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의"(으)로 총 20,677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7월 5일 4시 주목! 존 필즈도 깜짝 놀랄 수학의 역사가 다시 써진다!수학동아 l2022년 07호
- 도대체 여기가 어디지? 자세히 살펴보니 다 수학자들이잖아?잠깐만, 젊은 수학자가 받을 수 있는 최고의 영예인 ‘필즈상’을 받은 수학자도 있어.필즈상 메달에 그려진 아르키메데스, 심지어 필즈상을 만든 존 찰스 필즈도!전 세계 내로라하는 수학자들이 다 모인 거네. 축제다, 축제! ▼ 이어 ... ...
- [특집] 수상자는 누구? 2022 필즈상 대예측수학동아 l2022년 07호
- 이를 알게 된 한 미국 신문이 스메일이 러시아로 도주했다고 보도했어요. 그러자 스메일의 동료들이 “스메일은 수학계에서 노벨상과 같은 상을 받으러 외국으로 갔다”고 증언했죠. 이 말이 에 실리면서 필즈상은 ‘수학계의 노벨상’이란 별명을 얻었습니다. 필즈상은 몰라도 ... ...
- [매스미디어] 안나라수마나라수학동아 l2022년 07호
- 안녕하세요, 저는 윤아이라고 해요. 여러분의 눈을 사로잡을 마술 드라마 ‘안나라수마나라’의 주인공이지요! 저와 함께 마술에 숨겨진 수학을 파헤쳐 보지 않을래요? 마술사 리을 아저씨의 스승, 최효원 일루셔니스트님도 만나고 왔으니 끝까지 눈을 떼지 마세요! 고등학생 윤아이는 사업에 실 ... ...
- [수학자와 함께 마인크래프트] #네더월드 정복하기 1. 차원문 넘어 네더 요새로!수학동아 l2022년 07호
- 거대한 지하동굴에 용암이 흘러 매우 덥고 건조하며 밤낮의 구분이 없는 곳!바로 ‘네더월드’예요. 오늘 지옥을 연상시키는 이곳에 가는 네더 차원문을 만들고, 위험한 몬스터가 도사리는 네더 요새에 가 봐요. 미션 1. 네더 차원문을 만들자! 마인크래프트에 처음 접속하면 우리가 사는 세계와 ... ...
- 과학자도 노트필기를 잘해야 한다과학동아 l2022년 07호
- 대학원에 입학하면 실험 가운과 함께 가장 먼저 받는 물건이 있다. 연구노트다. 연구자는 연구에 대한 아이디어를 적고, 실험을 진행하기 전 과정을 검토하고, 결과물에 대한 분석을 꼼꼼히 기록해야 한다. 성공한 연구는 물론, 중도 포기했던 연구의 방향과 데이터, 해결책도 기록한다. 이런 기록은 ... ...
- [논문탐독] 세상을 들어 올리는 지렛대 과학자들의 실험실과학동아 l2022년 07호
- 과학기술의 눈부신 발달은 우리의 삶을 완전히 바꿨습니다. 드라마에서 그리는 20년 전의 모습이 낯설게 느껴질 정도죠. 도대체 과학은 어떻게 우리의 생활을, 우리가 사는 세상을 바꿀 정도의 힘을 가지는 것일까요.반 세기 전의 과학자들도 같은 질문을 던졌습니다. 일부 과학자들은 실험과 경험 ... ...
- 2023년 알림... 비밀번호 없는 세상이 온다과학동아 l2022년 07호
- 비밀번호를 정하란 문구 앞에 앉으면 딜레마가 생깁니다. 내가 쉽게 기억할 수 있는 비밀번호는 보안 수준이 낮고, 보안 수준이 높은 건 내가 기억할 수 없으니까요. 이런 딜레마를 해결하려고 고른 타협안은 여러 개의 계정에 같은 비밀번호를 쓰는 것. 하지만 이 타협안 때문에 연쇄적인 아이디 ... ...
- [시사기획] 소형 핵탄두 등장하나과학동아 l2022년 07호
- 올해 들어 북한의 무력 시위가 점차 거세지고 있다. 북한은 5월까지만 해도 단거리 탄도미사일부터 대륙간 탄도미사일(ICBM), 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SLBM) 등 십여 차례 미사일을 발사하며 긴장감을 고조시켰다. 그리고 2017년 이후 5년 만에 핵실험을 다시 시작할 것이라는 징후가 포착되기도 했다. ... ...
- [이달의 식물사연] 검은 박쥐를 닮은 타카 칸트리에리과학동아 l2022년 07호
- 검은색 꽃은 자연에서 매우 희귀하다. 그런데 독특한 검은빛은 물론 모양까지 특이한 식물이 있다. 타카 칸트리에리(Tacca chantrieri) 다. 영어 이름은 ‘블랙 배트 플라워(black bat flower)’로, 직역해 우리 식으로 이름 붙이자면 ‘검은박쥐꽃’이다. 이름대로 박쥐를 꼭 닮았다. 양쪽으로 넓게 펼쳐진 ... ...
- [커리어] 교수님과 선배가 들려주는 바이오메디컬공학과학동아 l2022년 07호
- “바이오메디컬공학의 가장 큰 장점은 인류가 남아있는 한 계속해서 발전할 수 있는 학문이라는 거예요.”이소현 씨(이화여대 휴먼기계바이오공학부 3학년)가 꼽은 바이오메디컬공학의 장점이다. 질병 치료부터 인체 증강까지, 바이오메디컬공학이 할 수 있는 일은 무궁무진하다. 일론 머스크 테 ... ...
이전174175176177178179180181182 다음