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용
사용
응용
굴절
적용
끝바꿈
어미변화
뉴스
"
활용
"(으)로 총 15,074건 검색되었습니다.
잡아당겨도 고해상도 유지하는 OLED 디스플레이
동아사이언스
l
2024.06.11
줄어들어 해상도가 떨어진다는 점이었다. 연구팀은 휘거나 접을 수 있는 초박막 OLED를
활용
해 문제를 해결했다. 접었을 때 보이지 않는 발광 영역 사이를 초박막 OLED로 덮었다. 선이 있던 영역을 덮은 것이다. 이렇게 만든 디스플레이를 늘리자 전에 틈새에 접혀있던 OLED가 모습을 드러내며 높은 ... ...
초신성 80개 새롭게 발견…"우주 팽창 연구 큰 자원"
동아사이언스
l
2024.06.11
새롭게 발견된 초신성 중 일부는 지금까지 우주의 팽창 속도를 측정하기 위해
활용
됐던 어떤 별보다도 지구와 멀리 떨어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계는 이번 발견으로 우주 팽창 연구의 지평이 넓어질 것으로 기대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 고다드 우주비행센터 연구팀은 9일(현지시간)부터 ... ...
정부, 마약중독·자살 예방 R&D 등 보건의료기술에 2조2097억원 투입
동아사이언스
l
2024.06.11
데이터센터를 국가 바이오데이터스테이션(K-BDS)과 연계시켜 바이오 연구데이터
활용
기반을 강화할 계획이다. K-BDS는 범부처 바이오 연구개발 데이터의 통합 관리를 위한 바이오 데이터 공유 허브다. 정밀의료 산업혁신을 위해 유전체 등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및 데이터뱅크 설립 추진에 착수할 ... ...
희귀 소아암 치료 방사성의약품 원료, 국내 첫 GMP 허가
동아사이언스
l
2024.06.11
공급할 계획이다. 이번에 GMP 적합 판정을 받은 원료의약품 제조 시설 및 인프라를
활용
해 수입 의존도가 높은 다른 방사성원료의약품 개발도 추진할 예정이다. 정영욱 하나로양자과학연구소장은 “고품질 방사성의약품 원료를 안정적으로 공급함으로써 국내 방사성의약품 산업이 활성화될 ... ...
상온 양자컴 가능성 열었다…2차원 '스커미온' 생성·제어 첫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6.11
성공한 사례는 이번이 최초다. 이번 2차원 스커미온 제어 성공은 상온 큐비트 제작에
활용
될 수 있어 초저온 환경에서만 구동하던 기존 양자컴퓨터의 한계를 넘은 '상온 양자컴퓨터' 개발의 문을 연 것으로 평가된다. 양승모 KRISS 양자자기센싱그룹 선임연구원은 "최근 인공지능(AI)의 발전과 함께 ... ...
태양계에서 가장 높은 화산 꼭대기에도 '서리' 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11
다른 화성 궤도 탐사선인 '마스 익스프레스(Mars Express)'에 탑재된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을
활용
해 서리의 존재를 검증했다. 3만 개 이상의 이미지를 분석하고 촬영 장소와 시간, 계절 등 촬영 시기에 따라 필터링한 결과 추운 계절 타르시스 고원에 있는 화산들의 정상 부근과 화산 폭발로 생긴 ... ...
[과기원NOW] 이재석 GIST 명예교수, 일본고분자학회 국제상 수상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이재석 광주과학기술원(GIST) 신소재공학부 교수. GIST 제공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신소재공학부 이재석 명예교수가 일본고분자학회 '국제상' ... 개발·제공 외 기술지원, 클라우드 컴퓨팅·AI 기반 연구·교육 지원, 프로젝트를 위한 AWS 채택과
활용
, 양자컴퓨팅과 AI 관련 연구 수행 등이다 ... ...
레이저로 열에너지 정밀 제어…고효율 AI반도체 공정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가공하는 데 필요한 열에너지가 하부 회로까지 전달되지 않았다. 레이저 기술을
활용
해 상대적으로 저온인 250°C 이하에서 FeFET를 만들고 성능을 테스트한 결과 10만 번 이상 데이터 쓰기·지우기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정보 저장 상태도 10년 이상 유지 가능했다. 장재은 교수는 "열에너지를 ... ...
차세대 강유전체 메모리, 정보 저장 능력 극대화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저장 기술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국내 연구팀이 강유전체를
활용
한 차세대 메모리 소자에 신소재와 새로운 소자 구조를 적용해 정보 저장 능력을 향상했다. 포스텍은 이장식 신소재공학과·반도체공학과 교수팀이 새로운 금속-강유전체 소자 구조를 개발해 강유전체 기반 ... ...
영하 80도 버티는 섬유형 태양전지 제작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열을 내기 때문에 효율적이다. 송 책임연구원은 “하이브리드 바이오 나노구조체를
활용
하면 전자소자의 성능과 안정성을 함께 증가시킬 수 있다”라며 “향후 에너지 생산 및 저장 소재뿐만 아니라 센서 소재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기대된다”라고 말했다. ... ...
이전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