 발전되면 미세먼지와 같은 사회적인 문제의 해법도 찾을 수 있고, 스타트업의 탄생으로 일자리도 만들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박 이사장은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로 재직하면서 평소 과학기술 ... ...
- [Origin] 그 많던 개미는 다 어디로 갔을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고운 흙만 떨어졌다. 11월 중순만 돼도 개미들이 월동 준비를 거의 마치기 때문에 먹이 활동을 잘 하지 않는다. 따라서 땅 위를 기어 다니는 개미를 보기가 쉽지 않다. 그럴 때 낙엽 부식층을 뒤지면 개미를 찾기가 수월하다. 습기가 유지되고 먹이가 많아 개미가 선호하는 환경이기 때문이다. 동 ... ...
- [Photo] ‘만인의 광물’ 방해석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보면 이산화탄소는 대부분 탄산염광물 형태로 암석 속에 갇혀 있다. 동물의 호흡 등 생명 활동이나 화석 연료에 의해 발생된 이산화탄소는 대기로 방출되지만, 일부는 바다 등 물속에 용해된다. 대기 중으로 방출된 이산화탄소가 물에 용해되고, 암석으로 다져져 퇴적될 수 있는 조건은 온도와 압력, ... ...
- [수학뉴스] 말 빨리 배우게 하고 싶다면 동화책보단 수 세기!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능력을 가을과 그 다음 해 봄에 평가했습니다. 그리고 가을과 봄 사이에 아동이 어떤 활동을 했는지 조사했습니다. 하루 평균 동화책을 읽은 횟수, 월 평균 수학을 공부한 횟수 등을 물었지요. 연구팀은 언어와 수학을 공부한 횟수가 점수에 얼마나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기 위해 설문조사 결과와 ... ...
- Part 1. 레고 덕후 수학자의 신기록 도전기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수 있는 게 레고의 매력인 것 같아요. Q. 앞으로도 계속 레고 수업을 할 계획인가요?봉사활동이라고 생각하고 계속 강의할 계획이에요. 2016년부터는 마틴 루터 킹의 셀마 행진★을 기념하기 위해 레고 블록으로 현수교를 만들고 있어요. 다리가 서로 떨어진 두 곳을 연결하는 거잖아요. 서로 다른 ... ...
- Part 1. 26년 만에 세상의 빛을 본 연구노트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아쉽게도 일반 대중에게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그로텐디크가 수학자로 가장 활발하게 활동했던 시기는 1950~1970년대였다. 이 시기에 현대수학의 중요한 분야를 완전히 새로 정립했으며, 자신이 개척한 분야를 알리고 세계의 수학자들과 활발히 교류했다. 수학의 노벨상이라 불리는 필즈상도 이 ... ...
- [수학공감] 수학문화를 퍼뜨리다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반복할수록 조원끼리 단합되는 모습을 보였고, 결국에는 모든 조가 성공했다. 이날 활동에 참여한 울산 격동초등학교 4학년 하은진 양은 “마치 운동하는 것 같아요”라며, “조원들과 함께 계획을 짜서 문제를 해결하니 정말 재미있어요”라고 말했다. 마지막 놀이인 ‘멀린게임’을 끝으로 이날 ... ...
- [과학뉴스] 세균도 촉각이 있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코, 귀, 피부 등 동물의 감각기관을 갖고 있지 않지만, 주변 환경을 인지하고 그에 맞춰 활동한다. 지금까지는 화학적 신호를 감지하는 원리가 주로 연구돼 왔는데, 최근 스위스 바젤대 연구팀의 연구 결과 세균이 물리적인 감각도 인지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세균은 점막이나 장 안쪽 피부를 ... ...
이전1731741751761771781791801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