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조"(으)로 총 7,345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화학자가 새롭게 밝힌 눈송이의 비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면적당 방출하는 열이 적어 눈송이로 자란다”고 설명했다.연구팀은 이 같은 결정 구조 때문에 눈송이가 대기 중 이산화탄소와 질소산화물 같은 기체의 화학변화에 촉매로 작용하는 등 기존에 몰랐던 독특한 반응성을 나타낼 것으로 예측하고 현재 조사하는 중이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학술지 ... ...
- Part 5. 미래의 사이버그를 위하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들어, 진짜 곤충처럼 비행할 수 있는 로봇을 만들기 위해선 우선 빠른 날갯짓이 가능한 구조로 만들어야 해요. 그런데 무거운 금속으로 날개를 만들 경우, 빠르게 흔들기 위해선 기계가 무리할 만큼의 큰 힘이 필요하지요. 따라서 쉽게 고장이 날 수밖에 없답니다. 이를 막기 위해선 금속보다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무중력 소풍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있었다. 신세계 호는 도너츠 모양의 거주 지역이 가운데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구조였다. 따라서 거주 지역에는 원심력이 생겨 중력 역할을 했지만, 중심축은 중력이 거의 없었다. 중심축으로 가는 엘리베이터를 타고 움직이자 점점 몸무게가 가벼워지더니 마침내 몸이 허공에 둥둥 떠올랐다 ... ...
- [Future] 나노셀룰로오스의 세계, 나무 갈아 배터리 만든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통과시키면, 잘게 찢겨 나노 섬유가 된다. 산을 쓰는 방법도 있다. 셀룰로오스의 분자 구조는 결정질과 비결정질이 번갈아 손을 잡고 있는데, 이를 황산용액에 넣으면 상대적으로 약한 비결정질이 녹으면서 결정만 남는다. 결과물은 각각 섬유와 결정이지만, 둘 다 물에 떠 있는 부유액 상태다.호흡 ... ...
- [Career] 번개 구름 흉내 낸 나노발전기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꼭 들어가야 하는 부품인 유전체를 기존의 박막이 아닌, 신축성이 매우 높은 스펀지 구조로 만들어 효율을 크게 증가시켰다.또 기존 나노발전기의 내부가 2개 층으로 나뉜 것과 달리, 연구팀은 그 사이에 금속층(접지층)을 넣어 효율을 높였다. 구멍이 셀 수 없이 많이 뚫린 실리콘 스펀지에 압력을 ... ...
- Part 1. 바퀴벌레 아니고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모양의 다리를 넓게 펴서 앞으로 걸어갈 수 있지요. 연구팀은 앞으로 크램을 인명 구조용 로봇으로 발전시킬 예정이라고 밝혔어요. 한국산 바퀴벌레 로봇, ‘점프로치’!미국에 ‘크램’이 있다면, 우리나라엔 높은 벽을 뛰어넘을 수 있는 바퀴벌레 로봇, ‘점프로치(JumpRoACH)’가 있어요! ... ...
- [DJ CHO의 롤링수톤] 걸어 다니는 오케스트라 한스 짐머의 ‘오일러 방법’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있는지를 알려주는 단서기 때문입니다.플롯★ 사건을 작가의 의도에 따라 재배치한 구조. 스토리는 시간의 순서에 따른 이야기의 흐름. 히든 피겨스 ‘오일러 방법’최근 한스 짐머는 나사(NASA)에서 일하는 천재 수학자를 다룬 영화 ‘히든 피겨스’에도 음악 프로듀서로 참여했습니다.영화는 ... ...
- [Future] 누나 드론 차 뽑았다, 널 데리러 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수직, 수평한 방향으로 추진방향을 바꿀 수 있는 ‘전기 제트엔진(항공기의 제트엔진과 구조는 같지만 전기모터를 쓴다)’ 36개를 날개에 달았다. 덕분에 수직이착륙이 가능해 활주로가 필요없다. 날아오른 뒤에는 엔진의 방향을 수평하게 바꿔 비행할 수 있어 같은 배터리를 썼을 때 드론형 ... ...
- Part 4. 해상도시 바다 위에 도시가 둥둥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위 건물을 짓는 방법!바다에 건물을 세우는 방법은 의외로 간단해요. 바다 위에 너른 구조물을 띄우고, 그 위에 건물을 짓는 거죠. 아주 튼튼한 스티로폼 위에 건물을 지어 띄우는 거라고 생각하면 된답니다. 이것을 ‘플로팅 건축’이라고 해요.여기에 체인과 와이어, 로프 등으로 주변의 육상이나 ... ...
- 2017 아벨상 수상자 웨이블릿의 아버지, 이브 메이에수학동아 l2017년 05호
- 메이에 교수가 ‘웨이블릿의 아버지’라 불리는 이유다.메이에 교수의 이론은 합금의 구조를 밝히는 데 가장 먼저 쓰였다. 합금 사진에 있는 불필요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분리해 원하는 정보만 관찰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 외에도 응용 컴퓨터 분석과 데이터 압축, 의학 이미지, 디지털 영상, ... ...
이전1741751761771781791801811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