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사람
세상
중생계
인간세계
세계
지구
d라이브러리
"
인류
"(으)로 총 4,243건 검색되었습니다.
암흑물질 후보 윔프 입자 ‘없다 VS 있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아직까지
인류
가 검출하지 못한 ‘암흑물질’의 정체를 놓고 최근 과학계에서 갑론을박이 한창이다. ,암흑물질 후보인 ‘윔프’ 입자의 흔적을 찾을 수 없다는 주장과 이를 찾았다는 상반된 연구 결과가 잇달아 나와 관심을 모으고 있다(96쪽 기사 참조).이탈리아 그랑사소 입자물리연구소에 ... ...
Part 2. 우주를 지배하는 어둠의 입자 - 암흑물질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가상의 물질이면서 입자물리학 가설인 ‘초대칭이론’에도 들어맞는다. 초대칭이론은
인류
가 발견하지 못한 완전히 다른 입자들이 존재한다고 가정하는 가설이다.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기본 입자는 보손과 페르미온 두 가지 종류로 나뉜다. 보손은 스핀 양자수가 0, 1처럼 정수인 입자이고 ... ...
네안데르탈인, 정말 현생
인류
만났나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석기를 발견했다”며 “이 유적은 3만 1000~3만 4000년 전 것으로, 약 4만 년 전 생활한 현생
인류
의 생존기간과 수천 년 겹친다”고 말했다(23쪽 그래픽뉴스 참조).이상희 미국 리버사이드 캘리포니아대 교수는 “메즈마이스카야 동굴의 연대는 원래 논란이 많았기 때문에 단정할 수 없다”고 말했다 ... ...
과학벨트 주요 궁금증 5문 5답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새로운 동위원소를 발견하는 것이 어떤 의미가 있나A. 새로운 동위원소를 발견할 때마다
인류
의 과학은 크게 진보했다. 미국 화학자 글렌 시보그는 플루토늄을 발견한 공로로 1951년 노벨 화학상을 받았다. 플루토늄은 이후 원자로의 핵연료로 사용됐다. 핵물리 에너지 핵화학 신소재 의학 등 여러 ... ...
Intro. 신의 입자 vs. 어둠의 입자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아니다.대부분의 학자들은 두 입자의 발견까지 시간이 더 걸릴 것으로 본다. 하지만
인류
가 가장 애타게 찾고 있던 두 입자의 발견이 점차 가시권에 들어오고 있다는 사실만은 분명하다. 우리는 정말 우주 궁극의 비밀을 품은 신의 입자와 어둠의 입자를 찾을 수 있을 것인가. ▼관련기사를 계속 ... ...
건강한 신발 찾아라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맨발은 구조적으로 오래 서 있거나 걷기에는 취약한 구조”라며 “발을 보호하기 위해
인류
가 신발을 신기 시작한 것”이라고 말했다. 최 원장은 “신발의 뒤축은 걸을 때 뒤꿈치가 흔들리지 않도록 잡아 발목 주위의 인대와 힘줄에 무리가 생기는 일을 막는다”고 설명했다.전문가들은 발을 ... ...
대장암에서 p53 유전자 결손과 돌연변이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1971년 미국의 리처드 닉슨 대통령은 ‘암과의 전쟁’을 선포하고 천문학적인 연구비를 지원하기로 약속했다. 실제로 지난 40년 동안 미국에서 암 연 ... 실체가 밝혀진 뒤 생명과학에서 가장 유명한 분자가 됐다. 앞으로 p53 연구가
인류
의 암 정복 여정에서 어떤 역할을 할지 지켜볼 일이다 ... ...
Intro. 화학-지구촌 구할 녹색 해결사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물론 우리 주위 모든 물체 중 원소와 화합물이 아닌 것이 하나도 없음을 인지한다면
인류
와 이 지구, 또 우주를 건강하게 보존하기 위해서도 화학의 건전한 발전이 절대적으로 필요함에 공감하게 된다.금년 ‘ 세계 화학의 해’의 기치가 ‘화학-우리의 생명, 우리의 미래’로 선정된 이유다 ... ...
일본대지진 백두산 분화 촉발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위치한 간헐천은 현재 600MW 이상의 전기를 생산한다.하지만 갑작스러운 화산폭발은
인류
에게 재난이다. 지난 500년 동안 화산 분화로 약 25만 명이 죽었다. 현재 기술로 화산 분화는 막을수는 없지만 위험한 화산을 식별하고 잠재적으로 재해를 피할 수는 있다. 과학자들은 화산이 분화하기 전에 ... ...
맥스웰의 도깨비를 찾아서 “아는 것이 힘이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전자기장의 역학적 이론’에 집대성했다. 이 책은 뉴턴의 ‘프린키피아’를 잇는
인류
의 위대한 지적 성취다. 맥스웰이 죽은 지 8년이 지난 뒤 독일 물리학자 하인리히 헤르츠가 마침내 맥스웰의 주장대로 빛이 전자기파라는 사실을 실험으로 증명했다.1865년 맥스웰은 고향 스코틀랜드로 ... ...
이전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