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운
능력
역량
권력
정력
에너지
기력
뉴스
"
힘
"(으)로 총 4,285건 검색되었습니다.
[영상+]의료진 대신해 검체 채취하는 로봇 국내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6.23
콧구멍과 입, 면봉 위치를 볼 수 있도록 카메라가 설치됐다. 또 면봉이 들어갈 때 나오는
힘
을 검사자가 수치로 바로 알 수 있어 정확성과 안정성을 높였다. 연구팀은 바이러스 검체를 비대면으로 채취해 감염 위험을 크게 줄이면서도 환자 얼굴 크기의 소형 로봇으로 만들어 값싸면서도 다양한 ... ...
홀로그램 보여주는 입체 디스플레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6.23
영구적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가소화된 고분자 필름은 외부
힘
을 가해 변형시키면 바뀐 형태를 유지하는 ‘소성변형’ 특성이 있다. 특히 자유롭게 필름을 접어도 전자소자 특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연구팀은 이런 특성을 지닌 고분자 필름을 종이접기 방식을 ... ...
대기·물 속 미세먼지·미세플라스틱 ‘꼼짝마’...KIST·서울대 ‘나노갭 전극’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6.21
연구팀은 수직 배열의 비대칭 전극이 수평 배열 전극보다 10배 이상 더 큰 유전영동
힘
을 낸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에 따라 나노갭 전극 상용화의 걸림돌이었던 대면적화와 비용절감을 이뤄냈다. 기존 수평 배열 전극 제작에 최소 수십만원이 필요했지만 연구진이 개발한 유전영동 기술을 ... ...
'암흑물질' 후보입자 검출? 국제연구팀 발표에 물리학계 떠들썩
동아사이언스
l
2020.06.19
물질과 거의 반응하지 않아 유령처럼 통과한다. 때문에 보이지도 않고 관측하기도
힘
들지만, 끌어당기는
힘
(중력)은 내기 때문에 별과 은하를 만들고 우주의 구조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우주의 탄생 역사, 구조를 설명하는 이론인 표준 우주모형에서는 이런 암흑물질이 전체 우주의 27%를 차지할 ... ...
보건연구원 소속 유지 결정 시작일 뿐이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6
정책을 보면 정책의 철학을 살리는 척하면서 인력과 예산 배정을 두고 이해 당사자간
힘
겨루기로 넘어가는 사례가 자주 눈에 띄었다. 본부를 청으로 승격할 뿐 권한은 기존 부처가 갖는, 겉포장만 그럴싸하고 내용이 없는 조직개편안이 나온 것도 어쩌면 당연한 일이었을지 모른다. 기존 개편안이 ... ...
"우주는 훌륭한 양자역학실험실…ISS서 BEC실험 첫 성공"
연합뉴스
l
2020.06.15
이어 "지상에서는 이 자기장을 제거한 후 BEC 원자들끼리 가까이 있으므로 서로 밀어내는
힘
(척력)이 강해 빠르게 흩어져 버린다"며 "ISS에서는 중력이 거의 없어 처음에 약한 자기장을 이용한 얕은 올가미를 사용해도 입자들을 가둘 수 있고 자기장을 제거한 후에도 그 형태가 훨씬 오래 유지된다는 ... ...
[슬기로운 동물원 생활]반달가슴곰 세 마리가 함께 살게 된 사연
2020.06.13
‘똑똑똑’ 하는 특유의 소리를 내며 서로의 위치를 알렸다. 간혹 권투를 하듯 앞발로
힘
겨루기를 하는 모습이 관찰됐지만 5~10초 내외였고, 상처를 낼 정도는 아니었다. 이후 시간을 점차 늘려나가며 한 달이 지나자, 서로에게 익숙해진 반이와 달이는 하나의 해먹에서 같이 쉬고 잠도 자며 평화로운 ... ...
'중국발 괭생이모자반에 위태로운 제주도' 천리안1호 포착 영상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0.06.12
통신해양기상위성 '천리안1호'가 지난달 13일 오후 4시 촬영한 한반도 주변의 괭생이모자반 분포도다. 동중국해에서 제주도로 유입되는 괭생이모자반이 색깔로 표시돼 있다. 해안선을 제외한 빨간색의 경우 해역의 10%가 괭생이모자반으로 뒤덮였다는 뜻이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제공 지난달 13일 ... ...
"'피터팬 원반'은 다른 별과 떨어진 외로운 환경서 형성돼"
연합뉴스
l
2020.06.11
박사는 "시민과학자 참여 프로젝트의 발견으로 이 독특한 원반에 대한 과학적 연구가
힘
을 받고, 천체물리학의 핵심 분야 중 하나인 행성 형성에 관한 이해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은 대단한 일"이라고 했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19세기 화학의 정점 주기율표의 성립
2020.06.11
때문이었다고 한다. 이듬해인 1907년도 같은 이유로 노벨상 수상에 실패했다. 열 사람이
힘
을 합쳐도 한 사람을 성공시키기는 어려운 일이나 한 사람이 다른 사람의 앞길을 막기는 쉬운 법이다. 학계에서도 “열 사람의 친구를 만드는 것보다 한 사람의 원수를 만들지 않는 것이 더 낫다.”는 격언이 ... ...
이전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