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카락
두상
두부
머릿골
얼굴
뇌
뉴스
"
머리
"(으)로 총 2,380건 검색되었습니다.
독수리가 7살 아이 공격, 낚아채려 시도
2016.07.15
것입니다. 이 독수리를 소년을 낚아채려 했던 게 분명합니다. 작은 동물을 사냥하듯
머리
부분을 움켜쥐었다고 합니다. 소년은 비명을 질렀고 곁의 어머니도 극도의 공포와 흥분 상태에 빠져들었습니다. 곧바로 쇼는 중단되었습니다. 소년은 응급처치를 받았는데 피를 흘렸지만 얼굴 상처를 깊지 ... ...
당신의 자녀가 마인크래프트를 해야 하는 3가지 이유
2016.07.13
온갖 물건들이 마인크래프트 안에서 만들어지고 있다. 이제 세계는 많은 지식을
머리
속에 넣는 것보다, 당면한 문제를 어떻게 창의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지가 더 중요하다. 특히 소프트웨어를 만들고 활용하면 훨씬 쉽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마인크래프트는 최고의 길잡이다. 3. ... ...
머리
둘 새우 발견돼
2016.07.13
물고기 등에 점심을 주려고 준비한 냉동 참새우 중 한 마리가 저런 모습이었다고 한다.
머리
둘 새우는 대단히 희귀한 사례여서 현지 언론들의 취재 대상이 되었다. 이 새우는 아쿠아리움에 보존된다. 곧 제임스 쿡 대학교의 한 교수가 유전자 검사를 하는 등 이 특별한 새우에 대한 일련의 과학적 ... ...
요거트의 상징 메치니코프 타계 100주기: 선천면역에서 프로바이오틱스까지
2016.07.12
관심이 많았던 메치니코프는 열일곱 살에 가까운 하리코프대 자연과학부에 들어갔다.
머리
가 비상했던 그는 불과 2년 만에 대학을 마친 뒤 러시아는 연구 여건이 안 되다고 판단하고 독일로 유학을 떠나 동물학을 연구했다. 공부를 마치고 22세에 러시아로 돌아온 메치니코프는 오데사의 ... ...
광(光) 자극으로 조정하는 ‘가오리 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16.07.10
인공심장과 인공생명체 등을 개발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광 활성을 띤
머리
부분에 왼쪽과 오른쪽 2개로 구분한 광 자극의 주파수를 각각 1.5㎐, 3㎐처럼 서로 다르게 하면 가오리 로봇의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주파수가 같을 경우 앞으로 전진한다. - 사이언스 제공 [☞기사 ... ...
주민들 걱정, 울타리를 넘는 악어 ‘포착’
2016.07.10
전전긍긍이다. 디즈니 월드에서 어린 아기가 악어에 희생된 일도 얼마 되지 않아 사람들
머리
에 생생하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스마트폰이 일상 생활에 들어오면서 ... ...
복잡한 알고리듬만큼 어려운 게임?
수학동아
l
2016.07.09
여정을 게임으로 만든 ‘슈퍼마리오 브라더스’를 아시나요? 여정을 떠난 슈퍼마리오는
머리
위의 벽돌을 점프해서 깨버리고 길 위에 악당이 등장하면 또 점프해서 공격합니다. 다음 단계로 넘어가기 위해서는 악당들을 요리조리 피해 깃대가 있는 곳까지 가야합니다. 그런데 최근 MIT ... ...
최악의 눈물 나는 선탠 자국들
2016.07.09
색깔의 대비가 너무 선명하다. 이 남자는 자신과 같은 실수를 하지 말라면서, 특히 민
머리
는 조심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한편 아래 사진은 정반대의 상황이다. 양말을 신고 바닷가에서 놀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왜 그런 복장(?)을 했는지는 도무지 이해하기 어렵지만, 아무튼 선탠 결과는 비극적이다. ... ...
TV 구매할 때 이것 모르면 ‘호갱’
동아사이언스
l
2016.07.08
그저 커다랗고 선명한 TV를 사고 싶을 뿐인데…. FHD는 뭐고 UHD는 또 뭐지? SUHD까지 나와서
머리
를 복잡하게 한다. 같은 사이즈의 TV라도 가격이 천차만별! 용어를 알 수 없으니까 그냥 대기업의 가장 최근에 나온 비싼 제품을 사야 하는건지. 이대로 ‘TV호갱’ 이 되고 마는 것인지 눈앞이 빙빙 돈다. ... ...
초소형 ‘가오리 로봇’, 웨이브 타며 물속 유유히
2016.07.08
근육만 이용해 움직이는 원리다. 박 연구원은 7일 동아일보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
머리
에서 시작된 전기신호가 심장근육세포를 따라 몸 전체로 전파된다”며 “근육이 순차적으로 수축과 이완을 거듭하고 가오리 로봇은 웨이브를 그리며 헤엄친다”고 설명했다. 가오리 로봇이 물속에서 ... ...
이전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