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다음"(으)로 총 2,189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파란빛의 두 얼굴2017.11.14
- 사이 RG가 0.2 수준에서 수렴했고 그 뒤 둘 다 조금씩 올라가 10분 뒤에는 0.3 부근이었다. 다음으로 방을 바꿔 10분 간 있었는데, 두 그룹의 RG는 큰 차이 없이 0.2~0.3 수준에 머물렀다. 즉 스트레스를 받은 직후 파란빛이 있는 공간에 머물 경우 스트레스가 급격히 완화된다는 말이다. 실제 설문조사에서도 ... ...
- 우리는 부족하기에 서로의 용기가 된다2017.11.14
- 되기도 한다. 미국의 흑인 인권변호사가 쓴 책 ‘월터가 나에게 가르쳐준 것’에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나온다. 엄마를 상습폭행하던 남성을 죽인 14살 소년이 있었다. 한 여성이 이를 안타깝게 여겨서 아이의 새로운 지지자 겸 가족이 되어주었다. 저자는 이 여성에게 이 아이는 힘든 일을 많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초 족도리풀, 알고 보니 독초?2017.11.07
- 오늘도 약초 전문가들이 나와 천연이 좋다고 줄기차게 ‘그릇된’ 넛지를 하고 있다. 다음은 이번 논문의 마지막 구절로 보건당국이 ‘유익한’ 넛지를 구상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AA를 함유한 식물을 쉽게 구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일차적인 예방을 위해서는 교육과 대중의 자각이 ... ...
- 아프리카인 피부색 결정 유전자 확인과학동아 l2017.10.30
- 유럽인이나 남부 아시아인 등으로부터 동아프리카인에게 전달됐음을 시사한다. 그 다음으로 MFSD12 유전자 변이가 피부색과 연관성이 강했다. 흑갈색을 띠는 유멜라닌(eumelanin)을 생성하는 유전자로, 이 유전자가 제대로 발현되지 않으면 피부 군데군데에 색소가 없어지는 ‘반백증’이 생긴다. ... ...
- 맞고 자란 아이가 '사랑의 매' 더 신봉한다2017.10.28
- 세상에는 내가 모르는 더 좋은 교육법들이 아주 많을 수 있다는 사실을 생각해 본다면, 다음 세대는 아직 더 행복하고 건강한 유년시절을 보낼 기회가 있다는 걸 생각해보면, 조금은 달리 생각하게 되지 않을까? ※ 참고문헌 Altschul, I., Lee, S. J., & Gershoff, E. T. (2016). Hugs, not hits: Warmth and spanking as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노세보 효과의 뇌과학2017.10.17
- 신호가 전달되는 부위인 척수의 경우 예상대로 활성도가 높았다. 연구자들은 이 결과를 다음과 같이 해석했다. 즉 두 제품 가운데 비싼 크림을 바른 사람들은 부작용이 더 클 것이라고 예상할 경우 rACC의 활성이 낮아지고 그 결과 rACC의 억제 작용에서 벗어난 PAG의 활성이 커지면서 척수의 통증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한석봉 모친이 초롱불을 끄고 떡을 썬 까닭은...2017.09.26
- 가지가 있다. 다음은 고리에 매인 장난감을 푸는 과제로 역시 두 가지 조건이 있다. 다음은 아기에게 뮤직박스 작동원리를 알려준 뒤 아기가 음악을 틀기 위해 버튼을 몇 번이나 누르는지 조사한다. 실험결과 어른이 문제를 풀려고 노력하는 모습은 본 아기들이 버튼을 두 배 정도 더 많이 눌렀다. -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진드기, 성가신 게 아니라 두려운 존재!2017.09.19
- 있다. 먼저 이전에도 환자가 있었지만 이를 신종 전염병으로 인식하지 못했을 수가 있다. 다음으로 생활환경의 변화로 진드기와 사람(농부)의 접촉이 잦아져 10여 년 전부터 감염된 사람이 급증했을 수 있다. 끝으로 SFTS바이러스의 돌연변이로 병원성이 커진 결과일 수 있다. SFTS바이러스의 구조를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게놈편집으로 흰 나팔꽃 만들었다!2017.09.12
- 프롤린의 위치가 틀어져 더 이상 효소로 작용하지 못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이 개체에서 다음 세대를 얻는 과정에서 식물 게놈에 끼어들어간 gRNA와 CAS9 유전자를 넣은 플라스미스 부분을 없앨 수 있다. 이 경우 식물 게놈에 외부 유전자가 없고 자기 유전자만 편집된 개체이기 때문에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객성과 신성과 초신성2017.09.05
- 마지막으로 관측된 초신성 폭발이다. 이 초신성의 최대 밝기는 -2.5 등급으로 태양과 달 다음으로 밝았고 3주 넘게 낮에도 보였다고 한다. 우리 은하 정도 크기라면 대략 50년에 한 번 꼴로 초신성 폭발이 일어나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케플러 초신성 이후 400년이 넘도록 조용한 건 이례적인 일이다. 143 ... ...
이전1731741751761771781791801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