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세기"(으)로 총 1,785건 검색되었습니다.
- 나를 닮은 로봇 vs 로봇을 닮은 나 (1)어린이과학동아 l20061114
- 바라보기만 했다. 날 보고 웃어 주고 내가 하는 말에 재치 있게 대꾸도 해 주면 좋으련만. 소설가의 상상력은 자유롭다. 그들은 이미 20세기 초 인간의 일을 대신하고 더 나아가 친구가 될 수 있는 로봇을 탄생시켰다. 과학자들은 소설가의 영감을 재료로 뚝딱뚝딱 로봇을 만들기 시작했는데 그 시작은 산업용 로봇이었다. 그들은 쉬지 않고 자동차 부품을 ...
- 동이마을 비내리제어린이과학동아 l20061031
- 뒤틀려 있다. 저수탱크의 물도 이미 바닥이 났다. 이대로 가다간 마을 사람들의 생계가 달린 다른농사도 모두 망친다. 우리 마을은 20세기말에 생산되었던 농산물과 99% 이상 유전자가 일치하는 농산물만 재배하는 환경 마을이다. 수확량도 적고 가뭄이 들면 속수무책으로 말라 죽지만 상당히 비싼값으로 팔려나간다. 해를 거듭할수록 곳곳에서 듣도 보지도 ...
- 마이크로맨의 눈에 비친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060928
- 이유는 아직 확실치 않다. 단지 암을 잘 일으키는 음식이나 생활습관, 공해물질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세포, 뚫어지게 보자 17세기에 현미경이 발명되면서 사람의 눈으로 볼 수 없는 작은 세계로의 여행이 시작됐다. 현미경으로 코르크 조각을 관찰하며 세포의 존재를 알았고 혈액이나 근육, 정자 등을 확대해 보기도 했다. 그렇다면 생물의 몸을 이 ...
- 역사를 바꾼 무기의 과학 (1)어린이과학동아 l20060914
- 막을 방패와 금속갑옷이 개발되었고 활의 원리를 응용해 무거운 돌을 던질 수 있는 투석기가 개발됩니다. 화약의 폭발력을 이용하라 13세기경 질산칼륨과 황, 목탄을 섞은 후 충격이나 열을 가하면 폭발하는 물질인 ‘화약이 발명된 후 그 위력을 이용한 새로운 무기들이 만들어집니다. 최초의 총, 최초의 대포가 그것이지요. 이전의 칼과 활, 투석기와는 ...
- 역사를 바꾼 무기의 과학 (2)어린이과학동아 l20060914
- 만들 수 없는 무기는 없다 20세기가 시작되고 얼마 되지 않은 1914년 이전의 전쟁과는 비교도 안 될 사상자를 낸 제1차 세계대전이 일어납니다. 또 30년도 안 되어 그보다 훨씬 많은 사상자를 낸 제2차 세계대전이 발생하지요. 두 전쟁의 사상자가 어마어마했던 것은 전쟁에 사용된 무기의 살상능력이 가공할만한 것이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리고 과학의 ...
- 고려청자어린이과학동아 l20060913
- 예로부터 아름다운 빛깔로 유명했습니다. 도자기의 본고장인 중국에서도 감탄을 금치 못했지요. 얼마나 그 빛깔이 신비로웠으면 12세기 송나라의 사신 서긍이 고려청자를 보고‘고려는 빛깔이 푸른 도자기를 만드는데 그 색감을 말로 형용할 수 없다’며 신비스러운 색인‘비색’이라고 표현했습니다. 이 신비한 빛깔의 비밀은 아직도 수수께기로 남아 있습니다. 고 ...
- 지구용사 어과동 파이브! (2)어린이과학동아 l20060830
- 변화로 카멜레온이 다양하게 변신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주변의 환경과 똑같게 변신을 하는 것은 아니다. 카멜레온은 빛의 세기와 온도, 감정의 변화 등에 따라 몸의 빛깔이 바뀌기 때문에 쉽게 눈에 띄었다. 내가 보여? 가랑잎벌레 숨바꼭질을 가장 잘하는 동물이 있다는 말레이시아. 이 곳 숲 속을 아무리 뒤져 봐도 이 동물을 도저히 찾을 수 없었 ...
- 맛있는 빛의 요리사어린이과학동아 l20060613
- 적당히 섞으면 세상의 모든색이 만들어진다. 이번 단원에서는 빛을 자유자재로 요리하는 방법을 공부해 보자. 빛을 좇는 뉴턴 17세기 뉴턴은 빛의 굴절에 관한 연구를 하고 있었다. 프리즘을 통과한 빛은 다양한 색으로 분해되고, 그 빛들을 합치면 다시 백색광-가시광선의 모든 파장의 빛이 균일하게 섞여 있는 빛-으로 돌아갔다. 백색광이 여러 가지 색으 ...
- 태양빛과 그림자가 알려주는 시간과 방향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060313
- 1시간이 늦어지는 것이지요. 우리나라의 해시계들 해시계는 인류의 역사에서 가장 먼저 사용된 시계예요. 중국에서는 기원전 11.13세기경부터‘표라는 막대기를 수직으로 세우고 해그림자에 따라 시간을 측정했다고 해요. 고대 이집트의 신전 입구에 세워진 오벨리스크도 같은 구실을 하는 것이었지요. 그럼 우리나라는 언제부터 해시계를 사용했을까요? 이미 ...
- 날씨가 척척, 디지털예보 시대! (1)어린이과학동아 l20060313
- 띄워 기압이나 기온, 습도, 풍향, 풍속 등을 측정한다. 윈드프로파일러는 지상에서 전파를 발사하여 0.2〜20㎞ 높이에 부는 바람의 세기와 방향을 실시간으로 파악한다. 1968년 12월 기상레이더관측 시작 기상레이더는 구름 속의 물방울에 전자기파를 쏘아 되돌아오는 반사파를 분석하여 비나 우박, 태풍 등의 기상 현상을 관측한다. 기상청은 기상레이 ...
이전1731741751761771781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